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ethylnitrosamine(DMN)은 간 및 폐, 신장, 식도 등에 앙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며 정상인의 혈액 및 뇨에서도 0.1~1 ppb정도가 검출되고 있다. DMN은 DNA를 methylation시켜 비정상적인 adduct를 형성하여 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515432
김재현 ; 홍연탁 ; 박정식 ; 김승희 ; 강태규 ; 홍성렬 ; 박창원 ; 권오철 ; 이동권 ; Kim, Jea-Hyun ; Hong, Youn-Tak ; Park, Jung-Sik ; Kim, Seung-Hee ; Kang, Tea-Gyu ; Hong, Sung-Roul ; Park, Chang-Won ; Kweon, O-Cheol ; Rhee, Dong-Kwon
1991
Korean
학술저널
543-549(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Dimethylnitrosamine(DMN)은 간 및 폐, 신장, 식도 등에 앙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며 정상인의 혈액 및 뇨에서도 0.1~1 ppb정도가 검출되고 있다. DMN은 DNA를 methylation시켜 비정상적인 adduct를 형성하여 암...
Dimethylnitrosamine(DMN)은 간 및 폐, 신장, 식도 등에 앙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며 정상인의 혈액 및 뇨에서도 0.1~1 ppb정도가 검출되고 있다. DMN은 DNA를 methylation시켜 비정상적인 adduct를 형성하여 암을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는 ethanol 또는 vitamin A를 mouse에 전처리 하였을 때 $[^{14}C]$으로 표지된 DMN이 생체내의 DNA, RNA 및 단백질과 어느 정도 공유결함을 형성하여 손상을 주는지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DMN은 뇌 또는 췌장에서 보다는 간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였으며 이 때 간의 DNA와 결합하는 것이 단백질 또는 RNA와 결합하는 것보다 각각 1.4배와 1.75배 높았다. Ethanol을 전처리 하였을 때는 DMN이 ethanol을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간의 경우 RNA와 단백질이 각각 7.5배, 1.4배 정도 더 결합하였다. Ethanol을 전처리한 뇌의 DNA에 6.7배 많이 결합하였으나 RNA에는 오히려 대조군의 15.9% 정도로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췌장의 단백질에는 2.0배, RNA의 경우 1.7배 정도 각각 더 결합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vitamin A 전처리군에서 간 단백질의 adduct는 35%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나 뇌 DNA에서 는 유의성 있게 9.5배 증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methylnitrosamine(DMN) has been shown to induce tumors of the liver, kidney, esophagus and lung. Furthermore low levels of DMN (0.1~1 ppb) have been detected in normal human blood as well as ur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xtent of...
Dimethylnitrosamine(DMN) has been shown to induce tumors of the liver, kidney, esophagus and lung. Furthermore low levels of DMN (0.1~1 ppb) have been detected in normal human blood as well as ur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xtent of the covalent binding of DMN to DNA, RNA and protein in ethanol- and vitamin A- pretreated mouse. Ethanol or vitamin A was administered for 3 weeks and $^{14}C$-labeled DMN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hen DNA, RNA and protein were isolated from liver, brain and pancreas and used for determination of radioactivity. DMN was bound selectively to liver DNA rather than brain or pancreas DNA. DNA damage in liver was 1.4 and 1.7 times greater than protein and RNA damage, respectively. Ethanol pretreatment and vitamin A pretreatment increased DNA damage in brain significantly upto 6.7 and 9.5 times, respec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Effect of Diethylnitrosamine and Diethanolnitrosamine on Serum Lactate Dehydrogenase in Rats
A Computer Program to Calculate Total Wedge Angle of Curved DNA
A DNA Bending at Early Region of Phage T7 Gene 10 Analyzed by Wedge Angles
Lactoperoxidase에 의한 페놀 유도체의 요오드화 촉매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