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방형BIM기반 자동 법규 검토를 위한 피난계단 분류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ecent increase in high-rise buildings, vertical evacuation rout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nd stairs are a representative vertical evacuation route. In Korea, escape stair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e escape stairs’,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high-rise buildings, vertical evacuation rout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nd stairs are a representative vertical evacuation route. In Korea, escape stair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e escape stairs’, ‘outdoor escape stairs’, and ‘special escape stairs’. In the classified escape stairs, different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is applied depending on the building condition so that human casualties can be minimized in case of a disaster. As the building becomes larger and more complex,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designing suitable escape stairs is cumbersome. By using the openBIM based building code checking system, we want to automatically classify the types of escape stairs and check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relevant laws and categorizing stai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use, and floor area of the building, a flowchart was prepared. Also, the escape stairs BIM model modeling method for checking the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of fire escape stairs was proposed.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types of escape stairs and checking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it is expected to reduce errors in selecting escape stairs and help secure the safety of the vertical evacuation rou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현황
      • 3. 피난계단의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
      • 4. 피난계단 설치기준 검토를 위한 BIM 데이터 작성 방법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현황
      • 3. 피난계단의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
      • 4. 피난계단 설치기준 검토를 위한 BIM 데이터 작성 방법
      • 5. 피난계단 자동 검토 시스템 검증
      • 6.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중식, "피난법규 적용을 위한 개방형BIM기반의 품질검토시스템 시범개발 연구" 한국CDE학회 22 (22): 329-337, 2017

      2 이병현, "오피스 빌딩의 한국과 중국 피난관련 법 검토에 따른 개선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9 (29): 51-56, 2017

      3 김현태, "기존 건축물을 용도변경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화재 인명피해 예방과 피난 대책 -광주·전남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20 (20): 27-36, 2018

      4 현은미,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계획 분석을 통한 기준 개선 방향 - 국내외 법규 및 건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9 (19): 53-62, 2019

      5 최규출, "고층빌딩에서 옥외피난계단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3 (23): 63-69, 2009

      6 김인한, "개방형BIM환경에서의 룰기반 초고층건축물 피난법규 검토모듈 개발" 한국CDE학회 18 (18): 83-92, 2013

      7 김인한, "개방형BIM기반 건축 법규 검토를 위한 데이터 생성 가이드 제안" 한국CDE학회 26 (26): 112-121, 2021

      8 Yoo, H., "Understanding the US Disaster Prevention Regulations (2) - Evacuation Safety Rules" 157 : 32-39, 2015

      9 Lee, S., "Proposal of Development Process of openBIMbased Building Code Checking System" 171-173, 2020

      10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1 최중식, "피난법규 적용을 위한 개방형BIM기반의 품질검토시스템 시범개발 연구" 한국CDE학회 22 (22): 329-337, 2017

      2 이병현, "오피스 빌딩의 한국과 중국 피난관련 법 검토에 따른 개선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9 (29): 51-56, 2017

      3 김현태, "기존 건축물을 용도변경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화재 인명피해 예방과 피난 대책 -광주·전남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20 (20): 27-36, 2018

      4 현은미,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계획 분석을 통한 기준 개선 방향 - 국내외 법규 및 건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9 (19): 53-62, 2019

      5 최규출, "고층빌딩에서 옥외피난계단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3 (23): 63-69, 2009

      6 김인한, "개방형BIM환경에서의 룰기반 초고층건축물 피난법규 검토모듈 개발" 한국CDE학회 18 (18): 83-92, 2013

      7 김인한, "개방형BIM기반 건축 법규 검토를 위한 데이터 생성 가이드 제안" 한국CDE학회 26 (26): 112-121, 2021

      8 Yoo, H., "Understanding the US Disaster Prevention Regulations (2) - Evacuation Safety Rules" 157 : 32-39, 2015

      9 Lee, S., "Proposal of Development Process of openBIMbased Building Code Checking System" 171-173, 2020

      10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11 Public Procurement Service, "Framework Guidelines for BIM Application for Facilities Projects v2.0"

      12 Choi, J., "Development of openBIM Architectural Design Code Checking and Evaluation Technology" 99-100, 2019

      13 Sagar, M., "Development of an Object Model for Automated Compliance Checking" 49 (49): 51-58, 2015

      14 Choi, J., "Development of BIM-based Evacuation Regulation Checking System for High-rise and Complex Buildings" 46 : 38-49, 2014

      15 Park, J., "Criteria for Smoking Facilities in Skyscrapers" 38 (38): 10-25, 2009

      16 Solihin, W., "Classification of Rules for Automated BIM Rule Checking Development" 53 : 69-82, 2015

      17 Lin, W. Y., "Automating the Generation of Indoor Space Topology for 3D Route Planning Using BIM and 3D-GIS Techniques" 437-444, 2017

      18 Tanya, B., "Automated Model Checking for Topologically Complex Code Requirements – Security Room Case Study" 48-55, 2019

      19 Özgün, B.,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Model for Fire Egress Codes" 2 : 117-125, 2012

      20 Willy, S., "Assessment of the Building Code of Australia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BIM-enabled Code Checking Systems" 2013

      21 Simon, L., "Alternative Evacuation Design Solutions for High-rise Buildings" 16 (16): 487-500, 2007

      22 Kim, W., "A Survey of Fuel Loads in Office Buildings" 11 (11): 37-45,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CAD/CAM학회 -> 한국CDE학회
      영문명 : Society Of Cadcam Engineers -> Society for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6-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CAD/CAM학회 논문집 -> 한국CDE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CAD/CAM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553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