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기업의 기술 및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보안규정의 법적 근거 강화방안 = Strengthening the Legal Basis for Security Rule to Protect Technology and Trade Secrets for Small Busine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7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various schemes have been implemented to prevent the outflow of technology, but they do not bring practical effects. In general, we focus on follow-up measures such as strong punishment in case of violation of the law. In terms of proactive prevention, it is not shown to have any real preventive effect, even though it includes such matters as imposing security measures on companies or conducting a survey. this paper examines the need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business secrets by reviewing the employment rules between companies and workers presented in the Labor Relations Act and the Labor Standards Act as a realistic alternative. In most companies, even though the employment rule is the highest standard of private regulations, the employment rule has no matters on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technology leakage. The employment rules require all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to agree and notify in the Labor Standards Act, so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m as standards in the standard employment rules because it shows that all employees of the company can have a common sense of security and present legal compliance with security-related documents, such as security pledges and security-related guidelines and procedures.
      번역하기

      In Korea, various schemes have been implemented to prevent the outflow of technology, but they do not bring practical effects. In general, we focus on follow-up measures such as strong punishment in case of violation of the law. In terms of proactive ...

      In Korea, various schemes have been implemented to prevent the outflow of technology, but they do not bring practical effects. In general, we focus on follow-up measures such as strong punishment in case of violation of the law. In terms of proactive prevention, it is not shown to have any real preventive effect, even though it includes such matters as imposing security measures on companies or conducting a survey. this paper examines the need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business secrets by reviewing the employment rules between companies and workers presented in the Labor Relations Act and the Labor Standards Act as a realistic alternative. In most companies, even though the employment rule is the highest standard of private regulations, the employment rule has no matters on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technology leakage. The employment rules require all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to agree and notify in the Labor Standards Act, so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m as standards in the standard employment rules because it shows that all employees of the company can have a common sense of security and present legal compliance with security-related documents, such as security pledges and security-related guidelines and proced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문, "효율적인 자유무역협정(FTA)지재권 협상방안" 고용노동부 2004

      2 계승균, "형사처벌 실효성 제고 등 부정경쟁방지법 개선방안 연구" 특허청 1-243, 2015

      3 아시아경제, "현대판 '매국' 산업기술유출 범죄 쑥…알짜 쏙쏙 빼가는 中"

      4 고용노동부, "취업규칙의 효력에 관한자문 및 검토 결과"

      5 이 정, "취업규칙 분석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09

      6 김홍영, "취업규칙 관련 법리의 문제점과 대안 ― 근로자위원회의 사업장협정 도입 모색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2) : 151-194, 2017

      7 송영식, "지적소유권법(하)" 육법사 1999

      8 손승우, "지식재산권법의 이해" 동방문화사 2019

      9 전용태, "중소기업의 기업경영 환경을 고려한 사이버 보안 관리" 한국경호경비학회 (59) : 9-36, 2019

      10 노재철, "중소기업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인적·노무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20 (20): 89-128, 2017

      1 이봉문, "효율적인 자유무역협정(FTA)지재권 협상방안" 고용노동부 2004

      2 계승균, "형사처벌 실효성 제고 등 부정경쟁방지법 개선방안 연구" 특허청 1-243, 2015

      3 아시아경제, "현대판 '매국' 산업기술유출 범죄 쑥…알짜 쏙쏙 빼가는 中"

      4 고용노동부, "취업규칙의 효력에 관한자문 및 검토 결과"

      5 이 정, "취업규칙 분석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09

      6 김홍영, "취업규칙 관련 법리의 문제점과 대안 ― 근로자위원회의 사업장협정 도입 모색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2) : 151-194, 2017

      7 송영식, "지적소유권법(하)" 육법사 1999

      8 손승우, "지식재산권법의 이해" 동방문화사 2019

      9 전용태, "중소기업의 기업경영 환경을 고려한 사이버 보안 관리" 한국경호경비학회 (59) : 9-36, 2019

      10 노재철, "중소기업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인적·노무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20 (20): 89-128, 2017

      11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중소기업기술 보호 지침" 중소벤처기업부 2018

      12 김동완, "중소기업 기술유출의 현황과과제" 1 : 1-28, 2013

      13 박정구, "중소기업 기술보호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가칭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법」의 제정안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법연구원 20 (20): 185-224, 2014

      14 김시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유출방지를 위한 소고" 1-14, 2013

      15 황선영, "중국에서의 영업비밀 침해 금지를 위한 종업원의 경업금지의무에 관한 연구 - 「반부정당경쟁법」 및 「노동계약법」을 중심으로 -" 한국지식재산학회 (53) : 477-505, 2017

      16 노현숙, "중국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적 규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6 (6): 75-114, 2016

      17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소상공인현황"

      18 서정환, "일본, 이번엔 직장인 부업·겸업 허용…일하는 방식 바꾸는 아베" 한국경제

      19 이정, "일본 노동계약법상의 취업규칙의 법적 의미" 17 (17): 26-40, 2009

      20 정차호, "의료방법발명의 영업비밀로서의 보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8 (8): 71-97, 2013

      21 황의창, "영업비밀유지 의무에 관한 계약관계 등이란" 19 (19): 37-42, 1994

      22 윤선희, "영업비밀보호법 전면개정" 법문사 2019

      23 김병남, "영업비밀보호법 실무" KIIP(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24 특허청, "영업비밀보호 가이드북"

      25 송봉규, "영업비밀 유출에 따른 보안관리체계의 차이: 중소기업 기술보호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1 (21): 326-358, 2014

      26 벤처확인·공시시스템, "연도별 증감현황"

      27 김원일, "사용자의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근로자의 경업(競業), 전직(轉職) 금지와 보상의 필요성" 대한변호사협회 (414) : 23-35, 2011

      28 정상조, "부정경쟁방지법상의 종업원의 비밀유지의무" 36 (36): 164-180, 1995

      29 황의창,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법" 세창출판사 2006

      30 김양실, "미국 연방의회의 영업비밀방어법(Defend Trade Secrets Act)제정·공포" 한국지식재산보호원 1-6, 2016

      31 하갑래, "노동법 총서" 중앙경제 2017

      32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08

      33 특허청, "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영업비밀 관리방안 및 보호제도 연구" 특허청 2011

      34 최영진, "근로계약상의 부수적 의무에 관한 고찰 -영국, 독일, 미국을 중심으로-" 한양법학회 (24) : 55-81, 2008

      35 박영규, "고용계약 종료 후의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정보법학회 20 (20): 1-33, 2016

      36 박재영, "美 영업비밀보호법(DTSA)제정과 산업분쟁 사례가 주는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26) : 1-8, 2020

      37 石田信平, "營業秘密保護と退職後の競業規制" 58 (58): 267-351, 2006

      38 산업보안실무위원회, "ISE 국가공인산업보안관리사" 케듀아이 2019

      39 G.S. Gulick, "American Jurisprudence" Jurisprudence Publishers 1999

      40 이미순,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18-19) : 1-20, 2018

      41 중소벤처기업부, "2017중소기업 기술보호 수준실태조사" 중소기업벤처부 2018

      42 특허청, "2016년도 우리기업의 국내외영업비밀 피침해 실태조사" 특허청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3 1.52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