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저하로 전공과목 수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학 수준에 관계없이 전국의 모든 대학에서 나타나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저하로 전공과목 수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학 수준에 관계없이 전국의 모든 대학에서 나타나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
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저하로 전공과목 수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학 수준에 관계없이 전국의 모든 대학에서 나타나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습부진과 기초학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A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 중 기초역학에 대한 학습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하여 그 실효성을 확인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사전·사후 검사결과 A집단에서는 평균 40.1% 향상되었으며 B집단에서는 평균 18.9%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이수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 및 심층 면담 결과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은 전체 평균 90.6%(4.53/5.0)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어 전공 과목에 대한흥미와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기여 했을 뿐 아니라 교수와 참여 학생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큰 도움을 준 유용한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undergraduate engineering freshmen have difficulties in attending major courses due to their poor basic academic ability. Regardless of the university level it is a reality in univers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
Many undergraduate engineering freshmen have difficulties in attending major courses due to their poor basic academic ability.
Regardless of the university level it is a reality in univers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oor learning and basic academic ability, in this study,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mechanical engineering at A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and surveyed the satisfaction with the questionnaire.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 group improved scores by 40.1% and the B group by 18.9%.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t showed that the basic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program was highly satisfied with the overall average of 90.6% (4.53/5.0) and an useful program which not only contributed to the interest in the major subjects and the confid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 and professor.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완,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역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한독교육학회 20 (20): 25-45, 2015
2 권점례,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6 (26): 29-50, 2012
3 이정례,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167-184, 2011
4 신준국, "수학 기초학력 미달자의 수준별 수업에서 효율적인 지도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 28 (28): 81-96, 2014
5 이훈병, "대학에서 학습부진 학습자 진단을 위한 주요인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53-672, 2016
6 표용수,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525-541, 2010
7 정미강,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교육연구소 22 (22): 101-126, 2016
8 C. Yang, "Some thoughts on improvement in basic academic ability: In case of English and Mathematics" 4 (4): 313-325, 2002
9 J. Jang, "Learning outcomes analysis using by degree of concept and repetition learning of motion mechanics" 4 (4): 46-52, 2012
10 이영호, "ENQA 유럽지역 고등교육 질 보장 지침의 의미와 전망"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25-144, 2007
1 김성완,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역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한독교육학회 20 (20): 25-45, 2015
2 권점례,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6 (26): 29-50, 2012
3 이정례,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167-184, 2011
4 신준국, "수학 기초학력 미달자의 수준별 수업에서 효율적인 지도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 28 (28): 81-96, 2014
5 이훈병, "대학에서 학습부진 학습자 진단을 위한 주요인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53-672, 2016
6 표용수,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525-541, 2010
7 정미강,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교육연구소 22 (22): 101-126, 2016
8 C. Yang, "Some thoughts on improvement in basic academic ability: In case of English and Mathematics" 4 (4): 313-325, 2002
9 J. Jang, "Learning outcomes analysis using by degree of concept and repetition learning of motion mechanics" 4 (4): 46-52, 2012
10 이영호, "ENQA 유럽지역 고등교육 질 보장 지침의 의미와 전망"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25-144, 2007
11 Y. Kim, "Application of MS excel in teaching statics" 2 (2): 21-28, 2014
12 J. Kim, "A study on learning achievement gap in the secondary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methods of materials processing section" 7 (7): 107-112, 2015
러닝팩토리기반 기술융합교육을 통한 텔리 오퍼레이션 로봇핸드구현 사례 연구
IMU센서를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교육용 장비 및 응용
공학계열 장기현장실습(IPP) 참여자 반응 및 행태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2019-09-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