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악성종양의 진행과 전이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로 신생혈관형성 및 단백분해효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악성종양의 진행과 전이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로 신생혈관형성 및 단백분해효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목적 : 악성종양의 진행과 전이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로 신생혈관형성 및 단백분해효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경계성, 악성종양에서 신생혈관형성 유발인자인 VEGF의 발현도와 신생혈관수 및 Cathepsin D의 발현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수술로 절제된 난소조직중 장액성 종양 41예와 점액성 종양 5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VEGF와 Cathepsin D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고, CD31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미세혈관 수를 정량화 하였다. 장액성 종양은 양성 19예, 경계성 3예, 악성 19예였고, 점액성 종양은 양성 2예, 경계성 16예, 악성 14예였다.
결과 : 미세혈관 수, VEGF, Cathepsin D는 점액성과 장액성 모두에서 양성이나 경계성보다 악성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미세혈관 수는 재발한 1예와 사망한 1예에서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임상인자인 병기, 종양크기 및 환자의 연령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VEGF 발현과 미세혈관 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으나, Cathepsin D와 VEGF, 신생혈관 수의 발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종양의 혈관형성 에 있어 VEGF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혈관형성인자 및 성장인자가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 결론적으로 미세혈관 수, VEGF, 그리고 Cathepsin D의 발현은 난소종양 진행의 유용한 지표로서 여겨지나, 아직 예후에 대한 유의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추적기간이 짧아 앞으로 환자의 장기 생존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umor angiogenesis and proteolysis have a rol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various types of tumor.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in ovarian epithelial tum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evaluate correlation of MVC...
Objective : Tumor angiogenesis and proteolysis have a rol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various types of tumor.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in ovarian epithelial tum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evaluate correlation of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with progression in ovarian tumor.
Methods : Formalin fixed tumor tissues from 41 cases of serous and 50 cases of mucinous tumors were analyzed for the expresssion of VEGF and Cathepsin 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The authors quantified microvessel counts (MVC) using monoclonal antibody for CD31. The serous tumors included 19 cases of benign, 3 cases of borderline and 19 cases of malignant tumors. The mucinous tumors included 20 cases of benign, 16 cases of borderline and 14 cases of malignant tumors.
Results :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in malignant tum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benign or borderline malignancy of both serous and mucinous tumors. One case of recurrence and another one case of death showed highly counted microvess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s to FIGO stage, tumor size or patient’s ag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EGF expression and MVC, howeve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xpression of Cathepsin D and VEGF and MVC. These results suggest that other angiogenic factors may affect in the regulation of angiogenesis.
Conclusion :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seems to be suggested as a useful indicator of progression in ovarian tumors.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cannot be fully established and additionally long-term follow up study for patient’s survival rate is needed.
난소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들의 Multiple Methylator Pheno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