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Sugungga>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2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exhibition of the experience for the children using the performance of the <Sugungga> at the National Theater Performing Arts Museum. The important part of an exhibition 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should be a program that can be communicated so that the child can develop the strength to think for himself / herself as a 'subject' rather than a 'target'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ase of exhibitions that solved the 'make-up' part of the performance stage by linking the performance of the <Sugungga> concert with the experience in min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tak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case of how the performance of <Sugungga>, which was the theme of this exhibition, was utilized as an exhibition and what kind of experiences it was composed of, and to think about the better direction of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s the exhibition of the experience for the children using the performance of the <Sugungga> at the National Theater Performing Arts Museum. The important part of an exhibition 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should be a p...

      This article analyzes the exhibition of the experience for the children using the performance of the <Sugungga> at the National Theater Performing Arts Museum. The important part of an exhibition 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should be a program that can be communicated so that the child can develop the strength to think for himself / herself as a 'subject' rather than a 'target'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ase of exhibitions that solved the 'make-up' part of the performance stage by linking the performance of the <Sugungga> concert with the experience in min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tak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case of how the performance of <Sugungga>, which was the theme of this exhibition, was utilized as an exhibition and what kind of experiences it was composed of, and to think about the better direction of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오늘은 나의 무대 : 변신 프로젝트"

      2 안치운, "연극배우 추송웅" 나무숲 2008

      3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4년도 기획전시 ‘오늘은 나의 무대 : 변신 프로젝트’ 기본계획(안)"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4

      4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4년도 기획전시 ‘오늘은 나의 무대 : 변신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5

      1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오늘은 나의 무대 : 변신 프로젝트"

      2 안치운, "연극배우 추송웅" 나무숲 2008

      3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4년도 기획전시 ‘오늘은 나의 무대 : 변신 프로젝트’ 기본계획(안)"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4

      4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4년도 기획전시 ‘오늘은 나의 무대 : 변신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Research of Performance Art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7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