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지 통계(Gender Statistic)는 여성과 남성의 조건과 사회공헌, 성별에 따른 특수한 문제를 반영하기 위해 생산되는 통계자료 일체를 말함(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통계시스템 이용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 성인지 통계(Gender Statistic)는 여성과 남성의 조건과 사회공헌, 성별에 따른 특수한 문제를 반영하기 위해 생산되는 통계자료 일체를 말함(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통계시스템 이용자...
○ 성인지 통계(Gender Statistic)는 여성과 남성의 조건과 사회공헌, 성별에 따른 특수한 문제를 반영하기 위해 생산되는 통계자료 일체를 말함(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통계시스템 이용자가이드:6)
성인지 통계 발간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전반에 존재하는 성별에 따른 상이한 상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불평등한 현상을 보여줌으로써 성차별적 요소를 개선하는데 있음
성평등 정책은 성별차이에 따른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여성가족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다양한 지역 정책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하는 요소임 특히 성별영향평가와 성인지 예산, 여성친화도시 조성 등 성주류화
정책 추진을 위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장 기본적인 항목으로 점차 기초자치단체 자체적으로 주기적 생산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공주시는 성평등 정책 추진 강화를 위해 성인지 통계 산출·보급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음
「양성평등기본법」제17조(성인지 통계)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인적 통계를 작성하는 경우 성별 상황과 특성을 알 수 있도록 성별로 구분한 통계(이하 성인지 통계)를
산출하고 이를 관련 기관에 보급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음「공주시 양성평등기본조례」제33조(성인지 통계)에서 공주시 양성평등정책 촉진을 위해서 인적통계를 작성하는 경우 성별 상황과 특성을 알 수 있도록 성별로 구분
된 성인지 통계를 산출·보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공주시의 현황을 반영한 성평등 정책 수립과 시행을 위해서는 가구 및 가족, 경제·사회·정치·안전·복지·문화 등의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성별 현황과 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통계 자료구축이 기본적인 요소임
○ 공주시는 2019년 「공주시 성인지 통계」를 처음으로 발간하였으며, 변화된 환경과 새로운 성평등 이슈와 관련한 지표를 반영하여 시정의 수립과 집행의 시의성 담보를 위해 최신 공포된 통계자료 구축이 필요함
○「2023 공주시 성인지 통계」는 2019년 지표체계를 기초로 공주시 양성평등정책 및 여성친화도시 사업을 검토하여 지표체계를 재구성하고 각 통계의 갱신 또는 재구축을 통해 공주시 성평등정책 수립 및 발전적인 여성친화도시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음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