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5 개정 중등 교육과정에 적용된 농업생명과학 내용 분석 = Analysis of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4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related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target subjects to investigate
      for the study were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Creative Experienves and Activities’.
      As a result of stud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criteria was set up a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nalysis reference was
      used from the result of Huh(2008)’s research. Frinall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contained in ‘Technology·Home Economic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Creative Experienves and Activities’ and they were matched with all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references except the ‘value and safety in food’.
      Secon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not much enough quantatatively and qualitatively compare to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related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target sub...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related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target subjects to investigate
      for the study were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Creative Experienves and Activities’.
      As a result of stud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criteria was set up a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nalysis reference was
      used from the result of Huh(2008)’s research. Frinall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contained in ‘Technology·Home Economic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Creative Experienves and Activities’ and they were matched with all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references except the ‘value and safety in food’.
      Secon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not much enough quantatatively and qualitatively compare to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에 이르기까지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연구 방법
      은 문헌연구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되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의 대상 교과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의 ‘기술·가정’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이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농업생명과학 내용
      을 조사하는 기준으로는 교육과정 내용 제시의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제시
      된 농업생명과학에 대한 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틀은 허영준(2008)에 의해 연구된 농업
      문해 내용 연구 결과에 의해 개발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5 개정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기술·가정’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포함된 농업생명과
      학 내용은 ‘농식품의 가치와 안전성’을 제외한 모든 농업문해의 내용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의 양과 질은 2015 개
      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의 양과 질에 비하여 많이 부족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에 이르기까지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연구 방법 은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에 이르기까지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연구 방법
      은 문헌연구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되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의 대상 교과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의 ‘기술·가정’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이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농업생명과학 내용
      을 조사하는 기준으로는 교육과정 내용 제시의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제시
      된 농업생명과학에 대한 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틀은 허영준(2008)에 의해 연구된 농업
      문해 내용 연구 결과에 의해 개발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5 개정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기술·가정’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포함된 농업생명과
      학 내용은 ‘농식품의 가치와 안전성’을 제외한 모든 농업문해의 내용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의 양과 질은 2015 개
      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의 양과 질에 비하여 많이 부족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