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桥荣记』는 『臺北人』에 수록된 소설 중에서 가장 사실적인 소설이다. 작가는 식당 여주인의 시점으로 중국 대륙에서 피난 나와 臺北에서 살아가고 있는 서민들의 비극적인 삶을 사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花桥荣记』는 『臺北人』에 수록된 소설 중에서 가장 사실적인 소설이다. 작가는 식당 여주인의 시점으로 중국 대륙에서 피난 나와 臺北에서 살아가고 있는 서민들의 비극적인 삶을 사실...
『花桥荣记』는 『臺北人』에 수록된 소설 중에서 가장 사실적인 소설이다. 작가는 식당 여주인의 시점으로 중국 대륙에서 피난 나와 臺北에서 살아가고 있는 서민들의 비극적인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자신의 비극의식을 표출하였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각자 신분도 다르고 개성도 다르지만 작가는 그들의 형상을 매우 사실적이고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외모와 동작의 묘사를 통하여 인물의 성격과 개성을 드러내는 ‘以形傳神’의 기교를 이용하여 등장인물의 형상을 매우 선명하고 생생하게 묘사하였다. 그리고 언어묘사에서도 모두 그들의 신분에 걸맞지 않은 것이 없다. 백선용은 정제되고 섬세한 필치로 그가 경험한 세계를 그려내었다. 식당 여주인, 盧先生, 李半城, 秦癲子, 阿春 등이 서로 다른 개성과 성격으로 모두가 살아서 움직이고 있다. 소설은 시대의 변혁으로 야기된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서민들의 비극적인 삶을 다양한 양상으로 그려내었다.
『花橋榮記』는 인물형상에 매우 심혈을 기울인 작품이다. 작가는 주요인물을 형상화하면서 인물간의 대비와 한 인물의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통해 비극의식을 나타내었다. 본고에서는 『花橋榮記』의 주요인물을 대상으로 작가가 어떠한 창작기교를 사용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시키는 人物形象을 만들어내었는지를 본문을 위주로 분석 고찰하였다. 전체적으로 『花橋榮記』의 인물형상 기교에 나타난 특징은 인물의 외모와 행동 등의 묘사를 거쳐 독자들에게 인물에 대한 선명한 인상과 적당한 상상의 공간을 남겨두었고, 등장인물의 외모와 행동이 환경에 따라 전후 완전히 다른 변화를 보여주었다.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이러한 변화를 정제되고 섬세한 필치로 인물의 형상화를 통하여 『臺北人』의 주제인 ‘今昔之比’와 ‘靈肉之爭’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白先勇, "驀然回首" 爾雅出版社 1978
2 王晉民, "論白先勇的創作特色" 1981
3 陳靑, "論白先勇小說心理描寫的藝術特色, In 臺灣香港文學論文選:首屆臺灣香港論會專輯" 1983
4 袁良駿, "融傳統于現代" 1990
5 白先勇, "臺北人" 爾雅出版社 1971
6 袁良駿, "白先勇論" 爾雅出版社 1991
7 文忠, "白先勇小說藝術散論" 1990
8 文忠, "白先勇小說藝術散論" 1990
9 易明善, "略论白先勇短篇小说的语言描写艺术" 1983
10 歐陽子, "王謝堂前的燕子" 爾雅出版社 1976
1 白先勇, "驀然回首" 爾雅出版社 1978
2 王晉民, "論白先勇的創作特色" 1981
3 陳靑, "論白先勇小說心理描寫的藝術特色, In 臺灣香港文學論文選:首屆臺灣香港論會專輯" 1983
4 袁良駿, "融傳統于現代" 1990
5 白先勇, "臺北人" 爾雅出版社 1971
6 袁良駿, "白先勇論" 爾雅出版社 1991
7 文忠, "白先勇小說藝術散論" 1990
8 文忠, "白先勇小說藝術散論" 1990
9 易明善, "略论白先勇短篇小说的语言描写艺术" 1983
10 歐陽子, "王謝堂前的燕子" 爾雅出版社 1976
11 劉俊, "悲憫情懷─白先勇評傳" 爾雅出版社 1995
12 楊亞月, "從白先勇 臺北人 的創作試探其審悲經驗" 20 (20): 2000
13 胡菊人, "小說技巧" 遠景出版社 1978
14 王晉民, "將傳統融入現代的白先勇, In 寂寞的十七歲" 花城出版社 2000
15 葉郞, "中國小說美學" 里仁書局 1987
16 李奭學, "三看白先勇" 允晨文化 2008
17 황현국, "『臺北人』에 나타난 작가의 悲劇意識" 중국어문학연구회 (27) : 437-453, 2004
18 황현국, "≪臺北人≫에 나타난 작가의 死亡意識" 중국어문논역학회 25 (25): 41-61, 2009
설화를 통해 본 아시아인의 가치관 –‘운명론적 사고’와 ‘혈연, 가족의 윤리’, ‘강자에 대한 약자의 저항’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6-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 ![]() |
2013-03-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3 | 1.457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