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정은 중추신경계에 여러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급성 및 만성 주정투여시의 효과는 하나의 생물학적인 연속으로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변화는 주정의 일차적 효고 및 이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5359
1984
Korean
513.85
KCI등재
학술저널
215-225(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정은 중추신경계에 여러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급성 및 만성 주정투여시의 효과는 하나의 생물학적인 연속으로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변화는 주정의 일차적 효고 및 이에 ...
주정은 중추신경계에 여러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급성 및 만성 주정투여시의 효과는 하나의 생물학적인 연속으로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변화는 주정의 일차적 효고 및 이에 대한 이차적인 평형반응에 의한다.
1. 주정의 급격한 투여에 의한 효과는 생물학적 막(biological membrane)의 화학적 변화보다는 비특이적인 생물리적 변화에 의해 시작되며, 전반적으로 중추신경기능의 억제를 가져온다.
2. 주정의 만성투여에 의한 효과는, 생물학적 막의 지방성분의 변동으로 인한 막의 유동성의 변화에 대한 생리학적인 적응의 결과로서 내성 및 의존이 생기게 된다. 금단시에는 억압되었던 중추신경계가 보상적인 과잉흥분을 보인다.
3. 1970년대 이래로 주정의 중추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며, 주정은 opiate를 제외하고는 특이한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 같지는 않으며, catecholamine과 GABA는 상당히 연관되는 것으로 보이나, 그 외에 serotonin, acetylcholine 및 1980년대 들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peptides와의 관계는 아직 불명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cohol is capable of producing many biochemical changes in central nervous system. Theses changes are composed of direct primary effect and secondary homeostatic response. In this regard,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seems to be a biological cont...
Alcohol is capable of producing many biochemical changes in central nervous system. Theses changes are composed of direct primary effect and secondary homeostatic response. In this regard,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seems to be a biological continuum.
1. The primary effect of acute alcohol administration is initiated with nonspecific biophysical mechanism rather than biomembrane, and produces generalized depression of neuronal function.
2. Chronic alcohol administration produces tolerance and physical dependence due to physical adaptation to the changes of membrane fluidity caused by alteration of lipid composition in biological membrane. Upon withdrawal, central nervous system depression is replaced by compensatory neuronal hyperexcitability.
3. Since 1970, investigators have been trying to understand the role of alcohol on neurotransmitters. Although controversial, it seems that catecholaminergic and gamma-aminobutyric acidergic systems are significantly involved. But, the relation with other neurotransmitters such as serotonin, acetylcholine, and peptides which have been attracting much interest since 1980, is not clarified.
Diazepam이 기억과 정신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thanol이 Mouse 혈중 Phenytoin 농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