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허혈-재관류 신손상 백서에서 Cyclosporin A와Mycophenolate Mofetil이 TGF-β1 및Endothelin-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yclosporin A andMycophenolate Mofetil on Expression of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andEndothelin-1 Following RenalIschemia-reperfusion in R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7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Nephrotoxicity of cyclosporin A (CsA) remains a major obstacle for the clinical use of this potent immunosuppressant. It is likely that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and endothelin-1 (ET-1) play a central role in initiation and/or progression of CsA induced nephropathy in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t is proposed that the new immunosuppressive drug mycophenolate mofetil (MMF) reduces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in comparison with azathioprine.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TGF-β and ET-1 in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ed rats and to see the effect of CsA or MMF on the expression of these mediators. Effects of coadministration of CsA and MMF were also evaluated.
      Methods:Sprague-Dawley rats (N=60) performed right nephrectomy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experimental methods. Control group underwent right nephrectomy. After the right nephrectomy, to induce renal ischemia, the left renal vascular pedicle was occluded for 30 minutes with vascular clamps in all experimental groups. After 30 minutes, the clamps were removed to undergo reperfusion. In control group, ischemic injury wasn't done. CsA group was administered CsA (10 mg/kg/ day, S.C) after the operation. CsA and MMF group was coadministered CsA (10 mg/kg/day, S.C) and MMF (10 mg/kg/day, P.O). MMF group was administered MMF (10 mg/kg/day, P.O). After 7 days, the left kidney was remov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immunofluorescent and molecular analyses for TGF-β1 and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immunofluorescent analyses for ET-1.
      Results:The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fluorescent expression density for TGF-β1 in CsA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fluorescent expression density and mRNA production for ET-1 in CsA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expression density for TGF-β1 and ET-1 in CsA and MMF group was less than in CsA group. The expression density for TGF-β1 and ET-1 in MMF group was less than in CsA group and CsA and MMF group, was similar to ischemia-reperfusion group.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MMF does not seem to have nephrotoxic effects, and seems to have a reno-protective effect from CsA induced nephrotoxicity in the ischemia-reperfusion model. The present study might partially explain that MMF is going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urvival rate of the transplanted kidney associated with acute and/or chronic rejection and to the reduction of CsA dosage and its complications.
      번역하기

      Purpose:Nephrotoxicity of cyclosporin A (CsA) remains a major obstacle for the clinical use of this potent immunosuppressant. It is likely that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and endothelin-1 (ET-1) play a central role in initiation and/or...

      Purpose:Nephrotoxicity of cyclosporin A (CsA) remains a major obstacle for the clinical use of this potent immunosuppressant. It is likely that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and endothelin-1 (ET-1) play a central role in initiation and/or progression of CsA induced nephropathy in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t is proposed that the new immunosuppressive drug mycophenolate mofetil (MMF) reduces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in comparison with azathioprine.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TGF-β and ET-1 in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ed rats and to see the effect of CsA or MMF on the expression of these mediators. Effects of coadministration of CsA and MMF were also evaluated.
      Methods:Sprague-Dawley rats (N=60) performed right nephrectomy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experimental methods. Control group underwent right nephrectomy. After the right nephrectomy, to induce renal ischemia, the left renal vascular pedicle was occluded for 30 minutes with vascular clamps in all experimental groups. After 30 minutes, the clamps were removed to undergo reperfusion. In control group, ischemic injury wasn't done. CsA group was administered CsA (10 mg/kg/ day, S.C) after the operation. CsA and MMF group was coadministered CsA (10 mg/kg/day, S.C) and MMF (10 mg/kg/day, P.O). MMF group was administered MMF (10 mg/kg/day, P.O). After 7 days, the left kidney was remov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immunofluorescent and molecular analyses for TGF-β1 and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immunofluorescent analyses for ET-1.
      Results:The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fluorescent expression density for TGF-β1 in CsA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fluorescent expression density and mRNA production for ET-1 in CsA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expression density for TGF-β1 and ET-1 in CsA and MMF group was less than in CsA group. The expression density for TGF-β1 and ET-1 in MMF group was less than in CsA group and CsA and MMF group, was similar to ischemia-reperfusion group.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MMF does not seem to have nephrotoxic effects, and seems to have a reno-protective effect from CsA induced nephrotoxicity in the ischemia-reperfusion model. The present study might partially explain that MMF is going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urvival rate of the transplanted kidney associated with acute and/or chronic rejection and to the reduction of CsA dosage and its co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면역억제제 중의 하나인 Cyclosporin A (CsA)가 신이식의 성적을 향상시켰으나 신독성으로 인해 이식신의 장기적인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CsA에 의해 생성이 증가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와 Endothelin-1 (ET-1)이 주요한 신독성의 매개인자로 밝혀졌다. 최근 Azathioprine 대용으로 Mycophenolate mofetil (MMF)이 널리 사용되어 CsA와 MMF를 병합투여 시 면역억제기능이 상승하지만 CsA의 신독성을 매개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허혈-재관류 모델 백서에서 CsA와 MMF를 단독 또는 병합투여 시 CsA 신독성의 중요한 매개인자인 TGF-β1과 ET-1의 생성과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단일 신장 백서의 혈관경 (renal pedicle)을 30분간 클램프한 후 재관류하여 허혈-재관류 손상을 유발시켜 대조군, 허혈-재관류군, CsA 투여군, CsA와 MMF 병합투여군, MMF 투여군으로 나누어 매개물질의 합성 및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공초점레이져주사현미경 (confocal microscope)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CsA를 사용한 군에서 세뇨관의 공포 형성과 같은 조직학적 손상이 나타나 CsA에 의한 신독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GF-β1은 주로 세뇨관에서 발현이 되고 ET-1은 혈관의 내피세포와 보우만씨 소체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TGF-β1의 발현은 CsA 투여군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공초점레이져주사현미경 검사상 대조군과 다른 실험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ET-1의 발현은 CsA 투여군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 mRNA 및 공초점레이져주사현미경 검사상 대조군과 다른 실험군에 비해 발현이 증가되었다. TGF-β1과 ET-1의 발현은 병합요법군이 CsA 투여군보다 감소되었다. MMF 투여군에서의 TGF-β1과 ET-1의 발현은 허혈-재관류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CsA군과 병합요법군보다 낮은 발현율을 보였다.
      결 론:허혈-재관류 신손상 시 MMF는 CsA와는 다르게 TGF-β1이나 ET-1의 발현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특히 CsA와 병합투여 시 CsA 단독투여 시 보다 유의하게 TGF-β1과 ET-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CsA와 MMF의 병합요법은 장기이식 환자에서 CsA 치료의 아킬레스건인 신독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목 적: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면역억제제 중의 하나인 Cyclosporin A (CsA)가 신이식의 성적을 향상시켰으나 신독성으로 인해 이식신의 장기적인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CsA에 ...

      목 적: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면역억제제 중의 하나인 Cyclosporin A (CsA)가 신이식의 성적을 향상시켰으나 신독성으로 인해 이식신의 장기적인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CsA에 의해 생성이 증가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와 Endothelin-1 (ET-1)이 주요한 신독성의 매개인자로 밝혀졌다. 최근 Azathioprine 대용으로 Mycophenolate mofetil (MMF)이 널리 사용되어 CsA와 MMF를 병합투여 시 면역억제기능이 상승하지만 CsA의 신독성을 매개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허혈-재관류 모델 백서에서 CsA와 MMF를 단독 또는 병합투여 시 CsA 신독성의 중요한 매개인자인 TGF-β1과 ET-1의 생성과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단일 신장 백서의 혈관경 (renal pedicle)을 30분간 클램프한 후 재관류하여 허혈-재관류 손상을 유발시켜 대조군, 허혈-재관류군, CsA 투여군, CsA와 MMF 병합투여군, MMF 투여군으로 나누어 매개물질의 합성 및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공초점레이져주사현미경 (confocal microscope)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CsA를 사용한 군에서 세뇨관의 공포 형성과 같은 조직학적 손상이 나타나 CsA에 의한 신독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GF-β1은 주로 세뇨관에서 발현이 되고 ET-1은 혈관의 내피세포와 보우만씨 소체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TGF-β1의 발현은 CsA 투여군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공초점레이져주사현미경 검사상 대조군과 다른 실험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ET-1의 발현은 CsA 투여군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 mRNA 및 공초점레이져주사현미경 검사상 대조군과 다른 실험군에 비해 발현이 증가되었다. TGF-β1과 ET-1의 발현은 병합요법군이 CsA 투여군보다 감소되었다. MMF 투여군에서의 TGF-β1과 ET-1의 발현은 허혈-재관류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CsA군과 병합요법군보다 낮은 발현율을 보였다.
      결 론:허혈-재관류 신손상 시 MMF는 CsA와는 다르게 TGF-β1이나 ET-1의 발현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특히 CsA와 병합투여 시 CsA 단독투여 시 보다 유의하게 TGF-β1과 ET-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CsA와 MMF의 병합요법은 장기이식 환자에서 CsA 치료의 아킬레스건인 신독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