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극이란 용어는 근대 이후 이루어진 ‘아동’의 발견과 함께 성인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생겨났으며, 연극의 본질적인 측면과는 달리 공연의 대상이 아동인 연극을 지칭하기 때문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18975
2008
Korean
아동극 ; 아동 ; 방정환 ; 주평 ; 국립 아동극 전용극장 ; 아동극 비평가 ; children's theater ; children ; Jung-hwan Bang ; Ju-pyeong ; National children's theater ; critic of children' theater
81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1-94(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동극이란 용어는 근대 이후 이루어진 ‘아동’의 발견과 함께 성인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생겨났으며, 연극의 본질적인 측면과는 달리 공연의 대상이 아동인 연극을 지칭하기 때문에...
아동극이란 용어는 근대 이후 이루어진 ‘아동’의 발견과 함께 성인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생겨났으며, 연극의 본질적인 측면과는 달리 공연의 대상이 아동인 연극을 지칭하기 때문에 그 개념이 모호하다. 아동이란 대상이 정확히 누구이고, 아동의 무엇을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보다 세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아동극의 사적 전개에 대한 구분의 준거는 아동문학사에 대한 이 재철의 논의를 바탕으로 최초의 한국아동극을 집필한 방정환과 한국아동극계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주평을 기준점으로 삼았다. 그래서 1908년부터 1923년까지를 ‘아동극의 태동기’, 1923년 3월부터 1934년 7월까지 방정환의 <어린이>지를 중심으로 아동극이 발표되던 시기를 ‘아동극의 탄생기’, <어린이>지의 폐간 이후인 1930년대 후반부터 주평이 활동하기 이전까지인 1950년대를 ‘아동극의 성장기’, 1960년에서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주평이 활발하게 아동극계를 이끌던 시기를 ‘아동극의 개화기’, 그리고 비록 주평의 고백이 컸지만 그가 뿌린 씨앗이 발아하여 한국아동극계가 양적인 면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발전을 이룩한 ‘아동극의 중흥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아동문학이 시작된 지 100년이 되는 해에 성찰해 본 한국아동극의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는 먼저 한국아동극의 개념이 지역적인 범위에서 뿐만 아니라 놀이와 공연의 통합이란 측면에서도 검토되어야 하고, 국립아동극 전용극장의 건립과 국립 아동극 전문극단의 창단, 아동극 비평가의 양성, 아동극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modern the childrens theater of the term child for adults, with the discovery of the miscalculation occur in a relative concept, unlike the essential aspect of the theater, play for children so that the concept is ambiguous. Who exactly is t...
Since the modern the childrens theater of the term child for adults, with the discovery of the miscalculation occur in a relative concept, unlike the essential aspect of the theater, play for children so that the concept is ambiguous. Who exactly is the target children, and whether the child should be treated with what will be more detailed discussions.
The reference of historical process of Korean childrens theater is a theory of Jae-chul Lee o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 divided five terms from 1908 to 2008. That is from 1908 to 1923 ; Pre-born of childrens theater, from 1923, May to 1934, July Jeong-hwan Bang magazine <children> was published ; Born of childrens theater, From mid-1930s the magazine <children> shut down to 1950s ; Grow up of childrens theater, From 1960 to the mid-1970s ; bloom of childrens theater, and even though jupyeong emigrated to USA, his disciple worked hard, so they achieved not only quantity but also quality ; revive of childrens theater.
After I had reviewed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 theater , I suggested five assertions. First, the term of Korean childrens theater should be widen ; integration of play and performance, and a range of areas, second, building a National childrens theater, third, making a National theater group, forth, educating of critic of childrens theater, fifth, developing a educational programme of childrens theater.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