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제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한국문화교육의 측면에서 설화는 훌륭한 제재인데, 설화 중에서도 한국인의 공동의 기억으로 남아있는 설화, 외국과 유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4912
2016
-
KCI등재
학술저널
113-143(31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설화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제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한국문화교육의 측면에서 설화는 훌륭한 제재인데, 설화 중에서도 한국인의 공동의 기억으로 남아있는 설화, 외국과 유사...
설화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제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한국문화교육의 측면에서 설화는 훌륭한 제재인데, 설화 중에서도 한국인의 공동의 기억으로 남아있는 설화, 외국과 유사한 광포설화가 적절하다. 또한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국문화가 잘 담겨있다고 판단한 설화들도 유용하다. 기존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교재들을 살펴본 결과 설화제재에 담긴 문화요소를 잘 살리지 못한 경우들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기존 교재에 수록된 <단군신화>, <흥부와 놀부>, <콩쥐팥쥐>의 내용과 학습활동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수ㆍ학습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설화작품의 세밀한 부분들을 살펴보면, 문화교육에 활용할 것들이 많다. 하지만 작품을 교재화하는 과정에서 교육가치가 있는 부분들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설화작품 내용에 대한 연구 성과를 충분히 검토해서 작품이 가진 가치를 최대한 교재에 반영하는 것이, 효율적인 한국문화 교육의 선행조건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lktales are excellent materials for cultural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y are often used as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culture for foreigners. In particular, the following types of folktales can be useful: those that are shared by Koreans and...
Folktales are excellent materials for cultural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y are often used as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culture for foreigners. In particular, the following types of folktales can be useful: those that are shared by Koreans and those that are similar to foreign folktales. Moreover, folktales that foreigners find to reflect Korean culture well are useful. A study of existing Korean textbooks for foreigners shows that in many cases, the textbooks do not reflect the cultural aspect of the folktales. This article looks at the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Myth of Dangun, The Story of Heungbu and Nolbu, and Kong-Jwi Pat-Jwi, which are included in existing textbooks, and considers what the ideal teaching methods might be. When we look at detailed descriptions of folktales, we can find many aspects that can be taught in cultural education. However, when folktales are made into teaching materials, the words and expressions are written in plain language and, as a result, many of the features of folktales that can be used for cultural education are left out. Therefore, in the creation of Korean textbooks, content studies of folktales should be reviewed so that the textbooks reflect the value of the literary works to provide effective Korean cultural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만, "화계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 한국국학진흥원 2002
2 동국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함께 배워요 한국어 1∼4"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3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4 오정미,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작품 선정에 관한 문제" 2008
5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한국어 초급∼고급"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3
6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어문화학회 1 (1): 2004
7 류종렬,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2011
8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9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10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1∼6"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0
1 박영만, "화계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 한국국학진흥원 2002
2 동국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함께 배워요 한국어 1∼4"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3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4 오정미,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작품 선정에 관한 문제" 2008
5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부, "한국어 초급∼고급"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3
6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어문화학회 1 (1): 2004
7 류종렬,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2011
8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9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10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1∼6"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0
11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1∼4" 문진미디어 2010
12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1~12" 평민사 1999
13 오윤선, "콩쥐팥쥐 이야기에 대한 고찰" 민족어문학회 42 : 2000
14 조선총독부, "조선동화집-우리나라 최초 전래동화집(1924년)의 번역˙연구" 집문당 2003
15 심의린, "조선동화대집" 민속원 2009
16 양민정, "전설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장자못전설>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27) : 23-43, 2009
17 양지선,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 「선녀와 나무꾼」을 이용한 표현교육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41-361, 2009
18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1∼6" 교보문고 2010
19 권혁래, "일제하 흥부전의 전래동화화 작업에 대한 고찰" 동화와번역연구소 (13) : 15-47, 2007
20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1∼4"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0
21 임경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론" 역락 2015
22 오윤선, "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387-420, 2015
2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한국어 활용연습 1~6"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0
24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한국어 1~6"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0
25 오윤선, "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콩쥐팥쥐 이야기> 고찰" 동화와번역연구소 (11) : 261-289, 2006
26 이성희, "설화를 통한 한국어문화교육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99
27 김동환, "서사 모티프의 문화 간 이야기화 양상과 한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5) : 189-212, 2009
28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서강한국어 Student's Book 1A∼5B"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29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서강한국어 1A∼5B"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30 성균관대학교 성균어학원, "배우기 쉬운 한국어 1∼6"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31 양민정, "민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2 (12): 307-332, 2009
32 정연숙, "문학텍스트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양상" 국어교과교육학회 21 : 2012
33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student book Ⅰ∼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7
34 서희정, "도깨비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85-206, 2005
35 오정미,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15
36 오윤선, "근대초기 한국설화 영역자들의 번역태도 연구-Allen, Griffis, Hulbert, Carpenter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3) : 205-231, 2012
37 원진숙,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소통, In 국어교육연구의 학문적 소통을통하여" 한국어교육학회 2015
38 권순긍, "고전소설의 동화적 변모 -<흥부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7) : 265-289, 2009
39 Griffis, William Elliot, "The Unmannerly Tiger and Other Korean Tales" Thomas Y. Crowell Company 1911
40 Metzger, Berta, "Tales told in Korea" Frederick A. Stokes 1932
41 Carpenter, Frances, "Tales of a Korean Grandmother" Doubleday & Company 1947
42 Hulbert, Homer B., "Omjee The Wizard-Korean Folk Stories" Milton Bradley Co 1925
43 Lazar, Gillian,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A guide for teachers and train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4 Allen, H. N., "Korean Tales" The Nickerbocker P 1889
45 Sohn, Ho-min, "Integrated Korean: advanced intermediate 2"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46 Ting, Nai-Tung, "Cinderella cycle in China and Indo-China" 1974
47 오윤선, "<단군신화(檀君神話)> 영역자(英譯者)의 시각(視角) 일고찰" 국제어문학회 (48) : 67-100, 2010
48 오윤선, "19세기말~20세기초 영문(英文) 한국설화의 자료적 가치 연구" 우리문학회 (41) : 145-179, 2014
49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00시간 한국어 1∼6"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50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달완성) 한국어 쓰기 중급 Ⅰ·Ⅱ"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학습자 주도적인 ‘비교’ 활동을 통한 고전문학교육의 새로운 길 찾기 -‘재미’ 찾기를 위한 대학 신입생 대상 수업의 사례 보고를 통해
‘이별(론)’의 텍스트 읽기 -‘재미ㆍ흥미ㆍ의미’의 상관적 시각에서
고소설 읽기 과정의 문제와 해석 주체-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4 | 2.362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