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독일 지역학 텍스트로서 2021학년도 모의평가와 수능 독일어Ⅰ‘문화’ 문항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Krkwic, UCINET, Netdraw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의미연결망을 도출하고, 각 핵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27758
이경택 (서울대학교)
2021
Korean
독일 지역학 ; 대학수학능력시험 ; 의미연결망분석 ; 중심성 ; CONCOR ; Landeskunde ; CSAT ; Semantic Network Analysis ; CONCOR ; Centrality
KCI등재
학술저널
239-255(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독일 지역학 텍스트로서 2021학년도 모의평가와 수능 독일어Ⅰ‘문화’ 문항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Krkwic, UCINET, Netdraw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의미연결망을 도출하고, 각 핵심...
본 연구는 독일 지역학 텍스트로서 2021학년도 모의평가와 수능 독일어Ⅰ‘문화’ 문항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Krkwic, UCINET, Netdraw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의미연결망을 도출하고, 각 핵심어의 중심값을 산출하여 텍스트의 핵심어가 갖는 의미 및 구조를 분석한 다음, 마지막으로 CONCOR분석을 통해 핵심어가 이루는 무리를 파악하여 전체 텍스트가 갖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2021학년도 모의평가 및 수능 독일어Ⅰ ‘문화’ 문항들은 2015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나타난 문화적 내용의 기준에 따라 언어문화, 사회문화, 지역사정 및 생활문화영역에서 매우 고르게 출제되었고, 총 84문장, 794개의 단어를 대상으로 한 의미연결망에서는 ‘man-können’의 연결어구와 동사 ‘sein’이 나타내는 두 개의 큰 연결구조가 나타났다. 핵심어 분석에서는 ‘Deutschland’가 두 번째로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지만, 실제 중심값과 의미연결망에서의 역할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CONCOR분석에서는 총 4개의 무리 중. ‘역사’-‘언어/인식’-‘지리(독일, 오스트리아, 유럽연합)’의 무리는 그 핵심의미를 바탕으로 연결이 형성되었는데, 나머지 한 무리는 이질적인 의미를 지니는 동사들의 무리가 구성되었다. 이는, 2021학년도 모의평가 및 수능 독일어Ⅰ에 출제된 ‘문화’ 문항은 ‘지리’, ‘언어’, ‘역사’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동사들의 결합이 구조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가늠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German Education was applied to making questions of the 2021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or the first time. The GermanⅠ in the CSAT consist of five sections which are called ‘Pronunciation and Spell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German Education was applied to making questions of the 2021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or the first time. The GermanⅠ in the CSAT consist of five sections which are called ‘Pronunciation and Spelling’, ‘Vocabulary’, ‘Communication’, ‘Grammar’ and ‘Culture’. The section ‘Culture’ deals with the Language-Culture, Living—Culture, Landeskunde and Social Culture of the german-speaking countries and the questions were presented as Text-form. That’s why the Texts in the section ‘Culture’ play important role to figure out the German Landeskun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e’ questions in the CSAT of the GermanⅠas a German ‘Landeskunde’ Text, focusing on the semantic network.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shows that each component such as ‘sein’, ‘man-können’ has its own characteristic in the network. In the CONCOR Analysis, there are four clusters which are represented by ‘Histiory’, ‘Language’, ‘Geography’ and ‘Verb’.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이경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독일어 교육과정 <목표>진술 분석 - 독일어 1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7) : 27-63, 2020
3 김영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 -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377-387, 2016
4 이미영, "수능 독일어Ⅰ 문항 난이도 특성 분석- 2010~2014학년도 채점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2 (62): 55-75, 2015
5 강욱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의주요 인식 조사-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15-22, 2018
6 이경택, "블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독일어 교육과정 <목표> 진술의 분류 및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 2007/2009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의 독일어Ⅰ의 <목표>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5 (65): 57-85, 2016
7 이미영,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I -문화 문항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특성 분석-" 한국독일어교육학회 (46) : 5-30, 2020
8 전재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에 의한국내 STEAM 교육 연구물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5-84, 2018
9 이경택, "국내 독일 지역학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언어 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한국독일어문학회 28 (28): 121-140, 2020
10 성열관,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국제교육의 관점과 개념 분석 ― 영국 국가교육과정 지침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7) : 23-42, 2010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이경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독일어 교육과정 <목표>진술 분석 - 독일어 1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7) : 27-63, 2020
3 김영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 -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377-387, 2016
4 이미영, "수능 독일어Ⅰ 문항 난이도 특성 분석- 2010~2014학년도 채점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2 (62): 55-75, 2015
5 강욱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의주요 인식 조사-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15-22, 2018
6 이경택, "블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독일어 교육과정 <목표> 진술의 분류 및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 2007/2009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의 독일어Ⅰ의 <목표>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5 (65): 57-85, 2016
7 이미영,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I -문화 문항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특성 분석-" 한국독일어교육학회 (46) : 5-30, 2020
8 전재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에 의한국내 STEAM 교육 연구물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5-84, 2018
9 이경택, "국내 독일 지역학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언어 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한국독일어문학회 28 (28): 121-140, 2020
10 성열관,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국제교육의 관점과 개념 분석 ― 영국 국가교육과정 지침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7) : 23-42, 2010
11 "http://www.hanpark.net"
12 이경택, "2015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의 타당성 및 적합성 연구 - 독일어1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215-237, 2020
13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제 2외국어과 교육과정. -독일어1-"
14 이동민,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 5 (5): 1-11, 2016
유학 후 외국인의 국내 취업 전략 연구:시간제 불법 취업과 가족재생산
대학생의 국민정체성, 다문화수용성이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외국인주민의 행복도 및 정주환경 만족도 분석: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