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연공기전지를 위한 Polyvinyl Alcohol과 Poly (acrylic acid)의 블랜드를 이용한 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68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PVA와 PAA블랜드의 용액주조법을 통하여 겔 고분자 전해질막이 제조되었다. 블랜드 내의 PAA함량은 30에서 80 wt% 사이 범위에서 조절되었다. 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아연공기전지를 제작...

      PVA와 PAA블랜드의 용액주조법을 통하여 겔 고분자 전해질막이 제조되었다. 블랜드 내의 PAA함량은 30에서 80 wt% 사이 범위에서 조절되었다. 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아연공기전지를 제작하였다. 제조된 겔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인장실험과 임피던스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아연공기전지의 성능은 current interrupt method와 정전류 방전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겔 고분자 전해질 내의 PAA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계수가 감소하였다. 반면, PAA함량의 증가에 따라 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이온전도도의 증가의 아연공기전지 내에서의 효과는 current interrupt method와 정전류 방전실험에서 확인되었다. PAA함량이 높은 겔 전해질막으로 제조된 전지는 낮은 IR손실과 높은 방전용량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ere prepared from blends of polyvinyl alcohol (PVA) and poly (acrylic acid) (PAA), by solution-cast technique. The PAA content in the blend varied from 30 to 80 wt%. With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Zn air...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ere prepared from blends of polyvinyl alcohol (PVA) and poly (acrylic acid) (PAA), by solution-cast technique. The PAA content in the blend varied from 30 to 80 wt%. With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Zn air batteries were fabricated.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stress-strain test, impedance test. The Zn air batteries were tested by current interrupt method and galvanostatic discharge method.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modulus decreased with increasing PAA content 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n the other hand, the ionic condu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PAA content. The effect of ionic conductivity trend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the Zn air battery was confirmed through current interrupt method and galvanostatic discharge method experiments. The battery with higher PAA content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howed lower IR drop and higher discharge capa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승욱, "휴대전화기용 아연공기전지 개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7 (17): 936-941, 2004

      2 구자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 한국막학회 18 (18): 345-353, 2008

      3 구자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가소제의 효과" 한국막학회 20 (20): 13-20, 2010

      4 구자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KI 및 I2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의 이온전도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막학회 20 (20): 21-28, 2010

      5 김지훈, "도전재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아연공기전지의 cathode 특성연구" 한국전기화학회 5 (5): 74-78, 2002

      6 C.-C. Ya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polyvinyl alcohol and poly (epichlorohydrin) blend polymer electrolytes and performance in electrochemical cells" 122 : 210-, 2003

      7 X. Zhu,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polymer gel electrolyte polymerized from acrylic acid and KOH solution" 49 : 2533-, 1995

      8 H. I. Cho, "Preparation and characteriztion of the surface fluorinated PVA/PSSA_MA electrolyte membranes Fuel Cell Applications" Hannam Univ. 2008

      9 G. M. Wu,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A/PAA membranes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s" 275 : 127-, 2006

      10 C.-C. Yang, "Alkaline composite PEO-PVA-glass-fibre-mat polymer electrolyte for Zn-air battery" 112 : 497-, 2002

      1 엄승욱, "휴대전화기용 아연공기전지 개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7 (17): 936-941, 2004

      2 구자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 한국막학회 18 (18): 345-353, 2008

      3 구자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가소제의 효과" 한국막학회 20 (20): 13-20, 2010

      4 구자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KI 및 I2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의 이온전도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막학회 20 (20): 21-28, 2010

      5 김지훈, "도전재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아연공기전지의 cathode 특성연구" 한국전기화학회 5 (5): 74-78, 2002

      6 C.-C. Ya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polyvinyl alcohol and poly (epichlorohydrin) blend polymer electrolytes and performance in electrochemical cells" 122 : 210-, 2003

      7 X. Zhu,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polymer gel electrolyte polymerized from acrylic acid and KOH solution" 49 : 2533-, 1995

      8 H. I. Cho, "Preparation and characteriztion of the surface fluorinated PVA/PSSA_MA electrolyte membranes Fuel Cell Applications" Hannam Univ. 2008

      9 G. M. Wu,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A/PAA membranes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s" 275 : 127-, 2006

      10 C.-C. Yang, "Alkaline composite PEO-PVA-glass-fibre-mat polymer electrolyte for Zn-air battery" 112 : 497-, 2002

      11 G. M. Wu, "Alkaline Zn-air and Al-air cells based on novel solid PVA/PA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280 : 802-, 2006

      12 S. Lazarou, "A simple electric circuit model for proton exchangemembrane fuel cells" 190 : 380-,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7 0.318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