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이탈리아의 정치사상가 마키아벨리의 저서. 1532년 간행. 르네상스시대의 대표적인 정치적 저작으로 근대정치사상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저자가 묘사하는 군주의 모습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6세기 이탈리아의 정치사상가 마키아벨리의 저서. 1532년 간행. 르네상스시대의 대표적인 정치적 저작으로 근대정치사상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저자가 묘사하는 군주의 모습은 ...
16세기 이탈리아의 정치사상가 마키아벨리의 저서. 1532년 간행. 르네상스시대의 대표적인 정치적 저작으로 근대정치사상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저자가 묘사하는 군주의 모습은 이를테면 반인반수(半人半獸)가 될 수 있어서 인간과 짐승을 부릴 줄 알아야 하며(18장), 그 이상상(理想像)을 '여우와 사자의 2역을 실행하는' 군주의 모습에서 찾아냈다.
저자는 인간성에 대하여 조금도 존경을 보이지 않고 가차없이 인간의 모든 심리적인 약점을 들추어 폭로하면서 새로운 정치의 기술을 논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 소위 마키아벨리즘의 본질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근대정치사상사의 고전적 저작 중에서 본서만큼 논의를 불러일으킨 것은 없으며, 여기에서 보이는 저자의 사상뿐만 아니라 집필동기를 둘러싸고 숱한 해석이 행해졌다. 오늘날 마키아벨리즘은 당시 이탈리아의 정치적 상황에서 생긴 필요악으로 이해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책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5447)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등장하는 권력(힘), 운명, 도덕과 종교와 정치의 구분, 군주 혹은 법/국가 개념, 자율의 개념 등...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등장하는 권력(힘), 운명, 도덕과 종교와 정치의 구분, 군주 혹은 법/국가 개념, 자율의 개념 등을 서구 ‘근대성’ 담론에서 중요한 이성과 주체, 법과 합리적 제도, 종교로부터 정치 분리, 공적 영역의 자립성 등과 연관 속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 주요 원자료로 추정된다.
국문 초록 (Abstract)
헌정사 :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 9 제1장 군주국의 종류와 그 성립과정 = 11 제2장 세습 군주국 = 12 제3장 복합 군주국 = 14 제4장 알렉산드로...
헌정사 :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 9
제1장 군주국의 종류와 그 성립과정 = 11
제2장 세습 군주국 = 12
제3장 복합 군주국 = 14
제4장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했던 다리우스 왕국은 왜 대왕이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 30
제5장 점령되기 이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도시나 군주국을 다스리는 방법 = 35
제6장 자신의 무력과 능력에 의해서 획득한 새로운 군주국 = 38
제7장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얻게 된 새로운 군주국 = 45
제8장 사악한 방법을 사용하여 군주가 된 인물들 = 59
제9장 시민형 군주국 = 67
제10장 군주국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 74
제11장 교회형 군주국 = 78
제12장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 = 84
제13장 원군, 혼성군, 자국군 = 94
제14장 군주는 군사(軍事)에 관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 102
제15장 사람들이, 특히 군주가 그 때문에 칭찬받거나 비난받는 일들 = 107
제16장 관후함과 인색함 = 110
제17장 잔인함과 인자함, 그리고 사랑받는 것과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 중 어느 편이 더 나은가 = 115
제18장 군주는 어떻게 약속을 지켜야 하는가 = 122
제19장 경멸과 미움은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 = 127
제20장 요새를 구축하는 등 군주들이 흔히 하는 많은 일들은 과연 유용한가, 무용한가 = 145
제21장 군주는 명성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 153
제22장 군주의 측근 신하들 = 160
제23장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 163
제24장 어떻게 해서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나라를 잃게 되었는가 = 167
제25장 운명은 인간사에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운명에 대처해야 하는가 = 170
제26장 야만족의 지배로부터 이탈리아의 해방을 위한 권고 = 176
부록
부록 1 「군주론」과 관련된 서한들 = 187
부록 2 「군주론」에 나오는 용어들에 대한 해설 = 199
부록 3 마키아벨리의 생애와 주요 사건 연표 = 210
역자 해제 = 213
개역판 역자 후기 = 245
역자 후기 = 247
인명 색인 = 255
(출처 : 국립중앙도서관 , http://www.dibrary.net/search/dibrary/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28690399&colltype=DAN_HOLD&place_code_info=100&place_name_info=%EC%84%9C%EA%B3%A0%EC%9E%90%EB%A3%8C%EC%8B%A0%EC%B2%AD%EB%8C%80%281%EC%B8%B5%29&manage_code=MABR&shape_code=B&refLoc=portal&category=storage&srchFlag=Y&h_kwd=%EA%B5%B0%EC%A3%BC%EB%A1%A0%7C&lic_yn=N#dum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