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language of Song Gyuryeom and his wife Andong Kim in terms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features, grammar, vocabulary, expressions, and lengths of sentences in <SongGyuryeomFamily’s Letter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85105
이래호 (강원대학교)
2019
Korean
송규렴가 언간 ; 안동김씨 ; 사회방언 ; 남녀 언어 ; 언어 차이 ; 표기 ; 문법 ; 어휘 ; 표현 ; Song Gyuryeom’s Family Letters ; Eongan ; Vernacular letters ; Andong Kim ; Socio-dialect ;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 Orthography ; Phonological Phenomena ; Grammar ; Vocabulary ; Expression
KCI등재
학술저널
7-37(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language of Song Gyuryeom and his wife Andong Kim in terms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features, grammar, vocabulary, expressions, and lengths of sentences in <SongGyuryeomFamily’s Letters ...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language of Song Gyuryeom and his wife Andong Kim in terms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features, grammar, vocabulary, expressions, and lengths of sentences in <SongGyuryeomFamily’s Letters (Eon-gan)>.
In order to study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homogeneity of comparable data and data from the same period and region are beneficial. The letters (eon-gan) of the Joseon Dynasty satisfy these considerations In <Song Gyuryeom Family’s Letter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ong’s and Kim’s letters in how the vowels are written, the system used to write glottal sound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syllabication and spelling of verbs reflect consonantal assimilation.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ong and Kim appear to refle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Grammatically, Kim’s language differs from Song’s in that she actively accepts the functional changes of the interrogative final ending -ㄴ다.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ir use of aninegatives, in that Song prefers short negatives, while Kim prefers long ones.
In terms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emotional expressions, adjectives, and adverbs that express emotional state appear frequently in Kim’s letters, which can be consider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language of actively expressing emotions. Finally, there are not many differences between Song’s and Kim’s letters in sentence length or letter length.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송규렴가 언간>을 중심으로 하여 송규렴과 그의 부인인 안동김씨의 언어가 표기법과 음운현상의 측면, 문법적 측면, 어휘 표현의 측면, 문장 길의 측면에서 어떻게 차이...
본고의 목적은 <송규렴가 언간>을 중심으로 하여 송규렴과 그의 부인인 안동김씨의 언어가 표기법과 음운현상의 측면, 문법적 측면, 어휘 표현의 측면, 문장 길의 측면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조선시대남성과 여성의 언어차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 자료의 동질성, 동일시기의 자료, 동일 지역의 자료가 적당한데, 언간은 이러한 고려사항을 만족한다. <송규렴가 언간>에서, 송규렴 언간과 안동김씨 언간은 된소리 표기와 모음의 ‘ㆍ>ㅡ’의 변화와 관련된 표기, 용언의 분철과 연철, 중철의 양상, 자음동화반영 양상에서 남녀의 언어 차이를 보여준다. 표기법과 음운현상은 남녀 개인적인 표기 의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문법적 측면에서, 안동김씨는 의문형 어미 ‘-ㄴ다’의 기능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능 반영에 소극적인 송규렴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아니’ 부정문의 경우 송규렴은 단형 부정문을 선호하고 안동김씨는 장형 부정문을 선호한다는점에서 차이가 있다. 어휘와 표현 측면에서,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감정 표현어와 형용사, 부사가 안동김씨 언간에 많이 나타나는데,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여성 언어의 특징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문장의 길이와 언간의 길이는송규렴 언간과 안동김씨 언간이 큰 차이가 없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연, "한국어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특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영미학연구소 8 : 177-188, 2003
2 김현주, "중세·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학회 (23) : 7-32, 2016
3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도서출판역락 2013
4 이래호,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 및 그 특성과 가치" 국어사학회 (20) : 65-126, 2015
5 이래호,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문법적 특징" 영주어문학회 35 : 37-64, 2017
6 서정범, "여성에 관한 명칭고" 숙명여대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8 : 77-108, 1969
7 유창돈, "여성어의 역사적 고찰" 숙명여대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5 : 37-72, 1966
8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9 박부자, "사회방언자료로서의 언간 연구 - 세대 간 언어 차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3 : 37-68, 2018
10 이석규,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 (2): 35-74, 1992
1 이화연, "한국어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특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영미학연구소 8 : 177-188, 2003
2 김현주, "중세·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학회 (23) : 7-32, 2016
3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도서출판역락 2013
4 이래호,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 및 그 특성과 가치" 국어사학회 (20) : 65-126, 2015
5 이래호,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문법적 특징" 영주어문학회 35 : 37-64, 2017
6 서정범, "여성에 관한 명칭고" 숙명여대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8 : 77-108, 1969
7 유창돈, "여성어의 역사적 고찰" 숙명여대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5 : 37-72, 1966
8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9 박부자, "사회방언자료로서의 언간 연구 - 세대 간 언어 차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3 : 37-68, 2018
10 이석규,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 (2): 35-74, 1992
11 유형선, "남성과 여성의 언어 사용 성향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14 : 21-34, 2004
12 이래호, "근대국어 하라체 의문형 어미에 대한 연구 -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102) : 117-142, 2017
13 민현식, "국어의 여성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34 : 7-64, 1995
14 민현식, "국어의 성별어 연구사" 한국사회언어학회 4 (4): 3-29, 1996
15 박은용, "고유여인 칭소 ‘召史’에 대하여"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7 : 205-216, 1978
16 이래호, "宋奎濂家 典籍 『先札』 所載 諺簡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13-136, 2004
17 趙恒範, "國語 親族語彙의 通時的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8 박은용, "‘마마’와 그 어의 변천에 대한 비교 연구"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9 : 215-225, 1980
19 장경준, "‘-어 하-’의 통합 현상에 관한 연구 : 현대 국어와 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문화충격을 둘러싼 뇌의 작동 메커니즘과 자각한 제주 패리아 ― 현기영의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 경력 교사와 예비 교사의 스캐폴딩 제공 빈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17·18세기 演雅體 漢詩 고찰 ― 黃庭堅의 <演雅>와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