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스텝 업 4: 레볼루션 Step Up 4: Revolution」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댄스 플래시 몹(Dance Flash Mob)과 관련하여 = Semiotic Analysis about the Film 「Step Up 4: Revolution」 : related to Dance Flash Mo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5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eatures of Dance Flash Mob and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nd to understand the ideology inherent Dance Flash Mob in the film 「Step Up 4: Revol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yntagmatic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narration structure of the film was divided by inception, development, crisis, and climax, ending in accordance with the timely arrangements. The features of Dance Flash Mob in the film are temporality, unlocation, stagization of ordinary spaces, harmony of costumes, composition of dance beyond genre, communicability of message and so on. Second, through the paradigmatic analysis, confirmed that three binary opposition structures of ‘ruling class vs. ruled classes’, ‘daily life vs. deviation’, and ‘demonstration arts vs. criminal behaviors’ were formed in the film. Third, through the ideology analysis, appreciated that Plural Eclecticism, Communitarianism, and Cultural Populism containing in the fil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eatures of Dance Flash Mob and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nd to understand the ideology inherent Dance Flash Mob in the film 「Step Up 4: Revol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y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eatures of Dance Flash Mob and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nd to understand the ideology inherent Dance Flash Mob in the film 「Step Up 4: Revol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yntagmatic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narration structure of the film was divided by inception, development, crisis, and climax, ending in accordance with the timely arrangements. The features of Dance Flash Mob in the film are temporality, unlocation, stagization of ordinary spaces, harmony of costumes, composition of dance beyond genre, communicability of message and so on. Second, through the paradigmatic analysis, confirmed that three binary opposition structures of ‘ruling class vs. ruled classes’, ‘daily life vs. deviation’, and ‘demonstration arts vs. criminal behaviors’ were formed in the film. Third, through the ideology analysis, appreciated that Plural Eclecticism, Communitarianism, and Cultural Populism containing in the fil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남석, "플래시몹(Flash mob)을 이용한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지반응이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플래시 몹 증가에 따른 영국과 미국의 SNS 규제 강화 논란"

      3 구현준,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심 내 놀이 공간 제안: 플래쉬 몹의 특성과 관련하여: 일시적 공간점유, 이동성, 비장소성" 11 : 59-60, 2007

      4 김효근, "춤으로 세계를 제패하다 대한민국 B-boy" 길벗 2006

      5 조광석,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에서 예술성과 대중주의 상징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455-466, 2012

      6 정윤수, "젊은 세대들의 문화 독립: 플래시 몹, 1인 미디어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의 놀이문화와 그 의미" 303 : 102-106, 2004

      7 임상현,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플래시 몹의 공간적 구현에 관한 연구 - 공적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81-189, 2013

      8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2권" 문학과지성사 2011

      9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권" 문학과지성사 2011

      10 장희전, "영화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와 의미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의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 정남석, "플래시몹(Flash mob)을 이용한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지반응이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플래시 몹 증가에 따른 영국과 미국의 SNS 규제 강화 논란"

      3 구현준,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심 내 놀이 공간 제안: 플래쉬 몹의 특성과 관련하여: 일시적 공간점유, 이동성, 비장소성" 11 : 59-60, 2007

      4 김효근, "춤으로 세계를 제패하다 대한민국 B-boy" 길벗 2006

      5 조광석,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에서 예술성과 대중주의 상징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455-466, 2012

      6 정윤수, "젊은 세대들의 문화 독립: 플래시 몹, 1인 미디어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의 놀이문화와 그 의미" 303 : 102-106, 2004

      7 임상현,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플래시 몹의 공간적 구현에 관한 연구 - 공적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81-189, 2013

      8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2권" 문학과지성사 2011

      9 이수진,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권" 문학과지성사 2011

      10 장희전, "영화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와 의미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의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1 박중길, "영화로 읽는 무용교육 이야기" 한국체육학회 43 (43): 757-766, 2004

      12 변혁, "영화「자유부인」에 표현된 춤의 사회적 인식에 관한 고찰 - 195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8 (28): 59-83, 2009

      13 김주희, "영화 「탱고 레슨」 춤 장면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 분석" 한국무용예술학회 23 (23): 13-32, 2008

      14 배수을, "영화 <왕의 춤>에 나타난 루이 14세 시대의 무용사적 정황과 정치적 함의" 한국공연문화학회 (21) : 275-298, 2010

      15 이진섭, "순위와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되다: 빌보드 매거진(Billboard Magazine)"

      16 김지현, "세계시민주의, 공동체주의, 자유주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93-125, 2009

      17 김한나, "무용영화 관람 유무에 따른 무용공연 참여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8 한세준, "디지털 놀이문화에 나타난 자기유사성에 관한 연구: 플래시 몹을 중심으로" 9 : 17-23, 2004

      19 "두산백과사전"

      20 전우성, "기호학적 방법을 통한 영화(코리아)에 내재된 스포츠 이데올로기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7 (27): 19-35, 2013

      21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2012

      22 배정민, "Vivienne Westwood 작품에 나타난 미적 특성과 다원적 절충주의 분석 연구" 복식문화학회 14 (14): 657-669, 2006

      23 Berger, Arthur Asa, "Media Analysis Techniques" Sage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Dance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