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용 한국형 학교생활참여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0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K-SES:M)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ree-response questionnaire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o over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K-SES:M)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ree-response questionnaire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o overcome the construct bias resulting from the use of translated scales, yielded 90 pilot items.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1,036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s 7 to 9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al analyses, and concurrent validity analyses.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48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8 subscales (i.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valuing of schoolwork, rule complia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peer relations, student-teacher relations, attentiveness during instructional activities, self-regulated learni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of the subscales were high, an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ubsc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ight subscales of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scales of the School Engagement Measure and the Korean Academic Engagement Inventory. The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it of the first-order eight-factor model was better than the second-order four-factor model and the second-order one-factor model. Furthermore,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may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and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various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with school.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에게 적합한 학교생활참여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외국에서 개발된 원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인 편향의 문제를 극복...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에게 적합한 학교생활참여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외국에서 개발된 원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인 편향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학생 대상의 자유응답형 질문지 조사와 3차에 걸친 전문가 포커스집단 면접을 통해 중학생용 한국형 학교생활참여척도(K-SES:M) 예비검사 90문항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는 크게 두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첫째, 대도시와 읍면지역 중학교 1, 2, 3학년 1,036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생활만족감, 학교교육가치감, 규칙준수행동, 교과외활동, 또래관계, 교사학생관계, 수업집중, 자기조절학습의 8개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48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각 하위요인의 문항내적일관성지수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둘째,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공인타당도 분석 및 요인모형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8개 하위요인간 상관은 중간~높은 수준에 속하였고, 기존의 학교참여척도 및 학업열의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양호한 공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학업적 참여를 2차 요인으로, 8개 하위요인을 1차 요인으로 설정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2차 4요인 모형과 2차 1요인 모형에 비해 1차 8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생용 한국형 학교생활참여척도는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하며,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학교공부와 학교생활에 참여하는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자영,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31-147, 2012

      2 여성가족부,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청소년의 자립역량 강화: 학교 밖 청소년지원대책" 관계부처 합동 2015

      3 신현숙, "학교참여 다차원 구인에 대한 성별 및 학교급별 잠재평균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283-305, 2013

      4 설경옥,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41-58, 2013

      5 신현숙,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 학업촉진자, 학업기술,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291-311, 2009

      6 신현숙, "중학생의 학업동기, 학교생활참여, 학업수행 및 학급품행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1 : 25-46, 2008

      7 이규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7-40, 2008

      8 이승연, "정신건강 2요인 모델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참여와 학업성취"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95-218, 2014

      9 손원숙, "심리검사 번안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2 (22): 57-80, 2003

      10 김남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763-789, 2011

      1 이자영,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31-147, 2012

      2 여성가족부,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청소년의 자립역량 강화: 학교 밖 청소년지원대책" 관계부처 합동 2015

      3 신현숙, "학교참여 다차원 구인에 대한 성별 및 학교급별 잠재평균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283-305, 2013

      4 설경옥,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41-58, 2013

      5 신현숙,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 학업촉진자, 학업기술,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291-311, 2009

      6 신현숙, "중학생의 학업동기, 학교생활참여, 학업수행 및 학급품행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1 : 25-46, 2008

      7 이규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7-40, 2008

      8 이승연, "정신건강 2요인 모델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참여와 학업성취"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95-218, 2014

      9 손원숙, "심리검사 번안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2 (22): 57-80, 2003

      10 김남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763-789, 2011

      11 Finn, J. D., "Withdrawing from school" 59 : 117-142, 1989

      12 Lam, S., "Understanding and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in school : The results of an international study from 12 countries" 29 (29): 213-232, 2014

      13 van de Vijver, F., "Translating tests : Some practical guidelines" 1 : 89-99, 1996

      14 Jimerson, S. R., "Toward an understanding of definitions and measures of school engagement and related terms" 8 : 7-27, 2003

      15 Salmela-Aro, K., "The schoolwork engagement inventory : Energy, dedication, and absorption(EDA)" 28 (28): 60-67, 2012

      16 Li, Y., "The role of school engagement in preventing adolescent delinquency and substance use : A survival analysis" 34 : 1181-1192, 2011

      17 Glanville, J. L., "The measurement of school engagement : Assessing dimensional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race and ethnicity" 67 (67): 1019-1041, 2007

      18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 71-92, 2002

      19 Wang, M., "The assessment of school engagement : Examining dimensional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by gender and race/ethnicity" 49 : 465-480, 2011

      20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21 You, S., "Testing a developmental-ecological model of student engagement : A multilevel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29 (29): 659-684, 2009

      22 Appleton, J. J., "Student engagement with school : Critical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construct" 45 (45): 369-386, 2008

      23 Marks, H. M.,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37 : 153-184, 2000

      24 Shernoff, D. J., "Student engagement in high school classrooms from the perspective of flow theory" 18 (18): 158-176, 2003

      25 Fredricks, J. A., "School engagement :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74 (74): 59-109, 2004

      26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10

      27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2006

      28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29 Ægisdóttir, S., "Methodological issues in cross-cultural counseling research : Equivalence, bias, and translations" 36 (36): 188-219, 2008

      30 Appleton, J. J., "Measuring cognitive and psychological engagement : Validation of the student engagement instrument" 44 : 427-445, 2006

      31 Fall, A., "High school dropouts : Interactions between social context, self-perceptions, school engagement, and student dropout" 35 : 787-798, 2012

      32 Yazzie-Mintz, E.,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743-760, 2012

      33 Griffiths, A.,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Routledge 197-211, 2009

      34 Berndt, T., "Friends’ influ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66 : 1312-1329, 1995

      35 Fredricks, J. A., "Engagement in school and out-of-school contexts : A multidimensional view of engagement" 50 : 327-335, 2011

      36 Upadyaya, K., "Development of school engagement in association with academic success and well-being in varying social contexts :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18 (18): 136-147, 2013

      37 Schaufeli,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A cross-national study" 33 (33): 464-481, 2002

      38 Reeve, J., "Agency as a fourth aspect of students’ engagement during learning activities" 36 : 257-267, 2011

      39 Wang, M., "Adolescents’perceptions of school environm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47 (47): 633-662, 2010

      40 Finn, J. D.,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82 (82): 221-234, 1997

      41 Betts, J. E., "A study of the factorial invariance of the student engagement instrument(SEI) : Resul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5 (25): 84-9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chool ->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1.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 2.4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