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장의 리더십이 특수학교의 조직문화와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7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장 리더십, 특수학교 조직문화, 특수교사 교직헌신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4년 7월 15일부터 7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R의 Lavaan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교장 리더십은 특수학교 조직문화에, 특수학교 조직문화는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교장의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와 설정한 연구모형의 총 효과 크기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논하였고 특수학교 조직문화, 특수교사 교직헌신 제고를 위한 특수학교장의 역할과 제도・정책적 방안을 특수교육현장에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장 리더십, 특수학교 조직문화, 특수교사 교직헌신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전국의 특수교...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장 리더십, 특수학교 조직문화, 특수교사 교직헌신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4년 7월 15일부터 7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R의 Lavaan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교장 리더십은 특수학교 조직문화에, 특수학교 조직문화는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교장의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특수교사의 교직헌신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와 설정한 연구모형의 총 효과 크기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논하였고 특수학교 조직문화, 특수교사 교직헌신 제고를 위한 특수학교장의 역할과 제도・정책적 방안을 특수교육현장에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as well 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from July 15 to July 30, 2024. Data from 297 respondent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Lavaan package in R. Specific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key variab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Nevertheless,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the total effect of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was discussed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the roles of special school principals and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as well as to verify the mediating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as well 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from July 15 to July 30, 2024. Data from 297 respondent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Lavaan package in R. Specific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key variab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Speci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Nevertheless,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the total effect of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was discussed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the roles of special school principals and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