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강점 활용 및 자아탄력성이 대학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strengths use and ego resilience of freshman college students on the prediction of academic dropo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ngths use and ego - resilience of college freshmen on college freshmen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freshmen of Jeonbukdo W university. The study method was SPSS 22.0.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 - test, one -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of academic dropout according to sex, major and use of strengths and ego - resilience. Second,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affect college freshmen '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dictions of suspension of schooling. Third,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dictions of academic dropout.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support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the students in order to prevent the students from stopping their study and adapt to college life, and to educate them to improve their self - respec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ngths use and ego - resilience of college freshmen on college freshmen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freshmen of Jeonbukdo W university. The study method was SPSS 22.0. The re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ngths use and ego - resilience of college freshmen on college freshmen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freshmen of Jeonbukdo W university. The study method was SPSS 22.0.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 - test, one -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of academic dropout according to sex, major and use of strengths and ego - resilience. Second,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affect college freshmen '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dictions of suspension of schooling. Third,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dictions of academic dropout.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support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the students in order to prevent the students from stopping their study and adapt to college life, and to educate them to improve their self -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이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학업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W대학 신입생 474명이다. 연구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t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은 성별, 계열별에 따라 학업중단예측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중단 예측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중단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을 방지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대학이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의 성격 강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신입생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이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학업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W대학 신입생 474명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이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학업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W대학 신입생 474명이다. 연구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t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은 성별, 계열별에 따라 학업중단예측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중단 예측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중단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을 방지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대학이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의 성격 강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신입생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성민,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비교: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21-148, 2012

      2 박진영,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47-75, 2012

      3 백은주,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인문학연구소 34 (34): 233-260, 2015

      4 박미정,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27-337, 2012

      5 김영린, "심리적 독립성, 의존부정성향, 자기성장주도성에 따른 하위집단별 대학생활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3 (13): 2251-2270, 2012

      6 임영진,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713-730, 2012

      7 서미,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71-288, 2006

      8 김경욱,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7-218, 2011

      9 김종운,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0 (20): 45-68, 2013

      10 김민정,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11-1830, 2014

      1 윤성민,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비교: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21-148, 2012

      2 박진영,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47-75, 2012

      3 백은주,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인문학연구소 34 (34): 233-260, 2015

      4 박미정,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27-337, 2012

      5 김영린, "심리적 독립성, 의존부정성향, 자기성장주도성에 따른 하위집단별 대학생활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3 (13): 2251-2270, 2012

      6 임영진,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713-730, 2012

      7 서미,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71-288, 2006

      8 김경욱,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7-218, 2011

      9 김종운,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0 (20): 45-68, 2013

      10 김민정,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11-1830, 2014

      11 이지원,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205-228, 2017

      12 이은석, "대학생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3 (13): 3077-3094, 2012

      13 박부금, "강점 활용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599-616, 2012

      14 윤순영,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95-403, 2014

      15 김순이, "간호대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253-262, 2018

      16 손혜경,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36-646, 2017

      17 "http://hankookilbo.com/v/98d28e1f5553419c85b61858d4619394"

      18 Block, J,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13 : 39-101, 1980

      19 H. W.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2005

      20 Govindj R., "Strengths use, self-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sching psychologists" 2 (2): 143-153, 2007

      21 Park, N,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23 : 603-619, 2004

      22 Clifton, D. O., "Strengths Quest: Discover and develop your strengths in academics, career, and beyond" The Gallup Organization 2002

      23 Seligman, M. E, "Positive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and classroom interventions" 35 (35): 293-311, 2009

      24 Peterson, C.,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and Washington 2004

      25 Linley, P, "A.Average to A+: Realrising strengths in yourself and others" CAPP Press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