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전략으로서, 신체활동에 제약을 주는 장애요인과 증진요인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한 후, 아동의 신체활동을 늘리기 위한 부모용 신체활동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88518
-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전략으로서, 신체활동에 제약을 주는 장애요인과 증진요인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한 후, 아동의 신체활동을 늘리기 위한 부모용 신체활동 교...
이 연구는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전략으로서, 신체활동에 제약을 주는 장애요인과 증진요인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한 후, 아동의 신체활동을 늘리기 위한 부모용 신체활동 교육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3년 과제 중 1년차는 아동의 신체활동량 측정과 장애 및 증진요인 탐색, 심층면담이 이루어졌으며, 2년차는 연구수행 및 방법 과정을 통하여 학부모 교육모듈을 개발하였으며, 3년차는 개발된 학부모 교육모듈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선정 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1년차 연구의 주요 내용은 아동의 신체활동량 측정과 장애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령기 아동 295명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보행계수기를 사용하였고, 신체활동 장애요인 및 증진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신체활동량은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개방형 질문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신체활동량이 높고 낮은 아동 가운데 자발적 면담참여자에 한해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한 후 녹취하였고,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신체활동 장애요인에 대한 개방형 반응은 총 892개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 학업, 생활태도, 정신, 주변 환경, 신체저하 순으로 6개의 일반영역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신체활동 증진요인에 대한 개방형 반응은 총 772개로 나타났으며, 직접적 신체활동, 주변 환경, 마음가짐, 생활습관 개선 순으로 4개의 일반영역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심층면담 결과로서 신체활동량이 높은 아동들은 신체활동 참여와 운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부모와의 신체활동 참여기회를 통한 유대감 형성, 대중매체에 조절에 대한 부모와의 약속이행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낮은 아동은 신체활동 회피와 운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운동참여로의 물리적 및 인적환경의 부재, 대중매체 사용 증대, 부모와의 신체활동 참여기회부족 등이 나타났다.
- 2년차 연구의 주요 내용은 (1)1년차 연구에서 추출된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 및 장애요인 분석, (2)문헌연구 조사, (3)국내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 현황 및 분석, (4)학부모의 요구도 조사, (5)전문가 협의를 통한 학부모 교육모듈 개발이다. 개발된 교육모듈은 총 9개의 주제(1. 신체활동의 중요성, 2. 체력 알아보기, 3. 아동의 음식 섭취와 소비, 4. 신체활동 시간 계획, 5. 자녀와 교감하기, 6. 운동진행단계와 주의사항, 7. 효율적 대중매체 이용, 8. 다양한 신체활동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comparing their recogni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barriers and promotion factor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s. The re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comparing their recogni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barriers and promotion factor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A compt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 open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on physical activity barriers and promotion factors. A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was utilized to classify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e study subjects. An inductive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ed. An unstructured interview was performed for those subjects with voluntary will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data collected was encoded using word processor. The result revealed 892 physical activity barriers, which were classified as mass media, school work, daily habit, mentality, physical environment, and physical deterioration. The result showed 772 physical activity facilitators, which include direct physic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lifestyle improvement, and mind set. As for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children with high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aware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