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병호, "해외한인사회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재일한인사회" (4) : 106-144, 1996
2 蔡永國, "해방 후 재일한인의 지위와 귀환"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83-103, 2003
3 최영호, "해방 직후의 재일한국인의 본국 귀환, 그 과정과 통제 구조" (4) : 99-135, 1995
4 채영국, "해방 직후 미귀환 재일한인의 민족교육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7) : 7-34, 2006
5 이성, "한일회담으로 보는 박정희정권의 재일동포정책 ― 귀화와 영주권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33) : 293-326, 2009
6 이성, "한일회담(1951~65)과 재일조선인의 국적 문제 ― 국적선택론에서 귀화론으로 ―" 수선사학회 (45) : 183-225, 2013
7 신재중, "한일회담 시기 한국 정부의 재일한인 재산반입 정책의 변화" (58) : 419-470, 2012
8 장인성, "총련계 재일한인의 민족정체성" 국제학연구소 12 (12): 27-49, 2003
9 장박진, "초기 한일회담(예비~제3차)에서의 재일한국인 문제의 교섭과정 분석: 한일 양국의 교섭목표와 전후 ‘재일성’(在日性) 형성의 논리" 국제학연구소 18 (18): 1-38, 2009
10 정진성, "조총련 조직 연구" 국제학연구소 14 (14): 33-62, 2005
1 정병호, "해외한인사회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재일한인사회" (4) : 106-144, 1996
2 蔡永國, "해방 후 재일한인의 지위와 귀환"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83-103, 2003
3 최영호, "해방 직후의 재일한국인의 본국 귀환, 그 과정과 통제 구조" (4) : 99-135, 1995
4 채영국, "해방 직후 미귀환 재일한인의 민족교육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7) : 7-34, 2006
5 이성, "한일회담으로 보는 박정희정권의 재일동포정책 ― 귀화와 영주권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33) : 293-326, 2009
6 이성, "한일회담(1951~65)과 재일조선인의 국적 문제 ― 국적선택론에서 귀화론으로 ―" 수선사학회 (45) : 183-225, 2013
7 신재중, "한일회담 시기 한국 정부의 재일한인 재산반입 정책의 변화" (58) : 419-470, 2012
8 장인성, "총련계 재일한인의 민족정체성" 국제학연구소 12 (12): 27-49, 2003
9 장박진, "초기 한일회담(예비~제3차)에서의 재일한국인 문제의 교섭과정 분석: 한일 양국의 교섭목표와 전후 ‘재일성’(在日性) 형성의 논리" 국제학연구소 18 (18): 1-38, 2009
10 정진성, "조총련 조직 연구" 국제학연구소 14 (14): 33-62, 2005
11 김영, "조선적으로 산다는 것" 141-162, 2003
12 이광규, "재일한인과 지문제도" (23) : 111-131, 1990
13 지충남, "재일한인 사회단체 네트워크 연구: 민단, 조총련, 재일한인회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6 (26): 57-93, 2008
14 이현철, "재일한인 디아스포라의 삶의 공간으로서 교회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가와사키시(川崎市) 교회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7 (7): 228-253, 2013
15 황봉모, "재일한국인의 연애와 정체성 - 카네시로 카즈키(金城一紀)의 ?GO? -" 일본연구소 (31) : 175-199, 2007
16 박재수, "재일한국인의 기업가적 개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일본의 동경 지역을 중심으로 -" 한일경상학회 36 : 35-55, 2007
17 정인섭, "재일한국인 법적지위협정: 그 운영의 25년의 회고" 1 (1): 17-34, 1990
18 임영언, "재일한국인 기업가의 네트워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34) : 635-651, 2007
19 金 泰 永, "재일한국인 기업가의 네트워크 특성과 기업가정신" 한국일본문화학회 (27) : 317-342, 2005
20 박용구, "재일코리안의 분화하는 정체성에 대한 실증 분석" 일본연구소 (40) : 3-23, 2009
21 황혜경, "재일코리안에 있어서 민족축제 의미와 호스트사회와의 관계-오사카시(大阪市)와 가와사키시(川崎市)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46) : 471-492, 2010
22 이석인,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정체성 형성요인과 효과 분석" 국제지역학회 15 (15): 525-547, 2011
23 임영언,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 정체성(Ethnic Identity)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36) : 393-415, 2008
24 김성호, "재일코리안 지방참정권 문제의 현상과 전망" (8) : 37-53, 1999
25 임영언,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자원으로서 연구사 고찰 -1945년 이후 재일코리안 관련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50) : 353-368, 2011
26 임영언,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창업유형별 특징 및 사례연구" 국제지역학회 10 (10): 382-402, 2006
27 임영언,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네트워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17) : 87-120, 2006
28 최석신,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경영관에 관한 실증적 연구" 1 (1): 47-78, 2007
29 김진환, "재일조선인 정체성 연구 현황과 과제" 한민족문화학회 (39) : 373-404, 2012
30 김인덕, "재일조선인 민족교육과 東京朝鮮中學校의 설립 -『도꾜조선중고급학교10년사』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28) : 253-284, 2012
31 김인덕,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운동에 대한 연구: 재일본조선인연맹 제4.5회 전체대회와 한신(阪神)교육투쟁을 중심으로" 수선사학회 (26) : 173-199, 2006
32 박정진, "재일조선인 ‘북송문제’와 일본인의 ‘귀국협력’ - ‘일조우호운동’의 연속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사회사학회 (91) : 31-60, 2011
33 김현선, "재일의 귀화와 아이덴티티 - ‘일본국적 코리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1) : 293-323, 2011
34 김은숙, "재일본 조선대학교의 설립과 인가에 관한 연구(1956-1968)" 수선사학회 (34) : 27-52, 2009
35 "재일본 대한민국 민단 홈페이지"
36 정진성, "재일동포’의 호칭의 역사성과 현재성" (7) : 258-287, 2012
37 신명직, "재일 코리안과 다국가 시민권 : 영화 ‘피와 뼈’․‘디어 평양’․‘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를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56) : 37-82, 2013
38 박수경, "재일 코리안 축제와 마당극의 의의― 生野民族文化祭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문화학회 (45) : 269-288, 2010
39 후지나카 다케시, "재일 제주인과 ‘밀항’: ‘재일 제주도 출신자의 생활사를 기록하는 모임’의 조사에서" (10) : 153-176, 2010
40 정순희, "재일 젊은 세대의 아이덴티티: ‘GO’에 표출된 탈민족적 관점에 주목하여" (8) : 185-211, 2005
41 김현선, "재일 밀집지역과 축제, 아이덴티티: 오사카 ‘통일마당 이쿠노’를 중심으로" 국제학연구소 20 (20): 1-30, 2011
42 전기호, "일제하 재일조선인 노동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20 (20): 33-71, 1997
43 김승, "일제강점기 부산항 연구성과와 과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9) : 1-33, 2013
44 이시재, "일본의 외국인 지방자치 참가문제의 연구: 가와사키시의 외국인시민 대표자회의의 성립 및 운영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학연구소 12 (12): 21-44, 2003
45 김태기, "일본민주당과 재일영주외국인의 지방참정권 −하토야마 유키오의 의욕과 좌절−"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235-277, 2010
46 이상봉, "일본 가와사키시 <외국인시민 대표자회의> 20년의 성과와 한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5) : 63-95, 2017
47 전진호, "원 코리아(One Korea) 운동과 한인 디아스포라" 글로벌일본연구원 (30) : 151-174, 2018
48 이상봉, "오사카 조선시장의 공간정치 ―글로벌화와 장소성의 변용"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1) : 231-261, 2011
49 손미경, "오사카 원 코리아 페스티벌: 통일운동에서 다문화 공생의 장으로" 재외한인학회 (23) : 309-348, 2011
50 유기준, "시텐노지왓소와 在日코리안文化의 役割 研究" 한국일본문화학회 (44) : 403-423, 2010
51 조경희, "불안전한 영토, ‘밀항’하는 일상 ― 해방 이후 70년대까지 제주인들의 일본 밀항" 한국사회사학회 (106) : 39-75, 2015
52 테사 모리 스즈키, "북한행 엑서더스를 다시 생각한다: 재일조선인 귀국문제" (4) : 186-203, 2011
53 羽田正, "바다에서 본 역사 : 개방, 경합, 공생 : 동아시아700년의 문명 교류사" 민음사 2018
54 정영미,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다룬재일한인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62) : 415-437, 2018
55 이상봉, "디아스포라와 로컬리티 硏究 -在日코리안을 보는 새로운 視角-" 한일민족문제학회 (18) : 107-146, 2010
56 신기영, "디아스포라론과 동아시아 속의 재일코리안" 일본연구소 8 (8): 22-49, 2016
57 김은혜, "도쿄 도시레짐과 에다가와조선학교의 역사" 한국사회사학회 (85) : 271-307, 2010
58 이지연, "다큐 영화 <우리학교>를 통해 본 재일조선인 연구 -재일조선인의 정체성과 민족의 의미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4 (14): 23-49, 2013
59 박병윤, "남북의 UN동시가입과 재일동포의 역할: 91년 문제의 총괄과 분단극복을 위하여" 2 (2): 79-116, 1992
60 한승미, "국제화 시대의 국가, 지방 자치체, 그리고 ‘이민족 시민(ethnic citizen)’: 동경도 정부의 ‘다문화주의’ 실험과 재일 한국/조선인에의 함의" 한국문화인류학회 43 (43): 263-304, 2010
61 김현선, "국적과 재일 코리안의 정체성 : 조선·한국적 유지자의 삶과 의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83) : 313-341, 2009
62 金仁德, "解放 空間 在日本朝鮮人聯盟의 結成에 대한 硏究" 한일민족문제학회 (10) : 85-123, 2006
63 家島彦一, "海域から見た歴史" 名古屋大学出版会 2006
64 최영호, "日本의 敗戰과 釜關連絡船 : 釜關航路의 歸還者들" 한일민족문제학회 (11) : 243-287, 2006
65 최영호, "在日韓人 民族敎育運動에 나타난 對外連帶·네트워크" 한일민족문제학회 (13) : 149-185, 2007
66 이한정, "‘자이니치’ 담론과 아이덴티티" 글로벌일본연구원 (17) : 363-388, 2012
67 한영혜, "‘민족명’사용을 통해 보는 재일조선인의 아이덴티티 - ‘민족’의 한계와 새로운 의미 -" 현대일본학회 (27) : 281-315, 2008
68 Andreas Wimmer,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e Social Sciences, and the Study of Migration: An Essay in Historical Epistemology" 37 (37): 576-610, 2003
69 James Clifford, "Diasporas" 9 (9): 302-338, 1994
70 정혜경, "1930년대 초기 오사카지역 협동조합과 조선인운동" (1) : 71-112, 2001
71 김인덕, "1930년대 진보적 일본노동운동과 재일조선인 국제연대 ―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29) : 25-47, 2008
72 정혜경, "1920년대 일본지역 조선인노동동맹회 연구" (18) : 235-289, 1998
73 방광석, "1920∼30년대 간토(關東)지역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지역사회" 역사연구소 (68) : 127-149, 2009
74 정혜경, "1910-1920년대 동경 한인 노동단체" 63-102,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