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10년대 한국 블록버스터 영화의 정치학: 재난물과 영웅사극을 중심으로 = The Politics of 2010s’ Korean Blockbus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9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0년대의 한국의 블록버스터 장르들 중 재난물과 영웅사극물을 당대의 대중적 정치심리를 주된 콘텍스트로 삼아 비평한 것이다. 현재의 정치적 지형에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신보수주의지만, 그것의 심층을 가로지르면서 이를 부분적으로 훼손하는 반자유주의적 태도 또한 강력하게 존재한다. 즉 자유주의의 위기라고 할 만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데,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대응을 제시한다.

      국가적 재난의 위기와 그것의 해결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재난물은 재난이 과도한 경제적 자유의 허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것의 해결책으로서 구성원들의 자유주의적 자율성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적 재구성을 제시한다. 이는 <연가시>(2012), <타워>(2012)에서는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감기>(2013)에서는 다소 모호하게 나타난다.

      반면 영웅사극물은 강력한 영웅의 존재에 의탁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는 자유주의적 위기를 반자유주의적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태도의 은유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광해>(2012)에서는 다소 미약하게, <명량> (2014)에서는 매우 분명하게 나타난다. 한편, <관상>(2013)은 더 나아가서 백성과 완전히 유리된, 반자유주의적일 뿐만 아니라 반민주주의적이기도 한 권력을 다루고 있으며, 이 모든 것에 대한 급진적인 전복의 주장을 <군도>(2014)에서 발견할 수 있다.

      최근 충무로의 경향은 재난물에서 영웅사극물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당대의 반자유주의적인 대중적 심성의 대두와 같은 궤에 있다. <군도>가 <명량>과의 흥행대결에서 패배한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자유주의의 위기가 정치적인 것보다는 경제적인 것에서부터 실질적으로 촉발되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경향은 현재의 신자유주의적인 질서를 지양하고 구성원들의 자율성에 기초한 정치적 질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동력 또한 담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0년대의 한국의 블록버스터 장르들 중 재난물과 영웅사극물을 당대의 대중적 정치심리를 주된 콘텍스트로 삼아 비평한 것이다. 현재의 정치적 지형에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

      이 글은 2010년대의 한국의 블록버스터 장르들 중 재난물과 영웅사극물을 당대의 대중적 정치심리를 주된 콘텍스트로 삼아 비평한 것이다. 현재의 정치적 지형에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는 신보수주의지만, 그것의 심층을 가로지르면서 이를 부분적으로 훼손하는 반자유주의적 태도 또한 강력하게 존재한다. 즉 자유주의의 위기라고 할 만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데,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대응을 제시한다.

      국가적 재난의 위기와 그것의 해결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재난물은 재난이 과도한 경제적 자유의 허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것의 해결책으로서 구성원들의 자유주의적 자율성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적 재구성을 제시한다. 이는 <연가시>(2012), <타워>(2012)에서는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감기>(2013)에서는 다소 모호하게 나타난다.

      반면 영웅사극물은 강력한 영웅의 존재에 의탁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는 자유주의적 위기를 반자유주의적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태도의 은유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광해>(2012)에서는 다소 미약하게, <명량> (2014)에서는 매우 분명하게 나타난다. 한편, <관상>(2013)은 더 나아가서 백성과 완전히 유리된, 반자유주의적일 뿐만 아니라 반민주주의적이기도 한 권력을 다루고 있으며, 이 모든 것에 대한 급진적인 전복의 주장을 <군도>(2014)에서 발견할 수 있다.

      최근 충무로의 경향은 재난물에서 영웅사극물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당대의 반자유주의적인 대중적 심성의 대두와 같은 궤에 있다. <군도>가 <명량>과의 흥행대결에서 패배한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자유주의의 위기가 정치적인 것보다는 경제적인 것에서부터 실질적으로 촉발되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경향은 현재의 신자유주의적인 질서를 지양하고 구성원들의 자율성에 기초한 정치적 질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동력 또한 담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겨레신문"

      2 존 로크, "통치론" 까치 1996

      3 문지영, "지배와 저항: 한국 자유주의의 두 얼굴" 후마니타스 2011

      4 김홍우,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02

      5 샹탈 무페, "정치적인 것의 귀환" 후마니타스 2007

      6 카를 슈미트, "정치적인 것의 개념" 2002

      7 김항,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8 폴 슈마커, "정치사상의 이해 1,2" 오름 2005

      9 존 롤스, "정의론" 이학사 2003

      10 존 그레이, "자유주의" 이후 2007

      1 "한겨레신문"

      2 존 로크, "통치론" 까치 1996

      3 문지영, "지배와 저항: 한국 자유주의의 두 얼굴" 후마니타스 2011

      4 김홍우,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02

      5 샹탈 무페, "정치적인 것의 귀환" 후마니타스 2007

      6 카를 슈미트, "정치적인 것의 개념" 2002

      7 김항,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8 폴 슈마커, "정치사상의 이해 1,2" 오름 2005

      9 존 롤스, "정의론" 이학사 2003

      10 존 그레이, "자유주의" 이후 2007

      11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문예출판사 2009

      12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13 "신동아"

      14 조희연, "수동혁명적 민주화"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4) : 137-171, 2013

      15 크리스틴 톰슨, "세계영화사" HS미디어 2011

      16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서울대 출판부 1999

      17 "사람사는 세상"

      18 슬라보예 지젝,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언어 1995

      19 "비즈니스 포스트"

      20 고병권,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그린비출판사 2011

      21 카야노 토시히토, "국가란 무엇인가" 산눈 2009

      22 "경향신문"

      23 "MK뉴스"

      24 김종엽, "87년 체제론" 창비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후보1차)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Visual Art Society -> Association of Image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29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