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언어문화 속의 오노마토피아의 기능 = The function of Onomatopia in the language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2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문화 속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운용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미묘한 의미전달을 위해 어감(語感)을 구분하고자 음운체계(音韻體系)를 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어의 보편성과 정합성(整...

      언어문화 속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운용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미묘한 의미전달을 위해 어감(語感)을 구분하고자 음운체계(音韻體系)를 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어의 보편성과 정합성(整合性)이 오노마토피아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잘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오노마토피아에서 한국어와 일본어는 동음반복형(同音反復形)의 첩어(疊語)가 발달되어 있으며 접미어가 결합하여 다양한 이형태(異形態)와 의미를 생산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주된 역할에 있어서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일본어의 특징 중 하나로 어두(語頭)에 탁음(濁音)이 오지 않는다는 「語音配列則」이 있지만 오노마토피아의 경우는 어두(語頭)에 탁음(濁音)을 오게 함으로써 단어의 의미만이 아니라 음상징적(音象徵的)인 인상(印象)과 표현가치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쳐 표현의 다양성과 적합성을 부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그 기능은 잘 유지되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노마토피아에 있어서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주된 역할은 일본어는 모음교체(母音交替)보다 어두(語頭)의 청음(淸音)· 탁음(濁音)의 교체 즉, 자음교체(子音交替)에 의해 어감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자음(子音)이 모음(母音)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뚜렷한 어감(語感)의 차이를 나타내거나 변화를 흡수해서 유사한 어감(語感)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한국어의 경우는 자음교체(子音交替)보다도 모음교체(母音交替)에 의해 어감(語感)의 차이가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즉, 모음(母音)이 「강세(强勢)와 대소(大小)·경중(輕重)·명암(明暗)·정밀성(精密性)」등 자음(子音)의 어감변화(語感變化)를 흡수, 통합하거나 유사한 어감(語感)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오노마토피아가 주변적인 그룹으로 취급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는 문화속의 언어라는 관점에서 독자적 어휘체계(語彙體系)로 자리매김할 방법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 한다.
      언어에 본질적으로 결여되어 있는 사태를 추상화하고 객관화하는 언어활동에 대해 언어의 기능원리를 이해하고 감성을 움직여서 인간의 감정과 감각을 직감적으로 변함없이 표현할 수 있는 생명력을 가진 오노마토피아야말로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소중한 자산이며 이 기능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언어문화활동을 윤택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onant replacement in Korean and Japanese.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wel change was examined. In Onomatopia,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same pronounced repetitive forms and have a common meaning that they produce various forms and meaning...

      Consonant replacement in Korean and Japanese.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wel change was examined.
      In Onomatopia,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same pronounced repetitive forms and have a common meaning that they produce various forms and meanings by combining the suffixes. However, in the main role of difference in the sense of the word, Respectively.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the Japanese language is that there are no voices in the head of the word, but in the case of Onomatopia, the voiced sound comes to the head of the word, thereby affecting not only the meaning of the word but also the phonetic impression and expression value It can be said that the functions are maintained well and are operated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operators in the language culture are operating the phonemic system which seeks to distinguish the word sense for subtle meaning propagation in everyday life, the universality and consistency of the language is more effective for Onomatopia As shown in Fig.
      The main role of onomatopia is to show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cabulary substitution, vocabulary substitution, or consonant substitu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onsonants play a dominant role over the vowels and show a similar word sense by showing a difference of a clear word sense or absorbing a change.
      On the other hand, Korean language shows systematic and effectiv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wel replacement than consonant replacement. In other words, the vowels are "strong and large. Light, darkness, and precision ",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sonants.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not considered that onomatopia which is unconsciously used in everyday life is regarded as peripheral group, but it is considered in the viewpoint of how it is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vocabulary system in future, I think it should be done.
      Onomatopia, which has the vitality to express the emotions and feelings of the human being unchanged by understanding the function principle of language and moving the sensibility about the language activity that abstains the situation which is essentially lacking in language, It is a valuable asset possessed by human beings, and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is function is one way to enrich language culture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근, "현대국어 흉내말의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2 황규삼, "한자의 차용(借用)과 오노마토피아의 차자(借字)표기" 한국사상문화학회 (81) : 361-382, 2016

      3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4 青山秀夫, "象徴語の一部の派生接尾辞について" 朝鮮学会 145 : 1991

      5 野間秀樹, "湖がパンチャクパンチャク輝いた-朝鮮語のオノマトペ-" (8) : 2001

      6 青山秀夫, "朝鮮語象徴語辞典" 大学書林 1990

      7 野間秀樹, "朝鮮語のオノマトペー擬音擬態語と派生․単語結合․シン タックス․テキストについて" (14) : 1991

      8 E-Japan 国立国語研究所, "日本語を楽しもう" 2004

      9 阪倉篤義, "日本語の感情と言語" (5) : 1973

      10 西尾寅弥, "擬音語․擬態語+する, の形式について" (20) : 1981

      1 박동근, "현대국어 흉내말의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2 황규삼, "한자의 차용(借用)과 오노마토피아의 차자(借字)표기" 한국사상문화학회 (81) : 361-382, 2016

      3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4 青山秀夫, "象徴語の一部の派生接尾辞について" 朝鮮学会 145 : 1991

      5 野間秀樹, "湖がパンチャクパンチャク輝いた-朝鮮語のオノマトペ-" (8) : 2001

      6 青山秀夫, "朝鮮語象徴語辞典" 大学書林 1990

      7 野間秀樹, "朝鮮語のオノマトペー擬音擬態語と派生․単語結合․シン タックス․テキストについて" (14) : 1991

      8 E-Japan 国立国語研究所, "日本語を楽しもう" 2004

      9 阪倉篤義, "日本語の感情と言語" (5) : 1973

      10 西尾寅弥, "擬音語․擬態語+する, の形式について" (20) : 1981

      11 松下大三郎, "増補校訂標準日本口語法" 勉誠社 1977

      12 北原白秋, "北原白秋集詩歌編" 改造社 1929

      13 田守育啓, "オノマトペ-形態と意味-" くろしお출판 1999

      14 筧寿雄, "オノマトピア-擬音擬態語の樂園-" 勁草書房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