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吳貞姬 소설에 나타난 環境의 修辭學 =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1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as the intersection of the rhetoric of using the environment to tell stories and the rhetoric of telling stories about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The rhetoric of ...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as the intersection of the rhetoric of using the environment to tell stories and the rhetoric of telling stories about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s a strategy of constructing a narrative by representing the environment in a certain way through the environmental rhetoric. In “The Gray of the Morning(未明)”, the place that has been neglected by humans and the non-human ecosystem that is formed there function as the environmental rhetoric. This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lluminates the human body shaped by its material interaction with non-human ecosystems, and constitutes a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s self and perception of the world are changed and her wounds are healed. In “Paroho(破虜湖)”, the place destroyed by humans and the history of non-humans that has accumulated there function as the environmental rhetoric. This rhetoric of the environment constitutes a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 seeks a new language that can tell the self and the world, by representing the history of non-humans and showing how the character accepts the sign of non-humans, which humans cannot define.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shows that literature is form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which is an active agent of meaning-ma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박경진, 2023,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환경의 수사학, 어문연구, 200 : 277~311 이 글에서는 오정희 소설에서 환경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과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

      박경진, 2023,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환경의 수사학, 어문연구, 200 : 277~311 이 글에서는 오정희 소설에서 환경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과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의 교차점으로서 ‘환경의 수사학’이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환경의 수사학은 환경의 수사를 통해 환경을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면서 서사를 구성하는 전략이다. 「미명」에서는 인간에 의해 방치된 장소와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비인간의 생태계가 환경의 수사로 나타난다. 「미명」에서 환경의 수사학은 비인간의 생태계와 물질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인간의 몸을 조명하며 인물의 자아와 세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그의 상처가 치유되는 서사를 구성한다.
      「파로호」에서는 인간에 의해 파괴된 장소와 그곳에서 축적되는 비인간의 역사가 환경의 수사로 나타난다. 「파로호」에서 환경의 수사학은 비인간의 역사를 재현하며 인물이 인간이 규정할 수 없는 비인간의 기호를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인물이 자아와 세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를 모색하는 서사를 구성한다. 환경의 수사학은 문학이 환경과 불가분한 관계에서 형성되고 환경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만들어 내는 주체임을 보여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