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그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변인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변수들의 효과크기를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며, 연구 특성 변수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5815
-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그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변인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변수들의 효과크기를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며, 연구 특성 변수들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그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변인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변수들의 효과크기를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며, 연구 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생태체계적 변인으로는 개인체계 변수인 자아존중감, 우울, 가족체계 변수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모의 학대·폭력, 학교체계 변수인 교사의 지지, 학업 스트레스, 또래체계 변수인 친구애착, 따돌림을 선정하였다. 연구 특성 변수들은 출판유형, 자살생각 척도의 종류, 학교급, 표본크기, 출판연도이다. 연구 결과, 효과크기는 개인체계, 가족체계, 학교체계, 또래체계 순으로 개인체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 체계별로 살펴보면 보호요인(자아존중감,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친구애착)보다는 위험요인(우울, 부모의 학대·폭력, 학업 스트레스, 따돌림)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별 메타분석에서 출판편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절변수의 유의성은 분석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다체계적 개입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결과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는 공통된 효과크기 추정, 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출판편향 검토, 메타 회귀분석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의 메타연구가 가지고 있었던 한계를 극복한 방법론적인 대안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메타분석을 적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erform meta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eco-system variables, to estimate and compare the effect sizes of each variables, and to test the influence of study characteri...
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erform meta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eco-system variables, to estimate and compare the effect sizes of each variables, and to test the influence of study characteristics variables. Eco-system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er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individual system,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al abuse·violence in family system, teacher’s support and academic stress in school system, and attachments of friends and bullying in peer system. Study characteristics variables were publication type, the type of suicidal ideation scale, school, sample size, and year of publication. As results, the largest effect size was in the individual system variables, followed by the family system variables, school system variables, and peer system variables. The effect sizes of risk factors(depression, parental abuse‧violence, academic stress, and bullying) were larger than those of protective factors(self-efficacy,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eacher’s support, and attachments of friends) in each system. There was no publication bias and there was difference of significance of moderate variables in each meta analysi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presented in det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