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1차적인 내용은 이후 조사되는 부산경남민요의 자료를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디지털 자료로 이전하는 작업을 통해 포괄적인 자료와 기록매체를 확보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또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9506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1차적인 내용은 이후 조사되는 부산경남민요의 자료를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디지털 자료로 이전하는 작업을 통해 포괄적인 자료와 기록매체를 확보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또한 ...
본 연구의 1차적인 내용은 이후 조사되는 부산경남민요의 자료를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디지털 자료로 이전하는 작업을 통해 포괄적인 자료와 기록매체를 확보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또한 2차적으로 자료의 학문적인 연구를 통하여 체계화하고 자료의 종적 횡적인 가치에 의미부여를 시도함으로서 한국 민요연구사에 부산경남 지역의 민요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도보하고자 한다.
1970년대 국문학자 중심의 구비문학적 민요조사와 1980년대 정신문화연구원의 주도로 이루어진 민요 조사작업과 성과물, 1990년대 MBC를 중심의 한국민요대전 조사작업과 더불어 이번 조사의 성과물을 비교연구하면 근대에 일어나는 민요전승의 변화로 현상에 대한 일목요연한 정리가 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강원, 전라 지역의 민요와의 비교연구는 현장조사의 학문적 성과를 극대화 시킬수 있는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