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3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이 지니는 횡단적 분석에 따른 결과의 상이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곡선모형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을 활용하여 8년간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과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부 모형을 통해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의 변화 궤적을 검증하였다.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반적으로 성장하지만 성장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둔화되는 볼록 포물선의 형태로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기초하여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건부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연령, 교육,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의 성별과 결혼상태 변화는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이 지니는 횡단적 분석에 따른 결과의 상이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이 지니는 횡단적 분석에 따른 결과의 상이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곡선모형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을 활용하여 8년간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과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부 모형을 통해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의 변화 궤적을 검증하였다.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반적으로 성장하지만 성장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둔화되는 볼록 포물선의 형태로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기초하여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건부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연령, 교육,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의 성별과 결혼상태 변화는 노인의 전반적 생활만족도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we utilized the 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KLIP) and examined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ver 8 years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over time.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change pattern was curvelinear indicating that the growth rate was decreasing little by little over time. Second,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us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revealed that age, education level, an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chang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we utilized the 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KLIP) and examined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ver 8 years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over time.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change pattern was curvelinear indicating that the growth rate was decreasing little by little over time. Second,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us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revealed that age, education level, an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chang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순, "취업노인의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0) : 149-174, 2008

      2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3 서희숙,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수면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 : 159-170, 2006

      4 정명숙, "우리나라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 시설노인과 일반노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145-170, 2007

      5 김미령, "여성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1) : 90-111, 2005

      6 김정석,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20 (20): 155-168, 2000

      7 이경욱, "서울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55-78, 2008

      8 정혜정,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20 (20): 49-70, 2000

      9 김정옥, "도예활동이 노인의 우울정서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95-110, 2007

      10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3-138, 2005

      1 박현순, "취업노인의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0) : 149-174, 2008

      2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3 서희숙,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수면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 : 159-170, 2006

      4 정명숙, "우리나라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 시설노인과 일반노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145-170, 2007

      5 김미령, "여성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1) : 90-111, 2005

      6 김정석,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20 (20): 155-168, 2000

      7 이경욱, "서울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55-78, 2008

      8 정혜정,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20 (20): 49-70, 2000

      9 김정옥, "도예활동이 노인의 우울정서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95-110, 2007

      10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3-138, 2005

      11 김춘택, "대구시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19): 21-33, 1999

      12 김성희, "단독가구 노인의 생활만족도 분석 -여주지역을 중심으로-" 9 : 145-165, 2002

      13 박광희,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 43-61, 2002

      14 윤순덕,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회 24 (24): 57-77, 2004

      15 강희숙, "농촌노인의 건강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보건사회학회 (21) : 53-66, 2007

      16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7-36, 2002

      17 이영숙,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12, 2009

      18 김정엽, "노인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37) : 111-130, 2007

      19 서경현,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113-131, 2003

      20 박민서,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3 (3): 287-303, 2003

      21 오승환,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119-147, 2006

      22 윤현숙,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및 중재효과" 한국노년학회 27 (27): 649-666, 2007

      23 손용진, "노인기의 종교변화에 따른 생활 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183-202, 2007

      24 정태연,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한국노년학회 25 (25): 55-71, 2005

      25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26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4 (24): 13-29, 2004

      27 이선미, "노년기 부부의 생활만족도와 우울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39-157, 2002

      28 윤현숙,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5-31, 2006

      29 김희주,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125-158, 2008

      30 Krause,N., "Welfare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in later life" 36 (36): 665-673, 1996

      31 Prince-Gibson, E, "Value Priorities and Gender" 61 (61): 49-67, 1998

      32 강선경, "The study of friendship network and psychologic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residents" 사회복지연구소 18 : 117-139, 2008

      33 Sugisawa, H., "The impacts of social ties in depressive symptoms in U.S and Japanese elderly" 58 (58): 785-804, 2000

      34 Ann,J.J., "The impact of martial status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women in later lif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6

      35 Mirowsky, J, "Socio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Life Expectancy" 63 (63): 133-151, 2000

      36 Krueger, P. M., "Socioeconomic Status and Age: The effect of income sources and portfolios on U.S. adult mortality" 18 (18): 465-482, 2003

      37 Rogers,R.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ong-Lived and Healthy Individuals" 21 (21): 33-58, 1995

      38 Allen,M.M.,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among the elderly: the nature and effect of reciprocal exchanges"

      39 Krause, N, "Social class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older adults" 35 (35): 498-508, 1994

      40 Levin, J. S, "Religious attend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exican Americans: a panel analysis of three-generations data" 36 (36): 454-463, 1996

      41 Netuveli, G, "Quality of life in older ages" 85 : 113-126, 2008

      42 McLeod, J. 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arly Life Course: variations by Socioeconomic Status, Gender, and Race/Ethnicity" 67 (67): 257-278, 2004

      43 Worobey, J. L, "Poverty and health: older minority women and the rise of the female-headed household" 31 (31): 370-, 1990

      44 Reicks, C,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control in rural elderlymen" 42 (42): 19-, 2002

      45 Jöreskog, K. G, "LISREL VI User’s Guide"

      46 utel, A. M, "Gender and Values" 60 : 448-, 1995

      47 Hsu,H., "Does disability affect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aging? physical function trajectories,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48 (48): 115-, 2008

      48 Schilling,O., "Development of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other view on the paradox" 76 : 241-271, 2006

      49 Bentler,P.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6, 1990

      50 Millman, M, "Another voice: feminist perspectives on social life and social science" Anchor Press 1975

      51 Duncan, T. E,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growth curve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Lawrence Erlbaum 1999

      52 Chen,C., "Aging and life satisfaction" 54 : 57-79, 2001

      53 Cho, J., "Age differences in community satisfaction in later life" 48 (48): 207-20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