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도서] 解深密經疏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05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원래 활자본으로 10권 5책이었으나, 권10은 실전(失傳)되고, 권9까지만 남아서 전해지고 있다. 권1의 내용은 서품(序品)인데, 《해심밀경(解深密經)》의 교리와 제목 및 종체(宗體) 등의 전체적인 대의를 간결하게 논술하고 있다. 경전 해석에서 정통을 자처하던 규기(窺基)의 자은파(慈恩派)와 대립관계에 있던 원측은 특히 이 주석에서도 그의 유식사상이 자은파보다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독자성이 엿보인다.
      논술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해심밀경》이 2장(二藏) 중에서는 보살장(菩薩藏)에 해당하며 3시교(三時敎)에서는 요의교(了義敎)에 속하므로, 구경적(究竟的)인 뜻을 나타내는 최상의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당(唐)나라 때에 논의되던 모든 학설을 들어 이를 검토하고 본종(本宗)과의 일치점을 설명하여 결국은 만법(萬法)이 일리(一理)에 귀착한다고 논하였다. 원래 《해심밀경》 5권을 해석한 책이 5, 6종 있었다고 하나, 지금 전하는 것은 이 책뿐이어서, 이 분야의 유일한 연구문헌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7789)
      번역하기

      원래 활자본으로 10권 5책이었으나, 권10은 실전(失傳)되고, 권9까지만 남아서 전해지고 있다. 권1의 내용은 서품(序品)인데, 《해심밀경(解深密經)》의 교리와 제목 및 종체(宗體) 등의 전체적...

      원래 활자본으로 10권 5책이었으나, 권10은 실전(失傳)되고, 권9까지만 남아서 전해지고 있다. 권1의 내용은 서품(序品)인데, 《해심밀경(解深密經)》의 교리와 제목 및 종체(宗體) 등의 전체적인 대의를 간결하게 논술하고 있다. 경전 해석에서 정통을 자처하던 규기(窺基)의 자은파(慈恩派)와 대립관계에 있던 원측은 특히 이 주석에서도 그의 유식사상이 자은파보다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독자성이 엿보인다.
      논술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해심밀경》이 2장(二藏) 중에서는 보살장(菩薩藏)에 해당하며 3시교(三時敎)에서는 요의교(了義敎)에 속하므로, 구경적(究竟的)인 뜻을 나타내는 최상의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당(唐)나라 때에 논의되던 모든 학설을 들어 이를 검토하고 본종(本宗)과의 일치점을 설명하여 결국은 만법(萬法)이 일리(一理)에 귀착한다고 논하였다. 원래 《해심밀경》 5권을 해석한 책이 5, 6종 있었다고 하나, 지금 전하는 것은 이 책뿐이어서, 이 분야의 유일한 연구문헌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778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 및 논문)의 원자료이다. 결과보고서 2쪽과 결과물 논문 125-126쪽에 따르면, 본 연구의 기본 텍스트인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승의제상품(勝義諦相品)」은 불교도들이 말하는 ‘궁극적 진리’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논한 곳이다. 여기에는 진리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유식학의 기본 관점이 잘 나타나 있는데, 원측은 이 부분에 대해 여러 유식학 경론들에 의거해서 매우 학술적인 태도로 자세한 주석을 달았다. 여기에는 ‘궁극적 진리가 언어와 사유의 영역을 넘어섰다’는 주장이 등장하게 된 논리적 배경에 대해 많은 정보들이 담겨 있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번역과 역주 작업 및 내용과 구조 분석이 수행된 바, 이 자료들이 원자료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 및 논문)의 원자료이다. 결과보고서 2쪽과 결과물 논문 125-126쪽에 따르면, 본 연구의 기본 텍스트인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승의제상...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 및 논문)의 원자료이다. 결과보고서 2쪽과 결과물 논문 125-126쪽에 따르면, 본 연구의 기본 텍스트인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승의제상품(勝義諦相品)」은 불교도들이 말하는 ‘궁극적 진리’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논한 곳이다. 여기에는 진리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유식학의 기본 관점이 잘 나타나 있는데, 원측은 이 부분에 대해 여러 유식학 경론들에 의거해서 매우 학술적인 태도로 자세한 주석을 달았다. 여기에는 ‘궁극적 진리가 언어와 사유의 영역을 넘어섰다’는 주장이 등장하게 된 논리적 배경에 대해 많은 정보들이 담겨 있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번역과 역주 작업 및 내용과 구조 분석이 수행된 바, 이 자료들이 원자료로 추정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