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王雷鳴, "歷代食貨志注釋" 農業出版社 1984
2 "후한서"
3 김한규, "한중관계사(1)" 아르케 1999
4 "한서"
5 노태돈,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문화" 1999
6 윤내현, "한국의 사회와 역사" 최재석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1
7 이기동, "한국사강좌 1, 고대편" 1982
8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59
9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10 "통전"
1 王雷鳴, "歷代食貨志注釋" 農業出版社 1984
2 "후한서"
3 김한규, "한중관계사(1)" 아르케 1999
4 "한서"
5 노태돈,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문화" 1999
6 윤내현, "한국의 사회와 역사" 최재석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1
7 이기동, "한국사강좌 1, 고대편" 1982
8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59
9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10 "통전"
11 "태평환우기"
12 조영광, "초기 고구려 종족 계통 고찰 - 예맥족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27) : 167-218, 2010
13 권오중, "창해군과 요동동부도위" 168 : 2000
14 傳樂成, "중국통사 상" 지영사 1998
15 정인보, "조선사연구" 우리역사연구재단 2012
16 김미경, "제1현도군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24 : 2002
17 "자치통감"
18 복기대, "임둔태수장 봉니를 통해 본 한사군의 위치" 61 : 2001
19 "수경주"
20 "삼국지"
21 "삼국사기"
22 "사기"
23 박경철, "부여사 전개에 관한 재인식시론" 40 : 1992
24 이형구, "리지린과 윤내현의 ‘고조선 연구’ 비교" 146 : 1995
25 최인철, "력사과학 17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9
26 이종욱, "동아사의 비교연구" 1987
27 오영찬, "낙랑군의 토착세력 재편과 지배구조" 35 : 1996
28 권오중, "낙랑군연구 -중국 고대 변군에 대한 사례적 검토" 일조각 1992
29 권오중, "길현익교수정년기념사학논총" 1996
30 리지린, "고조선연구" 과학원출판사 1963
31 박노석, "고구려의 서안평 점령의 의미" 인문학연구소 (17) : 143-173, 2016
32 지병목, "고구려성립과정고" 34 : 1987
33 노태돈, "고구려사의 연구 현황과 과제" 52 : 1986
34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2003
35 김종은, "고구려 초기 천도기사로 살펴본 왕실 교체" (3) : 2003
36 桓寬, "鹽鐵論簡注" 中華書局出版 1984
37 여호규, "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4) : 1-37, 2005
38 배진영, "燕國의 五郡 설치와 그 의미 -戰國時代 東北아시아의 勢力關係-" 중국사학회 (36) : 1-44, 2005
39 白鳥庫吉, "漢の朝鮮四郡疆域考" 2 (2): 1912
40 池內宏, "滿鮮史硏究, 상세 제1책" 吉川弘文館 1951
41 和田淸, "東亞史硏究-滿洲篇" 東洋文庫 1955
42 丁若鏞, "我邦疆域考"
43 錢穆, "史記地名考" 商務印書館 2001
44 三上次男, "古代東北アジア史硏究" 吉川弘文館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