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Development of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for Proper Actual Cost Data in Small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Kim, Kang-Shik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29781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09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건축공학과 , 2009. 8
2009
한국어
540 판사항(4)
서울
vi, 105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현창택
참고문헌 : p.85-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Development of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for Proper Actual Cost Data in Small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Kim, Kang-Shik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Abstract
Development of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for Proper Actual Cost Data in Small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Kim, Kang-Shik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Advised by Professor Hyun, Chang-Taek
Since 2004, the government has diverted the cost estimate system into an actual cost basis in order to calculate the optimum construction cost by reflecting the circumstantial changes on the construction site timely. Currently, this is being applied to public construction work for over a billion won of actual cost data in estimation by contract unit cost.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projects for less than a billion won, including small-sized, technical, maintenance construction work and repair work, actual cost have been applied under chief's responsibility of public organization although it haven't been applied directly.
However, directly reflecting actual cost, originally an average unit cost for large-sized construction work, to a small building entails low application of discount rate for cost of materials, labor, etc. therefore, they brings on frequent cases of actual cost of work performed exceeding the contract sum and accordingly cause problems such as decreased revenues and bad effect on business operation, productivity, etc.
Therefore, in order to apply actual cost to small-sized construction work for less than a billion won, there should be a modification plan for unit cost that can reflect a project scale, etc. In an attempt to resolve the problem of unit cost application of actual cost to small-sized construction work for less than a billion won, this research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 statistical method, for unit cost modification and endeavored to develop a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via the process of calculating additional rate for modifying actual unit cost, etc.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proceeding proces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1) It confirmed the necessity for a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 and existing studies of actual construction cost system and grasping problems that can occur in its application to small-sized construction work.
2) A constant proportion added to actual cost of a particular work package selected for a standard unit cost by analyzing existing model-study cases related to estimating actual unit cost and types of its modification.
3)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nstruction-related actual workers to calculate the additional rate for unit cost modification of actual cost. As the result of selecting variables for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a collection of statistical data released, etc. using SPSS 12.0 (a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is), additional rate of 9.0% was calculated to modify unit cost and present a model for small-sized construction work.
Equation of unit cost modification for actual cost = actual (standard) unit cost × 109%
4)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sed model to three selected cases of construction work for examination, construction cost applied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appeared 3.26% higher on average than when designed amount of unit cost whether or not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applies to actual cost.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for proper actual construction cost in small-sized construction work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help increase the relevant productivity and proper gain, preventing the aggravation of business operation. Organizations to place an order are also expected to secure more realistic construction cost in arranging the budget.
With numerical limitations by variation scope of the input values in statistical analysis, however, the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need additional studies in this part as well as continued studies on developing highly reliable models for modifying actual unit cost via diverse statistical methods of analysis.
Key words : Small-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ctual Co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소규모 건축공사의 적정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 개발 김 강 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지도교수 : 현 창 택 정부는 2004년부터 건설현장의 여건변화를 적기에...
국 문 초 록
소규모 건축공사의 적정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 개발
김 강 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지도교수 : 현 창 택
정부는 2004년부터 건설현장의 여건변화를 적기에 반영하여 최적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원가산정체계를 실적공사비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계약단가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실적공사비는 현재 10억원 이상의 공공 건설공사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 전문공사, 보수 및 유지관리 공사 등의 사업에 대해서는 실적공사비를 바로 적용하지 못하고, 사업을 시행하는 공공기관장의 책임 하에 실적단가 적용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공사 위주의 평균단가인 실적공사비를 소규모 건축공사에 직접적으로 반영하게 되면 실행금액이 계약금액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영업이익의 감소로 기업운영 및 생산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과 같은 여러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축공사에 실적공사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규모 등을 반영할 수 있는 단가보정 방안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적공사비를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축공사에 적용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단가적용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단가보정 방법으로 통계적인 분석방법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적단가를 보정할 수 있는 가산율을 산출하는 등의 과정을 통하여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적공사비 제도에 대한 현황과 기존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소규모 건축공사에 적용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 기존 실적단가 산정관련 모델 연구사례와 실적단가 보정방식의 유형을 분석하여 특정 공종들의 실적단가를 표준단가로 선정한 후, 일정한 비율로 가산하는 방식으로 정하였다.
3)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가산율을 산정하기 위해 건설관련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 분석과 통계자료 등을 수집하여 단순회귀분석에 요구되는 변수들을 선정하고 SPSS ver. 12.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적공사비 단가보정의 가산율을 적용한 모델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 실적공사비 단가보정식 = 실적(표준)단가 × 109%
4) 제시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3개 건축공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실적단가에 보정모델을 적용한 단가와 적용하지 않은 단가의 설계금액 중에서 단가보정 모델을 적용한 건축공사가 평균 3.26%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소규모 건축공사의 적정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은 소규모 건축공사의 생산성과 적정한 이윤을 책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소규모 건설업체의 경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발주기관은 예산편성 시 현실성 있는 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규모 건축공사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은 통계분석 시 입력 값의 변동범위에 따른 수치상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다양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신뢰성이 높은 실적단가 보정방법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주요어 : 소규모 건축공사, 실적공사비, 단순회귀분석, 단가보정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