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의 특성과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황처리 토양에서 재배한 열무 YR-A와 유황처리 후 복토를 덮어 재배한 열무 YR-B와 이 열무로 김치를 담근 김치 A와 김치 B의 pH 및 산도와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

      유황처리 토양에서 재배한 열무 YR-A와 유황처리 후 복토를 덮어 재배한 열무 YR-B와 이 열무로 김치를 담근 김치 A와 김치 B의 pH 및 산도와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YR-A로 담근 열무김치 A와 YR-B로 담근 김치 B는 4~5주일째에 적숙기의 pH에 도달하였으며, 이 때 산도는 0.88~1.20%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열무김치 A와 B는 발효가 더욱 진행되어 6~8주일째가 되어도 pH는 4.0이하로 감소하지 않고 저장성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황처리한 김치 A와 다시 복토를 한 김치 B는 일반 토양에서 재배한 대조군 김치에 비해 다소 빠른 시일에 적숙기에 도달하였다. 발효초기에는 김치 A가 대조군 김치보다 높은 Leuconostoc속 젖산균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Lactobacillus속 젖산균수는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효과의 경우, 유황처리 열무 YR-A 즙액과 YR-B 즙액은 일반토양에서 재배한 YR- Control 즙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76%의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YR-A와 YR-B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 김치, 김치 A와 김치 B의 각 즙액은 첨가 농도 10 μL/assay에서는 암세포 성장억제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첨가 농도 20 μL/assay에서는 약 74%의 AGS 위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이 결과는 열무의 즙액시료 YR-A와 YR-B에서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열무김치의 발효과정에서는 그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열무김치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에서도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열무 재배시 토양에의 유황처리방법은 열무김치의 발효과정 및 적숙기에서 시원한 맛을 증가시키고 신맛을 감소시켜 유황처리로 재배한 열무김치가 맛 부분에서 다소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유황처리한 열무 YR-A와 다시 복토를 한 열무 YR-B의 산도와 맛에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또 유황처리토양에서 재배된 열무와 이 열무로 담근 김치즙액의 AGS 암세포 성장 저지효과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유황을 첨가하여 재배한 열무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그 효과가 증진되었다. 이 결과에 의하여 유황을 첨가하여 재배한 열무의 암세포의 성장을 저지하는 활성성분의 증가가 예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유황처리 열무의 기능성 식품재료로서의 개발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ung radishes (YR, yeolmu in Korean) were cultivated in the soil with and without sulfur. YR-Control (without sulfur) was grown in the normal soil. YR were grown in the soil with 1,818 g/㎥ sulfur (YR-A) and 1,818 g/㎥ sulfur added lime mortar (YR-...

      Young radishes (YR, yeolmu in Korean) were cultivated in the soil with and without sulfur. YR-Control (without sulfur) was grown in the normal soil. YR were grown in the soil with 1,818 g/㎥ sulfur (YR-A) and 1,818 g/㎥ sulfur added lime mortar (YR-B) on it, respectively. Also, we prepared YR kimchis using YR-Control, YR-A and YR-B. The kimchis were fermented at 5℃ for 8 week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of the YR samples and kimchis were investigated. YR kimchis after 4~5 weeks at 5℃ showed higher acidity of 0.88~1.20% with pH 4.3~4.5 and the YR kimchis kept approximately pH 4.0 until 8 weeks. The kimchi A and B using YR-A and YR-B showed faster fermentation time, higher level of Leuconostoc sp. and lower level of Lactobacillus sp. during the fermentation, comparing to the control kimchi using YR-Control. Juices from YR-A and YR-B showed higher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than the juice from YR-Control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YR-A was similar to that of the YR-B. The kimchi A and B juices also exhibited higher inhibitory effects (74%) o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than that of the control kimchi (57%) a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20 μL/assay. Methanol extracts from the YR-kimchis also led to the similar results to the results of the juic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eparing of kimchi using differently cultivated YR especially in the soil with sulfur, which can help to synthesize sulfur-containing compounds, could increas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아, "유황시비처리가 열무의 Quinone Reductase 유도물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946-950, 2004

      2 공창숙, "문헌에 나타난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 제조 방법의 표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6-130, 2005

      3 Mheen TI,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oducts in Korea" 9 : 253-261, 1981

      4 Gentile, JM, "The metabolic activation of 4-nitro-o-phenylenediamine by chlorophyll containing plant extra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250 : 79-86, 1991

      5 Lee, MK,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25 : 754-760, 1996

      6 Faukner K, "Selective increase of the potential anticarcinogen 4-methylsulphinylbutyl glucosinolate in broccoli" 19 : 605-609, 1998

      7 Kim, MR, "Research Bulletin of Kimchi Science and Technology 8th" Pusan National University 117-118, 1998

      8 Endo, Y, "Prooxidant activitie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on the phot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61 : 781-784, 1984

      9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60-, 1990

      10 Conaway CC, "Isothiocyanates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their biological activities and metabolism in rodents and humans" 3 : 233-255, 2002

      1 김경아, "유황시비처리가 열무의 Quinone Reductase 유도물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946-950, 2004

      2 공창숙, "문헌에 나타난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 제조 방법의 표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6-130, 2005

      3 Mheen TI,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oducts in Korea" 9 : 253-261, 1981

      4 Gentile, JM, "The metabolic activation of 4-nitro-o-phenylenediamine by chlorophyll containing plant extra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250 : 79-86, 1991

      5 Lee, MK,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25 : 754-760, 1996

      6 Faukner K, "Selective increase of the potential anticarcinogen 4-methylsulphinylbutyl glucosinolate in broccoli" 19 : 605-609, 1998

      7 Kim, MR, "Research Bulletin of Kimchi Science and Technology 8th" Pusan National University 117-118, 1998

      8 Endo, Y, "Prooxidant activitie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on the phot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61 : 781-784, 1984

      9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60-, 1990

      10 Conaway CC, "Isothiocyanates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their biological activities and metabolism in rodents and humans" 3 : 233-255, 2002

      11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Food composition table 5th" 1996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Food and Nutrient Databases and Dietary Guidance 5th" 1989

      13 Choi SM,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mistletoe added kimchi" 8 : 98-106, 2003

      14 Tan YA, "Crude palm oil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 75 : 281-288, 1997

      15 Jeffery, EH, "Cruciferous vegetables and cancer prevention. In Handbook of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69-191, 2001

      16 Agricultural R & D Promotion Center, "Commercializa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functional young radish kimchi, 1st Annual Report" 2004

      17 Park JG, "Characterization of cell lines established from human gastric carcinoma" 50 : 2773-2780, 1990

      18 Kim, GE, "Chang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rivative content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leaf mustard kimchi" 27 : 852-857, 1998

      19 Elizabeth KL, "Cell death in the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T29 in response to glucosinolate metabolites" 81 : 959-961, 2001

      20 Alegria BC, "Cancer-preventive foods and ingredients" 46 : 65-68, 1992

      21 Fahey JW, "Broccoli sprouts: an exceptionally rich source of inducers of enzymes that protect against chemical carcinogens" 94 : 1036-1037, 1997

      22 Endo, Y., "Antioxidant effects of chlorophyll and pheophytin on the autoxidation of oil in the dark, II.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chlorophyll effects" 62 : 1387-1390, 1985

      23 Endo Y, "Antioxidant effects of chlorophyll and pheophytin on the autoxidation of oil in the dark, I.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s" 62 : 1375-1378,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