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메이지 시대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일선동조론의 내용을 고찰하기 위한 시론적인 연구로, 먼저 근대 일본의 한국사 서술과 인식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메이지 시대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4961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메이지 시대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일선동조론의 내용을 고찰하기 위한 시론적인 연구로, 먼저 근대 일본의 한국사 서술과 인식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메이지 시대의 ...
본고는 메이지 시대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일선동조론의 내용을 고찰하기 위한 시론적인 연구로, 먼저 근대 일본의 한국사 서술과 인식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메이지 시대의 역사서 중에서 이제껏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가 없었던『國史眼』과 『朝鮮開化史』의 편찬 배경과 한일관계 인식을 살펴본다.『國史眼』은 근대적인 전문사서로 고대 일본의 조선 지배를 처음으로 다룬 일선동조론의 원류가 되는 관찬사서이다.『朝鮮開化史』는 쓰네야가 조선을 정탐하고 일본의 ‘식민사업’에 공헌하기 위해 ‘天絳人種論’이란 일선동조론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여 저술한 책이다. 이 두 책은 일선동조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주목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메이지시대 한국사서술의 왜곡된 흐름은 강점이전의 대한제국기 역사서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나아가 식민지 시기 일정하게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이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apan during the period of Meiji is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epitaph of King Kwanggaeto(廣開土王) toward 1883 and asserted that Japan ruled over Chosun since the mythical age. This assertion was d...
The Japan during the period of Meiji is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epitaph of King Kwanggaeto(廣開土王) toward 1883 and asserted that Japan ruled over Chosun since the mythical age. This assertion was disguised in the modern method of study and developped to the distortion of the history of Korea.
In 1887, Tokyo National University installed the Department of History, and two
years lat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national History, the whole system of history research was put in order. Then, in 1890, Kokusigan(國史眼), the work of Korea-Japan relations written with Ilsundongjoron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Chosun and Japan) standpoint, was published.
This paper examined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 made by Japan and
the conception of Korea-Japan relations in order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e
theory of Ilsundongjoron during the period of Meiji.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backgrounds of the publication of Kokusigan and Chosenkaikasi(朝鮮開化史) and the conception of Korea-Japan relations. The contents of the distorted conception of Korea-Japan relations of the modern Japan are as follows :
1. From the time immemorial, the two countries had the relations each other and
Japan was dominant since the mythical age.
2. Susano(素盞鳴尊), brother of Amaterasu(天照大神) who is the Japaneses'
progenitor, was the governor of Chosun.
3. The two countries are in the relationship of the same kind and the same
blood.
4. Inahi(稻飯命) became the king of Shilla and Ameno(天日槍), his son, was
naturalized in Japan.
5. The Empress Jinguu(神功) conquered Sam Han (Three Hans) and installed
Mimana-nihonfu(任那日本府). Then,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was submitted to Japan.
6. Three kingdoms of Korea payed tribute to Japan.
7. The invasion of Toyotomi Hideyoshi(豊臣秀吉) on Chosun is the succession of the subjugation of Sam Han by Empress Jinguu.
8. The history of Chosun is that of the struggle for the impossible independence
from the invasion of foreign countries.
9. Chosun is the subject country of China, and its history is China's affiliated
history. This conception constitutes the basement of the publication of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 Consequently, the Japanese recognize Chosun as the object of the subjugation or as the subject country. During the Daihanjeguk (the Empire of Korea), this conception was introduced uncritically in our academic society of history and the invasion of distorted colonial history had continued. After the forced annexation in 1910, this conception was the basement of the justification of the colonial rule and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Japanese's conception of Chosun.
국문 초록 (Abstract)
주초록은 본문의 일부분을 인용한 것입니다. 상위 학술논문정보원은 본 프리프린트에 대한 학술논문의 정보를 입력한 것입니다.
주초록은 본문의 일부분을 인용한 것입니다.
상위 학술논문정보원은 본 프리프린트에 대한 학술논문의 정보를 입력한 것입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근대 일본의 한국사 서술과 일선동조론 3.『國史眼』에 나타난 한일관계 인식 1)『國史眼』의 편찬배경 2)『國史眼』의 한일관계 인식 4.『朝鮮開化史』에...
1. 머리말
2. 근대 일본의 한국사 서술과 일선동조론
3.『國史眼』에 나타난 한일관계 인식
1)『國史眼』의 편찬배경
2)『國史眼』의 한일관계 인식
4.『朝鮮開化史』에 나타난 한일관계 인식
1) 東亞同文會와 恒屋盛服
2)『朝鮮開化史』의 한일관계 인식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