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정수,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가능(potential)의 의미 해석-대조적 관점에서-"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369-387, 2006
2 남수경, "한국어 피동문 연구" 월인 2007
3 김윤신, "한국어 피동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실현" 한국인지과학회 11 (11): 25-32, 2000
4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5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회 30 : 31-62, 2006
6 시라이시 치에미, "피동표현과 가능 속성 구문" 우리말학회 (23) : 113-138, 2008
7 백채원, "통사,의미적 특성이 유사한 어기와 피동사의 공존" 국어학회 (85) : 295-332, 2018
8 유영영, "지각동사 ‘보다’의 의미 연구 -상적(相的)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485-504, 2014
9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46
10 우인혜, "우리말 피동연구" 한국문화사 1997
1 목정수,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가능(potential)의 의미 해석-대조적 관점에서-"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369-387, 2006
2 남수경, "한국어 피동문 연구" 월인 2007
3 김윤신, "한국어 피동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실현" 한국인지과학회 11 (11): 25-32, 2000
4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5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회 30 : 31-62, 2006
6 시라이시 치에미, "피동표현과 가능 속성 구문" 우리말학회 (23) : 113-138, 2008
7 백채원, "통사,의미적 특성이 유사한 어기와 피동사의 공존" 국어학회 (85) : 295-332, 2018
8 유영영, "지각동사 ‘보다’의 의미 연구 -상적(相的)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485-504, 2014
9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46
10 우인혜, "우리말 피동연구" 한국문화사 1997
11 전영철, "소위 이중피동문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79-101, 2008
12 배희임, "국어피동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13 조민정, "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4 오충연, "국어 피동의 상" 한국어문학회 (100) : 111-141, 2008
15 홍윤기, "국어 문장의 상적 의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6 김천학, "他動詞와 ‘-어 있-’의 結合에 관한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6 (46): 81-102, 2018
17 남수경, "‘-어지다’ 意味 考察에 대한 試論 - 類型論的 觀點에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175-202, 2011
18 Smith, C,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1
19 Vendler, Z, "Linguistics and Philosophy"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20 Comrie, B, "Asp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