1 김헌선, "한국화랭이 무속의 역사와 원리 1" 지식산업사 1997
2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98
3 조흥윤,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4 홍태한, "한국의 무가8-서울 한강변 지역 무가" 2016
5 홍태한, "한국의 무가7-구로구 구로동 무가" 2016
6 김 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4
7 최광식, "한국의 고대 신앙과 불교" 중앙승가대학교 (10) : 1993
8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9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10 김태곤, "한국무가집Ⅰ" 집문당 1971
1 김헌선, "한국화랭이 무속의 역사와 원리 1" 지식산업사 1997
2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98
3 조흥윤,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4 홍태한, "한국의 무가8-서울 한강변 지역 무가" 2016
5 홍태한, "한국의 무가7-구로구 구로동 무가" 2016
6 김 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4
7 최광식, "한국의 고대 신앙과 불교" 중앙승가대학교 (10) : 1993
8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9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10 김태곤, "한국무가집Ⅰ" 집문당 1971
11 張國强, "한국과 중국의 무속신 비교연구 : 동해안 별신굿과 환단신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12 홍태한, "한국 신모신화(神母神話)의 변화상 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 : 1999
13 이용범, "한국 무속의 신관에 대한 연구 : 서울지역 재수굿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4 양종승, "한국 무속신 고찰 : 무신도를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4 (4): 1996
15 홍태한, "한국 무속 별상과 별성 신령의 성격과 의미" 비교민속학회 (39) : 493-515, 2009
16 최광식, "한국 고대의 천신관" 한국사학회 (58·59) : 1999
17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1984
18 김헌선, "침놀이에 나타난 신명풀이" 한국미학예술학회 2001
19 관우, "천신굿무가집" 신지평 2005
20 김헌선, "서울지역 안안팎굿 무가 자료집" 보고사 2006
21 최형근, "서울의 무가2" 민속원 2005
22 박흥주, "서울의 마을굿" 서문당 2001
23 홍태한, "서울굿의 다층성과 다양성" 민속원 2012
24 김헌선, "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 한국무속학회 (12) : 7-117, 2006
25 김은희, "서울굿 뒷전의 연희적 성격 연구- 성주받이의 갖인뒷전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사학회 (33) : 237-274, 2004
26 홍태한, "서울굿 가망청배거리에서 ‘가망’의 의미 연구" 한국민속학회 41 : 507-531, 2005
27 김헌선, "서울굿 「대안주거리」의 문화사적 의의 연구 - 신의 복합화와 가무악회의 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민속학회 47 : 265-312, 2008
28 홍태한, "서울 진오기굿 <바리공주>의 저승관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소 (27) : 105-133, 2007
29 박흥주, "서울 마을굿의 유형과 계통" 한국무속학회 (12) : 119-175, 2006
30 홍윤식, "불교의식에 나타난 제신의 성격-신중작법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1) : 1969
31 최광식, "무속신앙이 한국불교에 끼친 영향" 백산학회 (26) : 1981
32 서대석, "무당내력"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33 김형근, "무가와 연행 맥락 해석을 통한 경기도 도당굿 ‘군웅’의 성격" 실천민속학회 27 : 165-193, 2016
34 김헌선, "맞이로 다시 보는 우리 신화" 경기대학교국어국문학과 (10) : 2005
35 김형근,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특징 연구 ‒ 안대 별신굿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7) : 287-332, 2013
36 최길성, "韓國의 巫堂" 悅話堂 1981
37 赤松智城 秋葉隆, "朝鮮巫俗의 硏究 下卷" 屋號書店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