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며, 그 목적은 한 마디로 외국어로서의 ‘의사소통 수단의 습득’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 교육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43949
2015
English
810
학술저널
141-170(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며, 그 목적은 한 마디로 외국어로서의 ‘의사소통 수단의 습득’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 교육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며, 그 목적은 한 마디로 외국어로서의 ‘의사소통 수단의 습득’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고 할 때, 교육과정에서 학습 전략은 큰 의의를 가지게 된다. 외국어 교육 방법의 연구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효과적인 교사중심의 교수방법 또는 교수전략을 주로 연구해 왔지만, 최근에는 학습자 중심 학습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학습전략에 관한 이론적 배경에는 많은 학자들이 정리한 정의, 개념과 분류 이론들이 있다. 그중에서 Oxford의 학습전략 분류를 바탕으로, 본 연구와 직접 관련된
말하기 전략과 통합적인 전략 46개를 선정하였다. 그다음 SILL(English Speakers learning a new language; Version 5.1)를 재구성하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대상은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네루대학교의 인도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인도의 다문화 사회적 배경에 의하여, 인도 학습자들은 사회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선호하고 있으며, 동료들과 협력하여 다중언어 환경의 기본적인 학습전략의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즉, 본 연구를 통하여 인도 학습자들의 학습 특성과 외국어 학습과정에서 전략 사용에 관한 인식을 하게 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더’ 종결형의 교육 연구 -‘-더라’를 중심으로-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추론적 읽기능력 신장을 위한 논의
한한(漢韓)<눈> 관련 관용어의 개념적 은유 및 환유 연구 -사전에 수록된 관용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