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매체의 시대, 소비사회의 사물 일반이 겪는 변화를 겪으면서 동시에 과거 공동체 속에서 감당해왔던 문화적 역할을 상실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두드러지는 곳이 대학로 문화지구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698267
서울 : 한양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원 , 2003.8
2003
한국어
서울
60 p. : 삽도 ; 30 cm.
국문초록: p. 3-4
영문초록: p. 60
참고문헌: p. 50-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건축은 매체의 시대, 소비사회의 사물 일반이 겪는 변화를 겪으면서 동시에 과거 공동체 속에서 감당해왔던 문화적 역할을 상실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두드러지는 곳이 대학로 문화지구이...
건축은 매체의 시대, 소비사회의 사물 일반이 겪는 변화를 겪으면서 동시에 과거 공동체 속에서 감당해왔던 문화적 역할을 상실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두드러지는 곳이 대학로 문화지구이다. 대학로는 대학문화를 오랫동안 간직해오면서 나름대로의 문화적 이미지를 축적하고 있었고 마로니에 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 컴플렉스가 형성되어 문화 인프라가 비교적 잘 구비된 곳이었다. 무엇보다도 이 곳은 형성초기부터 정부가 문화지구로의 개발목표를 명확히 하고 정책적으로 조성이 이루어졌으며, 물리적 기반 구축을 위한 공간계획이 수반된 문화전략의 실시로 ‘문화의 거리’로서의 장소이미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화전략이 실시된 지 15년이 흐른 지금, 대학로는 서울의 대표적인 소비, 유흥공간으로 또 다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어 공간적 성격이 조성초기와는 다르게 변질되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건축에 요구되는 중요한 작업은 그것만이 할 수 있는 인간과 환경과의 복합체인 장소를 발생시키고, 존재를 지키는 일이다.
대학로에는 유동 인구가 많고 프로그램도 유목적인 성질을 띤다. 건축에 물질화된 요소 이상으로 정보, 사람, 욕구와 같은 비물질화된 요소들의 흐름이 중요한 고려조건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대학로의 문화적 프로그램과 이곳의 방문자들이 맺는 관계에 집중하면서 system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제안하는 Hub system은 운송체계 뿐 아니라 인터넷의 조직구축에도 사용되며 효과적인 접근이나 이동을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Hub system의 실현을 위해 그에 맞는 건축적 구성원리를 찾는 작업을 하였다. 여기서는 접근이나 이동의 방법에 집중하여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형태와 비교했을 때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을 선택하여 몇가지 원리를 정하였다. 이것의 실현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열린조직의 구축이며 열린조직을 만들기 위한 건축적 방법을 디자인 컨셉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원리로 형성되는 건물은 현재와 같이 수직 적층된 평면 형태가 아닌, 사람의 유동성으로 영역성을 구축함으로써 유연한 경계를 갖게 되고 수직, 수평적인 연속성을 동시에 지니게 되는 열린조직의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Hub의 구축이 필요한 지역을 대학로 문화지구만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시 내에서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겪으면서 상실한 건축의 문화적 역할을 다시 살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ge of Architectural medium is losing cultural role through undergoing change that things general of consumption society undergoes and also had equaled in community past at the same time. Place that this situation stands out is Daehak-Street cult...
The Age of Architectural medium is losing cultural role through undergoing change that things general of consumption society undergoes and also had equaled in community past at the same time. Place that this situation stands out is Daehak-Street culture district. Daehaak-Street was cherishing cultural image naturally and also has been accumulating culture infra because culture complex is formed with the Marronnier park as the central figure keeping college culture for a long time. First of all, this place is that the Government clarify development target(culture district) beginning of formation and furtherance consisted by policy.
By enforcement of culture strategy that space plan is accompanied for construct physical base, could do place image as "Culture Street" more firmly. But 15 years are passing now since culture strategy is enforced, Daehaak-Street is forming another image to representative consumption of Seoul and merrymaking space, is degenerated as beginning. In this situation, important work, is required in architecture, is that breed complex place with human and environment, and keep existence. There are many floating populations to Daehaak-Street and program also has nature of the purpose. Non-materialization such as information, a person, desire flowing of elements become have consideration condition that is important more than Materialization of architecture elements. So, Cultural program of Daehaak-Street and visitors proposed system's conversion as converge in relation. Hub system(proposed above) has been used by system for effective access or transfer to formation construction of internet as well as transport system. And worked that look for constituent state suitable construction enemy for Hub system's realization. Research was achieved converging to method of approach or transfer and when compared with form having usually present, select profitable item and decided some principles. It is open formation's construction that is expose by realization result and set architectural method to design concept to make open formation. According to Building which is formed as above, is not vertical plane form with present, constitute a territory by person's fluidity, it should have flexible boundary and also contains vertical, horizontal consecutiveness at the same time. Therefore open formation has been changed. In this research, there is no limit necessary area to the Daehaak-Street culture district. These method can be applied to rescue again and activate cultural role of construction that lose undergoing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in c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