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평양랭면, 바게트, 보르쉬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음식 종목의 특징과 시사점 = Pyongyang Raengmyon, Baguette Bread, Borscht-Pyongyang Naengmyeon, Baguette Bread, Borscht-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Foodways inscribed in th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4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채택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협약(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은 인류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협약은 문화 다양성 및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며,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상호 이해를 장려한다.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국제협약을 이행하기 위해 매년 정부간위원회를 개최한다. 이때 무형유산 보호에 대한 여러 가지 이슈를 다루며, 그 일환으로 긴급보호목록(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모범사례(Register of Good Safeguarding Practices),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을 선정한다. 2010년 프랑스와 멕시코의 전통음식이 등재된 이후 음식문화유산이 지속적으로 등재되었는데, 2022년 모로코에서 개최된 제17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는 이례적으로 음식문화유산이 상당수 등재되었다. 10개국에서 제출한 총 9건(아제르바이잔, 튀르키예의 공동 등재)의 음식문화유산이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및 긴급보호목록으로 선정되었다. 본고는 2022년 등재된 음식문화유산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음식문화의 의미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본다.
      번역하기

      2003년 채택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협약(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은 인류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

      2003년 채택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협약(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은 인류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협약은 문화 다양성 및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며,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상호 이해를 장려한다.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국제협약을 이행하기 위해 매년 정부간위원회를 개최한다. 이때 무형유산 보호에 대한 여러 가지 이슈를 다루며, 그 일환으로 긴급보호목록(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모범사례(Register of Good Safeguarding Practices),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을 선정한다. 2010년 프랑스와 멕시코의 전통음식이 등재된 이후 음식문화유산이 지속적으로 등재되었는데, 2022년 모로코에서 개최된 제17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는 이례적으로 음식문화유산이 상당수 등재되었다. 10개국에서 제출한 총 9건(아제르바이잔, 튀르키예의 공동 등재)의 음식문화유산이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및 긴급보호목록으로 선정되었다. 본고는 2022년 등재된 음식문화유산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음식문화의 의미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미, "한식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 추진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5

      2 김은희 ; 이광옥 ; 이웅규,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41-74, 2012

      3 함한희, "진관사 사찰음식문화의 무형문화재적 가치" 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진관사산사음식연구소 2020

      4 김지영, "일본의 新문화 정책에 대한 고찰 -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1 : 1-20, 2017

      5 "인류무형유산 유네스코 홈페이지"

      6 정성미, "음식 유산의 보호와 기록화 방향 연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의 비판적 수용-" 무형유산학회 7 (7): 137-165, 2022

      7 함한희,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에 대한 논평" 무형유산학회 2 (2): 2016

      8 마르코 로마뇰리, "유네스코에서 미식 유산 요소: 새로운 유산 범주에 대한 문제, 성찰 및 해석" 국립민속박물관 14 (14): 135-146, 2019

      9 이선경, "유네스코, 문화 그리고 음식" 한국식품연구원 4 (4): 2011

      10 오세미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씨름’, 남북한 공동 등재 이후 과제" 무형유산학회 6 (6): 99-122, 2021

      1 박상미, "한식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 추진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5

      2 김은희 ; 이광옥 ; 이웅규,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41-74, 2012

      3 함한희, "진관사 사찰음식문화의 무형문화재적 가치" 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진관사산사음식연구소 2020

      4 김지영, "일본의 新문화 정책에 대한 고찰 -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1 : 1-20, 2017

      5 "인류무형유산 유네스코 홈페이지"

      6 정성미, "음식 유산의 보호와 기록화 방향 연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의 비판적 수용-" 무형유산학회 7 (7): 137-165, 2022

      7 함한희,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에 대한 논평" 무형유산학회 2 (2): 2016

      8 마르코 로마뇰리, "유네스코에서 미식 유산 요소: 새로운 유산 범주에 대한 문제, 성찰 및 해석" 국립민속박물관 14 (14): 135-146, 2019

      9 이선경, "유네스코, 문화 그리고 음식" 한국식품연구원 4 (4): 2011

      10 오세미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씨름’, 남북한 공동 등재 이후 과제" 무형유산학회 6 (6): 99-122, 2021

      11 김현정,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관리와 활용 현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김장문화와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 비교문화연구소 50 : 197-224, 2018

      12 김형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기지시줄다리기의 전개와 향방-문화재에서 문화로의 의미 확장 측면에서-" 국립무형유산원 (3) : 45-67, 2017

      13 임돈희 ; 로저L자넬리,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 유산제도와 그 의미" 비교민속학회 (26) : 499-522, 2004

      14 박상미,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과 무형문화유산의 공동체" 무형유산학회 2016

      15 오세미나, "유네스코 등재를 통해서 본 한국의 음식문화유산 보호 방향성 모색 : 정읍 송죽마을 모시떡, 진관사 사찰음식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유산학회 2022

      16 함한희, "유네스코 등재 이후 제주 해녀공동체의 도전과 과제 -‘유산화(heritization)’ 과정을 중심으로-" 무형유산학회 2 (2): 2017

      17 이경엽,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인식과 계승 방향" 남도민속학회 (29) : 249-284, 2014

      18 "뉴욕타임즈 홈페이지"

      19 함한희, "공동체를 외면한 무형문화재법" 무형유산학회 2015

      20 김성희, "“와쇼쿠(和食)”의 탄생-와쇼쿠가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기까지-"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99-217, 2017

      21 김현욱, "‘와쇼쿠(和食)’ 문화 계승을 위한 보호 조치와 대책" 한국일본근대학회 (69) : 265-282, 2020

      22 황경순,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민족문화연구소 (55) : 487-512, 2013

      23 김동현,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와 다국적유산의 과제" 국립무형유산원 (3) : 193-223, 2017

      24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해설집-무형문화유산의 이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