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장의 생활사를 연구하려면 노동과정과 작업조직, 보수체계와 같은 공식적인 영역만이 아니라 비공식적인 영역에서 형성되는 사회관계와 문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노동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202
-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작업장의 생활사를 연구하려면 노동과정과 작업조직, 보수체계와 같은 공식적인 영역만이 아니라 비공식적인 영역에서 형성되는 사회관계와 문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노동자...
작업장의 생활사를 연구하려면 노동과정과 작업조직, 보수체계와 같은 공식적인 영역만이 아니라 비공식적인 영역에서 형성되는 사회관계와 문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노동자의 생활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비공식적 영역에 대한 분석이 실질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 책에 수록된 9편의 연구 성과는 주로 작업장의 사회관계와 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산업화 초기의 노동자 계급 형성 과정을 재구성하고 있다.
여기에 수록된 연구의 성격은 미시적 작업장 내부에 대한 고찰과 거시적 사회 환경에 대한 고찰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의 주제는 김경희의 성별 분업, 강남식의 정체성, 박해광의 작업장 이데올로기, 장미경의 기업복지, 장상철의 공장 새마을운동 등이다. 후자의 주제를 살펴보면 권진관의 산업선교 실무자 연구, 한홍구의 병영국가와 군대 체험, 임규찬의 노동시 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거시적 환경에 대한 연구도 작업장의 노동세계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이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문, 이종구
1장, 여성노동자의 작업장 생활과 성별 분업: 1970년대 제조업을 중심으로, 김경희
2장, 70년대 여성노동자의 정체성 형성과 노동운동, 강남식
3장, 작업장 이데올로기와 노동자들의 상징적 저항, 박해광
4장, 1970년대 기업복지와 여성노동자의 대응, 장미경
5장, 작업장 통제전략으로서의 공장새마을운동: 성과와 한계, 장상철
6장, 1970년대의 산업선교 활동과 특징, 권진관
7장 병영국가 대한민국에서의 군대체험과 노동계급 형성, 한홍구
8장, 1970년대 ‘노동시’의 양상, 임규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