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0년 미얀마 총선 분석과 정치변동: 권위주의의 강화? 혼합체제의 탄생? = An Analysis on the 2010 General Elections and Prospect for Political Change in Myanmar: Toward Strengthening Authoritarianism or Birth of Hybrid Regim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both analyze the general elections held in November 2010 and prospect for the direction and characters of the political change in Myanmar. I specifically focus on the winning strategies of the military sponsored political party in the general elections, the winning constituencies of opposition parties as where the military junta did not expect or sure that the opposition parties never win, and power struggle and conflict among the incumbent political elites after the taking off the new government. The military government had intended to perpetuate its political power through making a new quasi-civilian government before holding the general elections, so it dominated that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general elections is meaningless. After holding the general elections, however, we witnessed that even a few but democratic forces have made inroads into the three parliaments each and key military members in the previous government have retired or transformed their political power to the civilian politicians, comparing rigid political environment that the military junta exclusively had decided to national policies over last twenty years.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is general elections are kind of milestone not to lead an immediate political change but laying a new road for political opening or political development. While mobilizing the members of the Union Solidary and Development Party which had been formed by military, civil servants, police and military members, the military government has held extensive advance vote. This is the crucial factor to win the general elections as well as main source for the election fraud. As some democratic candidates from the opposition parties including various regions elected in the large cities or strongholds, it is indirectly proved that the public prefer to the opposition parties. Furthermore, it could be a fundamental base to challenge the ruling party nominees in the future.
      On the other side, when the first regular session in the three parliaments has been convened there had elected president, two vice presidents and nominated executives. But it has not been noticed that democratic institutions has introduced and there are still barriers for the opposition members’ activities, so we cannot evaluate that political development is under visible. As it is a possibility triggering power struggle among retired-incumbent military members for power distribution again, we can expect a zero sum game among them to pull political change. Hence, it needs a micro approach when political crisis eventually happens in terms of short period.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both analyze the general elections held in November 2010 and prospect for the direction and characters of the political change in Myanmar. I specifically focus on the winning strategies of the military sponsored political party in t...

      This paper aims to both analyze the general elections held in November 2010 and prospect for the direction and characters of the political change in Myanmar. I specifically focus on the winning strategies of the military sponsored political party in the general elections, the winning constituencies of opposition parties as where the military junta did not expect or sure that the opposition parties never win, and power struggle and conflict among the incumbent political elites after the taking off the new government. The military government had intended to perpetuate its political power through making a new quasi-civilian government before holding the general elections, so it dominated that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general elections is meaningless. After holding the general elections, however, we witnessed that even a few but democratic forces have made inroads into the three parliaments each and key military members in the previous government have retired or transformed their political power to the civilian politicians, comparing rigid political environment that the military junta exclusively had decided to national policies over last twenty years.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is general elections are kind of milestone not to lead an immediate political change but laying a new road for political opening or political development. While mobilizing the members of the Union Solidary and Development Party which had been formed by military, civil servants, police and military members, the military government has held extensive advance vote. This is the crucial factor to win the general elections as well as main source for the election fraud. As some democratic candidates from the opposition parties including various regions elected in the large cities or strongholds, it is indirectly proved that the public prefer to the opposition parties. Furthermore, it could be a fundamental base to challenge the ruling party nominees in the future.
      On the other side, when the first regular session in the three parliaments has been convened there had elected president, two vice presidents and nominated executives. But it has not been noticed that democratic institutions has introduced and there are still barriers for the opposition members’ activities, so we cannot evaluate that political development is under visible. As it is a possibility triggering power struggle among retired-incumbent military members for power distribution again, we can expect a zero sum game among them to pull political change. Hence, it needs a micro approach when political crisis eventually happens in terms of short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2010년 실시된 미얀마 총선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체제변동의 방향과 특성을 전망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 대상은 군부 후원의 여당이 총선 승리를 도모하기 위한 전략, 군부정권이 예상치 못하거나 예상외의 결과로서 야당 승리 지역과 그 특징,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치 엘리트 간의 권력 갈등과 경쟁 등이다. 본 총선은 총선 전부터 군부가 유사민간정권을 출범시켜 그들의 정치권력을 항구화하기 위한 의도된 정치적 전략으로 평가된바 총선 자체에 대한 분석이 무의미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지난 20년 간 군사평의회에 의해 국가정책이 결정되던 경직된 정치 환경과 달리 본 총선 이후 비록 소수지만 민주인사들의 원내 진입이 확정되었고, 주요 군 인사들은 퇴진 또는 민간정치인으로 탈바꿈했다. 결국 금번 총선은 즉각적인 체제변동을 견인할 수 없지만 향후 정치적 개방이나 정치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군부는 연방단결발전당(USDP) 당원, 공무원, 경찰, 군인 등 친군부 세력을 동원하여 광활한 차원의 부재자투표를 실시했고, 이는 USDP의 총선 승리의 결정적 동인이었다. 그러나 지역에 기반을 둔 소수정당을 비롯하여 민주세력들이 대도시 및 지방도시 거점을 접수함으로써 민의가 야당을 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증명했고, 나아가 여당과 대결구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총선 이후 정기국회가 개회되었고 정부통령 선출 및 내각이 구성되었으나 민주적 제도가 도입되지 못했고 야당세력의 약진이 목도되지 않음에 따라 현 수준에서 가시적인 체제변동이 진행 중에 있다고 평가할 수 없다. 다만 전현직 정치엘리트 간의 권력 갈등과 경쟁이 재점화됨에 따라 권력배분과 이에 대한 대결구도가 영합의 결과로 마무리 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따라서 단기적 측면에서 미얀마의 체제변동 방향과 내용은 미시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2010년 실시된 미얀마 총선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체제변동의 방향과 특성을 전망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 대상은 군부 후원의 여당이 총선 승리를 도모하기 위한 전략, 군...

      이 글의 목적은 2010년 실시된 미얀마 총선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체제변동의 방향과 특성을 전망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 대상은 군부 후원의 여당이 총선 승리를 도모하기 위한 전략, 군부정권이 예상치 못하거나 예상외의 결과로서 야당 승리 지역과 그 특징,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치 엘리트 간의 권력 갈등과 경쟁 등이다. 본 총선은 총선 전부터 군부가 유사민간정권을 출범시켜 그들의 정치권력을 항구화하기 위한 의도된 정치적 전략으로 평가된바 총선 자체에 대한 분석이 무의미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지난 20년 간 군사평의회에 의해 국가정책이 결정되던 경직된 정치 환경과 달리 본 총선 이후 비록 소수지만 민주인사들의 원내 진입이 확정되었고, 주요 군 인사들은 퇴진 또는 민간정치인으로 탈바꿈했다. 결국 금번 총선은 즉각적인 체제변동을 견인할 수 없지만 향후 정치적 개방이나 정치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군부는 연방단결발전당(USDP) 당원, 공무원, 경찰, 군인 등 친군부 세력을 동원하여 광활한 차원의 부재자투표를 실시했고, 이는 USDP의 총선 승리의 결정적 동인이었다. 그러나 지역에 기반을 둔 소수정당을 비롯하여 민주세력들이 대도시 및 지방도시 거점을 접수함으로써 민의가 야당을 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증명했고, 나아가 여당과 대결구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총선 이후 정기국회가 개회되었고 정부통령 선출 및 내각이 구성되었으나 민주적 제도가 도입되지 못했고 야당세력의 약진이 목도되지 않음에 따라 현 수준에서 가시적인 체제변동이 진행 중에 있다고 평가할 수 없다. 다만 전현직 정치엘리트 간의 권력 갈등과 경쟁이 재점화됨에 따라 권력배분과 이에 대한 대결구도가 영합의 결과로 마무리 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따라서 단기적 측면에서 미얀마의 체제변동 방향과 내용은 미시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퇴역군인 인터뷰"

      2 "익명 인터뷰"

      3 연방선거위원회, "연방선거위원회 고시 제 2011/1호"

      4 연방선거위원회, "연방선거위원회 고시 제 2010/97호"

      5 University Press, "버마/미얀마: 모두가 알아야 할 사실들" 높 이깊이 2011

      6 Election, "Yangon: Human Rights Defenders and Promoters Network" 2010

      7 Aung Zaw, "The Rut and Roar Begins in Burma" The Irrawaddy 2011

      8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The Region Hluttaw or the State Hluttaw Election Law"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17-18, 2010

      9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The Pyithu Hluttaw Election Law"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17-18, 2010

      10 Htet Aung, "The Nov.7 Election in Numbers" The Irrawaddy 2010

      1 "퇴역군인 인터뷰"

      2 "익명 인터뷰"

      3 연방선거위원회, "연방선거위원회 고시 제 2011/1호"

      4 연방선거위원회, "연방선거위원회 고시 제 2010/97호"

      5 University Press, "버마/미얀마: 모두가 알아야 할 사실들" 높 이깊이 2011

      6 Election, "Yangon: Human Rights Defenders and Promoters Network" 2010

      7 Aung Zaw, "The Rut and Roar Begins in Burma" The Irrawaddy 2011

      8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The Region Hluttaw or the State Hluttaw Election Law"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17-18, 2010

      9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The Pyithu Hluttaw Election Law"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17-18, 2010

      10 Htet Aung, "The Nov.7 Election in Numbers" The Irrawaddy 2010

      11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The Amyotha Hluttaw Election Law"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2010

      12 The Irrawaddy, "Than Shwe Retired, But Not Sidelined: Htay Oo" The Irrawaddy 2011

      13 Wai Moe, "Than Shwe Plans No Retirement from Power" The Irrawaddy 2010

      14 SPDC, "SPDC 고시 제 2008/2호"

      15 The Irrawaddy, "Poll: Many Believe USDP Candidates will Win" The Irrawaddy 2010

      16 "New Light of Myanmar"

      17 The Irrawaddy, "NUP Concedes Defeat" The Irrawaddy 2010

      18 ICG(International Crisis Group), "Myanmar’s Post-Election Landscape" ICG 2011

      19 AFP, "Myanmar Cancels Voting in more Minority areas" AFP 2010

      20 "Myanma Alin"

      21 Khing Thwe, "Many Won’t Vote without NLD" The Irrawaddy 2010

      22 "Kyemon"

      23 The Irrawaddy, "Junta Censors Election Fraud News" The Irrawaddy 2010

      24 Hset Linn, "I’ve Retired, Says Than Shwe" The Irrawaddy 2011

      25 Thar Gyi, "Illegal USDP Campaign Tactics" The Irrawaddy 2010

      26 Wai Moe, "General Unhappy About Retirement" The Irrawaddy 2010

      27 Przeworski, Adam, "Democracy and the Market: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in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8 "David I. Steinberg 인터뷰"

      29 Human Rights Defenders and Promoters Network, "Concerning Human Rights and Burma’s" 2010

      30 Sai Zom Hseng, "Central Govt Retakes Control" The Irrawaddy 2011

      31 Schumpeter, J,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arper Perennial 1950

      32 Burma Fund UN Office, "Burma’s 2010 Elections: A Comprehensive Report" Burma Fund UN Office 21-24, 2011

      33 Steinberg, David I, "Burma/Myanmar: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2010

      34 Wai Moe, "Advance Vote Push Reflects Junta's Fears" The Irrawaddy 2010

      35 장준영, "2010년 총선 이후 미얀마 체제변동 전망과 그에 따른 한국의 진출 전략" 대 외경제정책연구원 63-7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8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