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양국은 역사상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元·明·清 三代에 걸쳐 이러한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세 시대의 수도가 모두 北京이었으므로 한인들에게 북경은 더 이상 낯선 도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 양국은 역사상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元·明·清 三代에 걸쳐 이러한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세 시대의 수도가 모두 北京이었으므로 한인들에게 북경은 더 이상 낯선 도시�...
한중 양국은 역사상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元·明·清 三代에 걸쳐 이러한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세 시대의 수도가 모두 北京이었으므로 한인들에게 북경은 더 이상 낯선 도시가 아니었다. 근대에 접어들어 일제의 침략이 심해짐에 따라 많은 한인들은 중국에 이주하였는데 그 중에는 북경에 이주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특히 일제가 한국의 국권을 침탈한 후에 많은 한국 애국지사들은 독립운동의 목적을 품고 북경에 이주하였다. 북경은 특수한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각지 중국 관내지역의 한인독립운동세력과 동북의 한인독립운동세력, 그리고 국내의 반일세력과 연락을 담당하는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북경은 上海에 이어 독립운동이 가장 활발한 중국 관내지역 도시 중 한 곳이 되었다. 그러나 북경의 한인독립운동세력은 사상, 이념의 대립과 독립운동노선의 차이로 인해 민족주의자, 공산주의자, 무정부주의자로 나뉘어져 각파의 역량이 상황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한인독립운동세력 중에서도 민족주의세력이 임시정부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들 민족주의자 안에도 반임시정부 성향의 인물들이 있었으나 이는 독립운동노선에 대한 이견과 임시정부의 조직형태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들은 미국에 위임통치를 제안한 이승만과 그의 추종자들을 중점적으로 비난하였고, 이는 비타협적 독립운동노선의 표출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들이 주도하는 일련의 활동들이 좌절을 맞으면서 민족주의자들의 사상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고, 반임시정부의 경향도 소실되었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시종일관 북경의 한인독립운동세력을 효과적으로 지도하지 못하였고, 중국 관내지역 한인독립운동세력의 통합 역시 중국의 전면적 항일전쟁 개시 후에야 실현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孫科志, "상해한인사회사연구" 學苑출판사 2004
2 손염홍, "북경지역 한인사회(1910~1948)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3 손염홍, "북경지역 한인사회(1910~1948)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4 崔洪奎, "단재신채호" 太极출판사 1979
5 金榮範, "韓國近代民族運動과 義烈團" 創作과 批評社 1997
6 한국국가보훈처, "獨立有功者功勳錄 5"
7 "朝保秘第74號, 不穩雜誌‘渡頭’ノ記事ニ關スル件"
8 조선총독부경무국,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昭和11年5월" 高麗書林 1986
9 "日本外務省警察史: 支那ノ部(sp205-206)"
10 孫艶紅, "日本侵略下 北平朝鮮人社會硏究, In 韓國學論文集 18" 遼寧民族出版社 2010
1 孫科志, "상해한인사회사연구" 學苑출판사 2004
2 손염홍, "북경지역 한인사회(1910~1948)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3 손염홍, "북경지역 한인사회(1910~1948)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4 崔洪奎, "단재신채호" 太极출판사 1979
5 金榮範, "韓國近代民族運動과 義烈團" 創作과 批評社 1997
6 한국국가보훈처, "獨立有功者功勳錄 5"
7 "朝保秘第74號, 不穩雜誌‘渡頭’ノ記事ニ關スル件"
8 조선총독부경무국,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昭和11年5월" 高麗書林 1986
9 "日本外務省警察史: 支那ノ部(sp205-206)"
10 孫艶紅, "日本侵略下 北平朝鮮人社會硏究, In 韓國學論文集 18" 遼寧民族出版社 2010
11 梁志善, "天津地區韓人社會硏究" 復旦大學 2012
12 曺圭泰, "天津不變團의 組織과 活動" 23 : 2004
13 幸野保典, "天津における朝鮮人" 23 : 2003
14 李丁奎, "友堂李會榮略傳" 乙酉出版社 1985
15 일본사법성형사국, "北支地方に 於ける要视察(容疑者を含む)朝鲜人の 概况(昭和十四年六月末现在)"
16 黃妙姬, "侵略戰爭時期天津親日韓人의 組織硏究" 28 : 2007
17 徐行, "中韓關係史上的重要一頁–戰後天津暨華北韓僑的集中管理與遣返" (4) : 2005
18 金光載, "中日戰爭時期 中國華北地方의 韓人移住와 盧臺農場" 11 : 1999
19 朴桓, "1920년대전기 北京地區의 韓人無政府主義者" 37 : 2003
20 孫艶紅, "1920년대 전반기 북경의 朝鮮人共産主義運動, In 韓國硏究論總 22" 世界知識出版社 2010
21 박환, "1920년대 전반 북경지역 한인아나키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7 : 5-38, 2003
22 손과지, "1920·30년대 북경지역 한인독립운동" 부산경남사학회 (51) : 75-109, 2004
23 辛珠栢, "1920~1930年代 北京의 韓人民族運動" 23 : 2002
24 일본외무성, ", In 日本之韓國侵略史料叢書 25" 韓國出版文化院 1988
25 연세대학국제대학원부설현대한국학연구, "(梨花莊소장)우남이승만문서:동문편 第5卷:삼일운동관련문서2"
설화를 통해 본 아시아인의 가치관 –‘운명론적 사고’와 ‘혈연, 가족의 윤리’, ‘강자에 대한 약자의 저항’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6-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 ![]() |
2013-03-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3 | 1.457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