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빅데이터 융합분석을 통한 아동학대 감소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Child Abuse Reduction Plan through the Big Data Convergenc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8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인천의 어린이집 사건, 원영이 사건 등 아동학대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국내만의 문제도 아니다. 국가 통계 데이...

      최근 인천의 어린이집 사건, 원영이 사건 등 아동학대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국내만의 문제도 아니다. 국가 통계 데이터 포털에 의하면, 19세 이하의 인구는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신고 이후의 상담건수는 큰 변동 없이 일정한 수준이다. 아동학대 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해 관련 연구와 대책에도 불구하고 더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동학대 감소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 학대 행위자의 특성, 아동 특성이 아동학대의 영향, 근로형태가 아동학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육 및 경제적 지원 대책 등 아동학대 감소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problem of child abuses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s data portal, the population under 19 years old is shrinking trend, but the number of child abuse is increasing day ever. However, the number of counse...

      Recently the problem of child abuses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s data portal, the population under 19 years old is shrinking trend, but the number of child abuse is increasing day ever. However, the number of counseling after calling is a constant level without large fluctuations. Due to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child abuse is even worse despite the research and countermeasures. This study designed a study model on the child abuse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and suggested plans for reducing child abuse through the big data analytics. When we see a result of test of the hypothesis, abuse actor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employment type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 abuse. Based on such analysis, this research has suggested ways to reduce child abuse, including educational and economic support meas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미희, "한국과 일본의 아동학대 예방관련 법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68) : 359-383, 2015

      2 김근원, "지하철 혼잡도 개선방안에 관한 빅데이터융합 기반의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5-42, 2015

      3 노규성,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행정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89-97, 2014

      4 노규성, "빅데이터 직무능력 참조모형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5-63, 2015

      5 고상백,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6 (16): 103-113, 2004

      6 Miryeong Jang, "The types of child abus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7 Hanbi Park, "The State of Children's Human Rights and Problems related with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8 Changgu Kang,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 Abuse and Its Improving Measures" Dankook University 2003

      9 Deokpyo Hong, "Study on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Kyunghee University 2003

      10 Sunok Kang, "Study on factor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Chung-ang University 2002

      1 오미희, "한국과 일본의 아동학대 예방관련 법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68) : 359-383, 2015

      2 김근원, "지하철 혼잡도 개선방안에 관한 빅데이터융합 기반의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5-42, 2015

      3 노규성,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행정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89-97, 2014

      4 노규성, "빅데이터 직무능력 참조모형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5-63, 2015

      5 고상백,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6 (16): 103-113, 2004

      6 Miryeong Jang, "The types of child abus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7 Hanbi Park, "The State of Children's Human Rights and Problems related with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8 Changgu Kang,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 Abuse and Its Improving Measures" Dankook University 2003

      9 Deokpyo Hong, "Study on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Kyunghee University 2003

      10 Sunok Kang, "Study on factor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Chung-ang University 2002

      11 Jeonhui Hong, "Realities of Child Abuse and the Counter Measures" Myong-ji University 2002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hancement of Child Abuse Prevention·Protection System"

      13 Sukin Park, "Educational alternatives on the causes and precautions of child abus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7

      14 Min Hyuk Yang, "An Awareness Identification and Preference Analysis for Domestic University Using SNS Data" 1 (1): 1-13, 2014

      15 Sehui Park, "About improvement program of child abuse preventive policy research" Hoseo University 2008

      16 Seonhyang Lee, "A study on improvement of child abuse prevention system" Hanshin University 2015

      17 Yeonghui Moon,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the Protection Measures of the Abused Child" Dongguk University 2011

      18 Munsang Choi, "A Study on Factors of Child Abuse : Focused on the Cases of Child Abuse in Korea 2003-2004" Kwangwoon University 2004

      19 Jinseok Oh,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Child Abuse and Improvement Schemes in Korea" Hansung University 2011

      20 Sangju Park,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Child Abuse and Improvement Schemes" Chung-ang University 2005

      21 Central Suport Center for Childcare, "2015 The National Child Abuse Report" 2016

      22 Seonhui Joo, "(The) study on the ideas and recommendations to prevent child abuse" Kyunghee University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