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경리 『토지』연구의 통시적 고찰 = A Diachronic Study on the Research Tendency of Park Kyeong Ni"s Novel Toji(土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박경리 『토지』에 대한 평단의 반응은 2부가 연재된 1973년부터 시작되었다. 1973년부터 3부 연재가 끝난 1980년까지를 ‘『토지』 연구 1기’라고 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주로 『토지』의 장르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연구자에 따라『토지』를 역사소설 또는 농민소설, 총괄체 소설 등으로 규정하고, 각자가 규정한 장르의 이상적인 소설 양식을 가정하고, 『토지』가 그러한 기준에 합당한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4부와 5부가 연재된 1981년부터 1997년까지는 ‘『토지』 연구 2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박경리는『토지』 1, 2, 3부의 성과에 힘입어 대가(大家)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이 시기 『토지』 연구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었다. 『작가 세계』나 『현대 문학』등의 문예지에서 여러 연구자들의 글을 묶어 ‘기획 특집’을 낸 것도 이 시기 연구의 특징이다.
      1998년 이후 『토지』 연구의 중심은 평론가 그룹에서 문학 연구자 그룹으로 옮겨간다. 연구 결과의 발표 지면 역시 문예지에서 학술논문집으로 바뀌었다. 이 시기에는 박경리와 『토지』 연구를 주제로 한 단행본 및 박사학위 논문이 다수 나왔다. 박경리와『토지』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들은 서로 소통하면서 본격적으로 『토지』연구의 성과를 심화시켰다.
      이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2014년에는 ‘토지 학회’가 창립되었다. 토지학회는 수많은 『토지』 연구자들을 네트워크화시켰고, 대중과의 학문적 소통도 시도하고 있다. ‘토지 학회’의 출범으로『토지』 연구의 주제는 더욱 깊고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박경리 『토지』에 대한 평단의 반응은 2부가 연재된 1973년부터 시작되었다. 1973년부터 3부 연재가 끝난 1980년까지를 ‘『토지』 연구 1기’라고 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주로 『토지』의 ...

      박경리 『토지』에 대한 평단의 반응은 2부가 연재된 1973년부터 시작되었다. 1973년부터 3부 연재가 끝난 1980년까지를 ‘『토지』 연구 1기’라고 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주로 『토지』의 장르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연구자에 따라『토지』를 역사소설 또는 농민소설, 총괄체 소설 등으로 규정하고, 각자가 규정한 장르의 이상적인 소설 양식을 가정하고, 『토지』가 그러한 기준에 합당한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4부와 5부가 연재된 1981년부터 1997년까지는 ‘『토지』 연구 2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박경리는『토지』 1, 2, 3부의 성과에 힘입어 대가(大家)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이 시기 『토지』 연구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었다. 『작가 세계』나 『현대 문학』등의 문예지에서 여러 연구자들의 글을 묶어 ‘기획 특집’을 낸 것도 이 시기 연구의 특징이다.
      1998년 이후 『토지』 연구의 중심은 평론가 그룹에서 문학 연구자 그룹으로 옮겨간다. 연구 결과의 발표 지면 역시 문예지에서 학술논문집으로 바뀌었다. 이 시기에는 박경리와 『토지』 연구를 주제로 한 단행본 및 박사학위 논문이 다수 나왔다. 박경리와『토지』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들은 서로 소통하면서 본격적으로 『토지』연구의 성과를 심화시켰다.
      이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2014년에는 ‘토지 학회’가 창립되었다. 토지학회는 수많은 『토지』 연구자들을 네트워크화시켰고, 대중과의 학문적 소통도 시도하고 있다. ‘토지 학회’의 출범으로『토지』 연구의 주제는 더욱 깊고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itics response of Park Kyeong Ni"s Novel Toji(土地) has started in 1973, when the Part II was serialized. Between the 1973 to 1980, when Part III serializations ended, can refer to "the Initial Stage of Research on Toji" and the researchers mainly discussed about the genre of Toji. Namely, defining Toji as a historical novel, agricultural novel, comprehensive total novel, et cetera by researchers, assume the ideal form of novel of the genre defined by themselves, and discuss weather Toji is eligible for those standards.
      Between 1981 to 1997, when the Part IV and V appeared, can refers to "the Second Stage of Research on Toji". Park Kyeong Ni was recognized as the master in her field at that time, thanks to the successes of the Part I, II, III of Toji. The research on Toji> at that time was expanded so enormously in the respect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that it was not comparable to the fomer days. The literary magazines like Jak-ka-segie or Hyundai-Minhak bound writings of various researchers and featured them. That was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f this period.
      After 1998, the center of the Toji research has moved to the group of literary researcher from the group of critics. The presenting paper of the outcome has also changed to the academic journals from the literary magazines. Many books and doctorate thesis themed at the research of Park Kyeong Ni or Toji were released at that time. The researchers who got the Ph.D from studying Park Kyeong Ni or Toji hav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intensified the outcome of the study in earnest.
      "The Association of Toji" was founded based on those achievements in 2014. The Association of Toji made the numerous Toji researchers networking, and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cademically. The themes of Toji studies are expected to be deeper and wider thanks to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of Toji.
      번역하기

      Critics response of Park Kyeong Ni"s Novel Toji(土地) has started in 1973, when the Part II was serialized. Between the 1973 to 1980, when Part III serializations ended, can refer to "the Initial Stage of Research on Toji" and the researchers mainly...

      Critics response of Park Kyeong Ni"s Novel Toji(土地) has started in 1973, when the Part II was serialized. Between the 1973 to 1980, when Part III serializations ended, can refer to "the Initial Stage of Research on Toji" and the researchers mainly discussed about the genre of Toji. Namely, defining Toji as a historical novel, agricultural novel, comprehensive total novel, et cetera by researchers, assume the ideal form of novel of the genre defined by themselves, and discuss weather Toji is eligible for those standards.
      Between 1981 to 1997, when the Part IV and V appeared, can refers to "the Second Stage of Research on Toji". Park Kyeong Ni was recognized as the master in her field at that time, thanks to the successes of the Part I, II, III of Toji. The research on Toji> at that time was expanded so enormously in the respect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that it was not comparable to the fomer days. The literary magazines like Jak-ka-segie or Hyundai-Minhak bound writings of various researchers and featured them. That was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f this period.
      After 1998, the center of the Toji research has moved to the group of literary researcher from the group of critics. The presenting paper of the outcome has also changed to the academic journals from the literary magazines. Many books and doctorate thesis themed at the research of Park Kyeong Ni or Toji were released at that time. The researchers who got the Ph.D from studying Park Kyeong Ni or Toji hav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intensified the outcome of the study in earnest.
      "The Association of Toji" was founded based on those achievements in 2014. The Association of Toji made the numerous Toji researchers networking, and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cademically. The themes of Toji studies are expected to be deeper and wider thanks to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of Toj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 목적 및 시기 구분
      • 2. 『토지』 연구의 골격 세우기 (1973년 ∼ 1980년)
      • 3. 양적 확대와 기획연구 (1981년 ∼ 1997년)
      • 4. 박경리 전문 연구자 그룹의 형성 (1998년 ∼ 현재
      • 5. 결론 및 제언
      • 1. 연구 목적 및 시기 구분
      • 2. 『토지』 연구의 골격 세우기 (1973년 ∼ 1980년)
      • 3. 양적 확대와 기획연구 (1981년 ∼ 1997년)
      • 4. 박경리 전문 연구자 그룹의 형성 (1998년 ∼ 현재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금복, "현대여성소설의 페미니즘 정신사" 새미 2000

      2 정미숙, "한국여성소설연구입문" 태학사 2002

      3 정영자, "한국여성소설연구" 세종 2002

      4 최유찬, "한국 근대문화와 박경리의 『토지』" 소명 2008

      5 황현산, "한ㆍ생명ㆍ대자대비 - 『토지』 비평집 2" 솔 1995

      6 정현기, "한(恨과) 삶 - 『토지』 비평 1" 1994

      7 최유찬, "토지의 문화지형학" 소명출판 2004

      8 김정자, "왜 다시 『토지』를 말하는가" 태학사 2007

      9 박완서, "수정의 메아리 - 박경리의 삶과 문학" 솔 1994

      10 최유찬, "세계의 서사문학과 『토지』" 서정시학 2008

      1 임금복, "현대여성소설의 페미니즘 정신사" 새미 2000

      2 정미숙, "한국여성소설연구입문" 태학사 2002

      3 정영자, "한국여성소설연구" 세종 2002

      4 최유찬, "한국 근대문화와 박경리의 『토지』" 소명 2008

      5 황현산, "한ㆍ생명ㆍ대자대비 - 『토지』 비평집 2" 솔 1995

      6 정현기, "한(恨과) 삶 - 『토지』 비평 1" 1994

      7 최유찬, "토지의 문화지형학" 소명출판 2004

      8 김정자, "왜 다시 『토지』를 말하는가" 태학사 2007

      9 박완서, "수정의 메아리 - 박경리의 삶과 문학" 솔 1994

      10 최유찬, "세계의 서사문학과 『토지』" 서정시학 2008

      11 토지문화재단, "봄날은 연구에 물들어" 마로니에북스 2009

      12 김윤식, "박경리와 토지" 강 2009

      13 이덕화, "박경리와 최명희, 두 여성적 글쓰기" 태학사 2000

      14 이미화, "박경리 토지와 탈식민적 페미니즘" 푸른사상 2012

      15 서현주, "박경리 토지와 윤리적 주체" 역락 2014

      16 이금란, "박경리 문학의 가족서사학" 인터북스 2014

      17 김은경, "박경리 문학 연구 - 움직임動과 멈춤靜의 상상력" 소명출판 2014

      18 조윤아, "박경리 문학 세계" 마로니에북스 2014

      19 조남현, "박경리 - 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 8" 서강대학교출판부 1996

      20 최유찬, "박경리" 새미출판사 1998

      21 최유찬, "문학과 게임의 상상력" 서정시학 2008

      22 최유찬, "『토지』를 읽는다 - 『토지』 비평집 3" 솔 1996

      23 이상진, "『토지』 인물 사전" 나남 2002

      24 이상진, "『토지』 연구" 월인 1999

      25 임우기, "『토지』 사전" 솔 1997

      26 김선주, "TV드라마 『토지』 연구" 월인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