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복지현장의 직무분석에 따른 노인복지 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n Welfare of the Aged Curriculum According to Job Analysis of Welfare Site of the Ag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39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welfare of the aged curriculum has been operated focusing on the lecture plan, textbook on welfare of the aged, instruction on welfare of the aged of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s and how jobs of social worker at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have been operated through precedent studies. For importance of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on the welfare of the aged curriculum,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professionals at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As a result of analysis, contents of education regarded very important at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are found to include desire of the aged, their problems and case management. Based on study results,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plans regarding how welfare education for the aged should be conducted at the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how the welfare of the aged curriculum has been operated focusing on the lecture plan, textbook on welfare of the aged, instruction on welfare of the aged of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s and how jobs of social worker a...

      This study analyzed how the welfare of the aged curriculum has been operated focusing on the lecture plan, textbook on welfare of the aged, instruction on welfare of the aged of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s and how jobs of social worker at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have been operated through precedent studies. For importance of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on the welfare of the aged curriculum,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professionals at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As a result of analysis, contents of education regarded very important at the field of welfare of the aged are found to include desire of the aged, their problems and case management. Based on study results,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plans regarding how welfare education for the aged should be conducted at the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 직무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그리고 노인복지 교육과정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노인복지론 교과목 지침서와 노인복지론 교재, 강의계획서를 중심으로 대학에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노인복지 교육과정에 대한 노인복지현장의 중요도는 노인복지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 교육과정 중에서 노인복지현장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된 교육내용은 노인의 욕구와 문제, 그리고 사례관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노인복지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 직무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그리고 노인복지 교육과정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노인복지론 교과목 지침서와 노인복지론 교재, 강의계획서를 중...

      본 연구는 노인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 직무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그리고 노인복지 교육과정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노인복지론 교과목 지침서와 노인복지론 교재, 강의계획서를 중심으로 대학에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노인복지 교육과정에 대한 노인복지현장의 중요도는 노인복지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 교육과정 중에서 노인복지현장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된 교육내용은 노인의 욕구와 문제, 그리고 사례관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노인복지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외성,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새로운 지평과 도전"

      2 원미순, "직무분석에 기초한 사회복지학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3 (3): 71-125, 2007

      3 최성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론 강의계획서"

      4 박경일, "사회복지행정 교재의 검토와 교육의 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 (4): 69-95, 2008

      5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1급과 2,3급의 직무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09-236, 2006

      6 윤현숙, "사회복지사의 직무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보건복지부 2004

      7 안정선,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T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8) : 243-274, 2005

      8 권중돈,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론 강의계획서"

      9 이상균,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53-85, 2010

      10 정순둘, "대학 사례관리교육과정:교과목 지침서와 교재분석" 3 (3): 65-80, 2012

      1 현외성,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새로운 지평과 도전"

      2 원미순, "직무분석에 기초한 사회복지학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3 (3): 71-125, 2007

      3 최성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론 강의계획서"

      4 박경일, "사회복지행정 교재의 검토와 교육의 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 (4): 69-95, 2008

      5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1급과 2,3급의 직무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09-236, 2006

      6 윤현숙, "사회복지사의 직무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보건복지부 2004

      7 안정선,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T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8) : 243-274, 2005

      8 권중돈,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론 강의계획서"

      9 이상균,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53-85, 2010

      10 정순둘, "대학 사례관리교육과정:교과목 지침서와 교재분석" 3 (3): 65-80, 2012

      11 임승규,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표준화를 위한 직무분류"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191-208, 2007

      12 손화희, "노인상담종사자의 직무분석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645-662, 2008

      13 현외성, "노인복지학신론" 서울:양서원 2010

      14 김기태, "노인복지론" 서울:공동체 2009

      15 정옥분, "노인복지론" 서울:학지사 2008

      16 권중돈, "노인복지론" 서울:학지사 2012

      17 최성재,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18 현외성,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론 강의계획서"

      19 김인규, "DACUM법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97-115, 2010

      20 박태영, "DACUM 직무분석기법에 의한 노인요양시설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287-314, 2009

      2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2년도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