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사의 역할을 다룬 국내 선행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을 실천과 지원에 있어 특수교사의 핵심적인 역할을 조명하고 연구 및 실천에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37686
정혜림 (서울탑산초등학교병설유치원)
2025
Korean
Inclusive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Teacher ; Teacher Role ; Role Theory ; Scoping Review ; 통합교육 ; 특수교사 ; 교사의 역할 ; 역할이론 ; 범위 연구
KCI등재
학술저널
113-130(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사의 역할을 다룬 국내 선행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을 실천과 지원에 있어 특수교사의 핵심적인 역할을 조명하고 연구 및 실천에 시...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사의 역할을 다룬 국내 선행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을 실천과 지원에 있어 특수교사의 핵심적인 역할을 조명하고 연구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5년도까지 발표된 학술 논문 30편을 대상으로 범위 연구(scoping review)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동향과 하위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 특수교사의 역할 갈등, 2)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3) 특수교사의 역할 수행, 4) 특수교사 역할의 차이. 결론: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사의 역할은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으며, 특수교사와 ‘통합교육 지원 인력’ 간 역할 조정, ‘모두를 위한 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할 재개념화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analyze the literature on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and to highlight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mplementing and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Methods: A total of 30 studies published u...
Purpose: To analyze the literature on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and to highlight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mplementing and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Methods: A total of 30 studies published up to 2025 were reviewed using the scoping review method. General research trends and categorization of sub-themes related to the ro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Results: Four major themes emerged: 1) role conflicts fa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role expectations placed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role enactment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4) variations in the ro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iscussions on ro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differentiated by school level. It highlights the need for role clarific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support teachers as well as expanded research on their contributions to Education for All.
국내・외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의 구조와 구성요소:분석 및 제안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쓰기 중재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특수학교장의 리더십이 특수학교의 조직문화와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워드 설계 문헌 분석: 특수교육 대상 학생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