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조사 = Survey of non-clnical studies for gene therapies based on genome editing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1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ome editing is an innovative molecular tool for the efficient and permanent alteration of genetic information in cells. Therapeutic application of genome editing is growing fast in the light of the clinical and industrial success of gene therapi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hope to the patients suffering from rare genetic and intractable diseases. The current study aims to survey the statu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non-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of therapeutic genome editing. The publication of research papers on genome editing technology, especially involving CRISPR/Cas9 is growing fast annually. In other hands, the clinical trials of gene therapies based on genome editing are relatively slowly launched reflecting the gap between the science and translation. The US is leading the clinical trials involving genome editing, but China is also an important player, likely in line with the growths of clinical trials of gene-added immune cell therapies. In terms of therapeutic approaches, ex vivo applications of genome editing are in the clinic much more than in vivo applications. It is likely because in vivo applications of genome editing involves more uncertainties of efficacy and safety. The study also describes the techniques involved in the study of specificity and immunogenicity of genome editing tools, which is a new aspect of non-clinical validation compared to other gene therapies. The comprehensive survey of publically available non-clinical data for representative genome editing therapy programs shows that trends of study design for the validation of efficacy and safety.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tatus of genome editing as a therapeutic tool and the ground for the discussion on the regulatory framework required for the genome editing technology.
      번역하기

      Genome editing is an innovative molecular tool for the efficient and permanent alteration of genetic information in cells. Therapeutic application of genome editing is growing fast in the light of the clinical and industrial success of gene therapies ...

      Genome editing is an innovative molecular tool for the efficient and permanent alteration of genetic information in cells. Therapeutic application of genome editing is growing fast in the light of the clinical and industrial success of gene therapi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hope to the patients suffering from rare genetic and intractable diseases. The current study aims to survey the statu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non-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of therapeutic genome editing. The publication of research papers on genome editing technology, especially involving CRISPR/Cas9 is growing fast annually. In other hands, the clinical trials of gene therapies based on genome editing are relatively slowly launched reflecting the gap between the science and translation. The US is leading the clinical trials involving genome editing, but China is also an important player, likely in line with the growths of clinical trials of gene-added immune cell therapies. In terms of therapeutic approaches, ex vivo applications of genome editing are in the clinic much more than in vivo applications. It is likely because in vivo applications of genome editing involves more uncertainties of efficacy and safety. The study also describes the techniques involved in the study of specificity and immunogenicity of genome editing tools, which is a new aspect of non-clinical validation compared to other gene therapies. The comprehensive survey of publically available non-clinical data for representative genome editing therapy programs shows that trends of study design for the validation of efficacy and safety.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tatus of genome editing as a therapeutic tool and the ground for the discussion on the regulatory framework required for the genome editing tech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전자가위는 새로운 치료 도구로 빠르게 유전자치료 및 유전자세포치료와 접목되어 개발되고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맞추어 치료적 응용을 원활히 하여 희귀 유전질병 및 난치성 질병에 대한 획기적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은 사회 구성원의 건강한 삶과 국가의 경제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전자가위 기술의 연구 현황 및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사 평가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유전자가위 기술 연구 현황을 연도 및 국가별로 조사하였으며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의 임상 현황을 조사하고 다양한 각도로 분석함. 또한,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비임상 연구에 관련하여 중요한 기법을 조사 함. 임상 및 비임상 수준에서 개발되고 있는 대표적인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배경, 구성요소 조사 및 공개되어 있는 비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효력 및 안전성 연구에 대한 현황을 정리함. 이를 바탕으로 기존 유전자치료에 비해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개발 과정 및 심사 과정에서 새롭게 고려 되어야 하는 유전자가위의 특이성 및 면역성에 대한 심사평시 고려사항들에 대해 제안함. 본 연구는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시사 평가 시 필요한 배경 지식 제공과 함께 심사 평가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고 해당 분야에 필요한 규제과학 및 분석법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유전자가위는 새로운 치료 도구로 빠르게 유전자치료 및 유전자세포치료와 접목되어 개발되고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맞추어 치료적 응용을 원활히 하여 희귀 유전질병 ...

      유전자가위는 새로운 치료 도구로 빠르게 유전자치료 및 유전자세포치료와 접목되어 개발되고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맞추어 치료적 응용을 원활히 하여 희귀 유전질병 및 난치성 질병에 대한 획기적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은 사회 구성원의 건강한 삶과 국가의 경제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전자가위 기술의 연구 현황 및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사 평가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유전자가위 기술 연구 현황을 연도 및 국가별로 조사하였으며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의 임상 현황을 조사하고 다양한 각도로 분석함. 또한,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비임상 연구에 관련하여 중요한 기법을 조사 함. 임상 및 비임상 수준에서 개발되고 있는 대표적인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배경, 구성요소 조사 및 공개되어 있는 비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효력 및 안전성 연구에 대한 현황을 정리함. 이를 바탕으로 기존 유전자치료에 비해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개발 과정 및 심사 과정에서 새롭게 고려 되어야 하는 유전자가위의 특이성 및 면역성에 대한 심사평시 고려사항들에 대해 제안함. 본 연구는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시사 평가 시 필요한 배경 지식 제공과 함께 심사 평가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고 해당 분야에 필요한 규제과학 및 분석법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