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분석의 층위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서는 영국의 산업혁명을 지식혁명 논의의 세 층위에 따라 각각 계몽주의(유럽 차원), 숙련지식기술(영국 차원), 지식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6343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분석의 층위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서는 영국의 산업혁명을 지식혁명 논의의 세 층위에 따라 각각 계몽주의(유럽 차원), 숙련지식기술(영국 차원), 지식기...
이 연구는 분석의 층위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서는 영국의 산업혁명을 지식혁명 논의의 세 층위에 따라 각각 계몽주의(유럽 차원), 숙련지식기술(영국 차원), 지식기술제도(기업/기술자 차원)에 관해 다룬다.
제 I부는 ‘유럽 근대화와 계몽주의’라는 제목을 달고 있으며,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에서 근대화와 지식의 관계를 면밀히 검토한다. 근대화의 개념규정을 둘러싼 논쟁을 고찰하고, 산업혁명이 근대화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계몽주의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한다. 계몽주의가 과학혁명과 어떻게 관련되며, 기술진보에 대해 어떤 시사점을 지니는가에 대해 탐구한다. 특히 '산업계몽'이라는 개념의 정의와 유용성에 대해 논의한다.
제 II부는 '영국의 산업혁명과 혁신‘이다. 제 4장에서는 영국 산업혁명의 특질을 살펴보고, 이 시기 기술진보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에 대해 논의한다. 거시발명(macro-invention)과 미시개량(micro-improvement)의 구분이 왜 유용하며, 이 구분이 기초과학과 실용기술의 구분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탐구한다. 또한 계몽주의적 사고로부터 고전파 경제학이 탄생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제 5장은 영국의 유럽의 경쟁국들보다 산업화를 빠르게 성공한 지적·기술적 비결에 대한 논의를 담는다. 혁신에 대한 경제학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영국의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제 III부는 ‘혁신의 상용화’를 주제로 한다. 제 6장을 통해서 현실에서의 선택 문제를 다룬다. 즉 혁신적 기술을 개발한 기업가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무엇이었으며, 각각의 선택은 기술의 안전한 확보와 혁신가에게 주어지는 보상이라는 두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분석한다. 제 7장에서는 산업별 분석이 이루어진다. 직물공업(특히 면공업), 석탄공업, 기계공업, 전통공업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서 혁신이 이루어진 메커니즘과 장기적 영향에 대해 논의를 한다.
마지막으로 제 8장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많은 이론적·실증적 연구들을 종합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분석 결과와 결합함으로써 산업혁명과 지식혁명에 관한 논의를 정리한다. 그리고 이 연구가 3차 산업혁명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오늘날의 세계경제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를 서술하는 것으로 책을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