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古代 약사여래 도상의 성립과 전개 =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Iconography of Ancient Chinese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1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n the Chinese Bhaisajyaguru Buddha (the Medicine Buddha) statues have previously focused on murals and relief statues within regional village stone cave temp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verall trajectory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including the Buddha sculptures made from gilt-bronze and stone.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broadly from the fifth century,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o the first half of the 10th century, Five Dynasties period.
      In China,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began to be produced in the late fifth century.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were made with the same hand postures of Abhaya and Varada mudra. Later, from the Sui Dynasty to the Tang Dynasty, different types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were produced holding a medicine bowl and Khakkhara (a cane/stick). The medicine bowl appeared in the late sixth and early seventh centuries, whereas the Khakkhara was shown a little later from the early seventh century. In terms of posture,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holding possessions first appeared in the standing position, and then gradually transitioned to a seated position.
      The origin of the medicine bowl and Khakkhara of the Bhaisajyaguru Buddha statue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notion that Shakyamuni Buddha used an alms bowl and a cane. The alms bowl and Khakkhara represented ideas of strengthened spirituality and symbolism in China. For example, as seen in the Tuoluoni Zaji, an early Esoteric Buddhist scripture translated into Chinese in the sixth century, an alms bowl referred to a bowl containing medicine that treats people’s diseases and guides them to enlightenment, and a Khakkhara represented the Buddha’s active desire to save people, as a wand of mysterious magic power. As Bhaisajyaguru Buddha beliefs had become immensely popular since the Sui Dynasty, it seems that people tried to visually emphasize the ability of the Bhaisajyaguru Buddha, who could save people by using a diverse range of tools. This unique figure of Bhaisajyaguru Buddha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rather than through any single scripture.
      Chinese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are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combinations, such as the Three-Figure Statue with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as well as the Five-Figure Statue and Seven-Figure Statue, regardless of scriptural reference. In addition to thes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ontext of Seven Bhaisajyaguru Buddha Statuary,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discussed in research. The Seven Bhaisajyaguru Buddha Statue is a combination of seven Bhaisajyaguru Buddha in Yaksayurigwang Chilbulbonwon Gongdeokgyeong, translated by Yijing (635~713) in 707. In fact, in 834, the seated statue of Clay Seven Bhaisajyaguru Buddha was enshrined in the Dunhuang No. 365 Cave.
      This paper consider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ary in ancient China helps u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numerous regional Bhaisajyaguru Buddha traditions historically. This context is notable as the starting point and standard for research on the East Asian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which have undergone various transformations and localizations based on the time and region of their production.
      번역하기

      Studies on the Chinese Bhaisajyaguru Buddha (the Medicine Buddha) statues have previously focused on murals and relief statues within regional village stone cave temp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verall trajectory of Bhaisajyaguru Budd...

      Studies on the Chinese Bhaisajyaguru Buddha (the Medicine Buddha) statues have previously focused on murals and relief statues within regional village stone cave temp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verall trajectory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including the Buddha sculptures made from gilt-bronze and stone.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broadly from the fifth century,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o the first half of the 10th century, Five Dynasties period.
      In China,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began to be produced in the late fifth century.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were made with the same hand postures of Abhaya and Varada mudra. Later, from the Sui Dynasty to the Tang Dynasty, different types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were produced holding a medicine bowl and Khakkhara (a cane/stick). The medicine bowl appeared in the late sixth and early seventh centuries, whereas the Khakkhara was shown a little later from the early seventh century. In terms of posture,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holding possessions first appeared in the standing position, and then gradually transitioned to a seated position.
      The origin of the medicine bowl and Khakkhara of the Bhaisajyaguru Buddha statue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notion that Shakyamuni Buddha used an alms bowl and a cane. The alms bowl and Khakkhara represented ideas of strengthened spirituality and symbolism in China. For example, as seen in the Tuoluoni Zaji, an early Esoteric Buddhist scripture translated into Chinese in the sixth century, an alms bowl referred to a bowl containing medicine that treats people’s diseases and guides them to enlightenment, and a Khakkhara represented the Buddha’s active desire to save people, as a wand of mysterious magic power. As Bhaisajyaguru Buddha beliefs had become immensely popular since the Sui Dynasty, it seems that people tried to visually emphasize the ability of the Bhaisajyaguru Buddha, who could save people by using a diverse range of tools. This unique figure of Bhaisajyaguru Buddha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rather than through any single scripture.
      Chinese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are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combinations, such as the Three-Figure Statue with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as well as the Five-Figure Statue and Seven-Figure Statue, regardless of scriptural reference. In addition to thes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ontext of Seven Bhaisajyaguru Buddha Statuary,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discussed in research. The Seven Bhaisajyaguru Buddha Statue is a combination of seven Bhaisajyaguru Buddha in Yaksayurigwang Chilbulbonwon Gongdeokgyeong, translated by Yijing (635~713) in 707. In fact, in 834, the seated statue of Clay Seven Bhaisajyaguru Buddha was enshrined in the Dunhuang No. 365 Cave.
      This paper consider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Bhaisajyaguru Buddha statuary in ancient China helps u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numerous regional Bhaisajyaguru Buddha traditions historically. This context is notable as the starting point and standard for research on the East Asian Bhaisajyaguru Buddha statues, which have undergone various transformations and localizations based on the time and region of their 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중국 약사여래상 연구는 주로 지역별 석굴사원의 벽화나 부조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금동불과 석불 등의 조각을 포함한 큰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남북조시대 5세기경부터 唐末五代인 10세기 중엽까지 약사여래 도상의 성립과 전개 및 그 특징을 거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중국에서 약사여래상은 대략 5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5~6세기에는 약사여래상이 다른 여래상들과 구별없이 시무외·여원인같은 通印의 자세로 만들어졌다. 이후 隋에서 唐代에는 손에 藥器와 錫杖을 든 차별화된 약사여래 도상이 제작되었다. 그중 약기는 6세기 말~7세기 초에 등장했고, 석장은 조금 뒤인 당 초기인 7세기 전기부터 확인된다. 자세 면에서 약사여래상의 지물은 立像에서 먼저 출현한 후 점차 坐像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표현되었다.
      약사여래상이 드는 약기와 석장의 기원은 석가모니불이 발우와 지팡이를 사용했다는 옛 傳承에서 찾을 수 있다. 발우와 석장은 중국에서 영험성과 상징성이 강화되는 추세였다. 예컨대, 6세기에 한역된 초기밀교 경전인 『陀羅尼雜集』에서 보듯, 발우는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法藥을 담는 그릇을 뜻하며, 석장은 신비로운 法의 지팡이로서 중생을 구하려는 여래의 적극적 태도를 나타낸다. 수대 이후 약사신앙이 크게 유행하면서 이러한 종교적 효험이 기대되는 法具들을 약사여래상의 지물로 표현함으로써 약사여래의 중생구제 능력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약사여래 특유의 도상은 어떤 하나의 경전보다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성립됐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약사여래상은 관음, 지장보살을 거느린 삼존상을 비롯하여 오존상 및 칠존상으로도 제작되는 등 경전의 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조합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고는 그간 잘 다루어지지 않은 칠불약사 도상도 살펴보았다. 칠불약사상은 707년 義淨(635~713)이 한역한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칠불약사경)』에 나오는 서로 다른 7존의 여래들을 함께 만든 것이다. 실제로 834년 작 돈황 제365호굴(七佛堂)에 소조칠불약사좌상이 봉안된 바 있다.
      중국 古代 약사여래 도상의 성립과 전개에 대한 고찰은 그 이후에 조성된 수많은 약사여래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용과 토착화가 이루어졌던 동아시아 약사여래상 연구의 출발이자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번역하기

      그동안 중국 약사여래상 연구는 주로 지역별 석굴사원의 벽화나 부조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금동불과 석불 등의 조각을 포함한 큰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

      그동안 중국 약사여래상 연구는 주로 지역별 석굴사원의 벽화나 부조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금동불과 석불 등의 조각을 포함한 큰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남북조시대 5세기경부터 唐末五代인 10세기 중엽까지 약사여래 도상의 성립과 전개 및 그 특징을 거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중국에서 약사여래상은 대략 5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5~6세기에는 약사여래상이 다른 여래상들과 구별없이 시무외·여원인같은 通印의 자세로 만들어졌다. 이후 隋에서 唐代에는 손에 藥器와 錫杖을 든 차별화된 약사여래 도상이 제작되었다. 그중 약기는 6세기 말~7세기 초에 등장했고, 석장은 조금 뒤인 당 초기인 7세기 전기부터 확인된다. 자세 면에서 약사여래상의 지물은 立像에서 먼저 출현한 후 점차 坐像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표현되었다.
      약사여래상이 드는 약기와 석장의 기원은 석가모니불이 발우와 지팡이를 사용했다는 옛 傳承에서 찾을 수 있다. 발우와 석장은 중국에서 영험성과 상징성이 강화되는 추세였다. 예컨대, 6세기에 한역된 초기밀교 경전인 『陀羅尼雜集』에서 보듯, 발우는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法藥을 담는 그릇을 뜻하며, 석장은 신비로운 法의 지팡이로서 중생을 구하려는 여래의 적극적 태도를 나타낸다. 수대 이후 약사신앙이 크게 유행하면서 이러한 종교적 효험이 기대되는 法具들을 약사여래상의 지물로 표현함으로써 약사여래의 중생구제 능력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약사여래 특유의 도상은 어떤 하나의 경전보다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성립됐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약사여래상은 관음, 지장보살을 거느린 삼존상을 비롯하여 오존상 및 칠존상으로도 제작되는 등 경전의 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조합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고는 그간 잘 다루어지지 않은 칠불약사 도상도 살펴보았다. 칠불약사상은 707년 義淨(635~713)이 한역한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칠불약사경)』에 나오는 서로 다른 7존의 여래들을 함께 만든 것이다. 실제로 834년 작 돈황 제365호굴(七佛堂)에 소조칠불약사좌상이 봉안된 바 있다.
      중국 古代 약사여래 도상의 성립과 전개에 대한 고찰은 그 이후에 조성된 수많은 약사여래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용과 토착화가 이루어졌던 동아시아 약사여래상 연구의 출발이자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劉景龍, "龍門石窟總錄, 文字著錄/圖版/實測圖 1~12"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9

      2 龍門石窟硏究所, "龍門石窟彫刻萃編" 文物出版社 1995

      3 미즈노 세이이치, "龍門石窟の硏究" 座右寶刊行會 1941

      4 王長啓, "醴泉寺遺址出土佛敎造像" 陝西省考古硏究所 (2) : 3-16, 2000

      5 冉万里, "略論長安地區佛敎造像中所見的佛敎用具" 西北大學文化遺産與考古學硏究中心 3 : 226-263, 2008

      6 이나기 요시카즈, "鹿島美術硏究" 鹿島美術財團 209-216, 1997

      7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71-106, 2003

      8 이주형, "발우(鉢盂)의 유전(流轉) ― 인도 불교미술의 불발(佛鉢) 경배 ―" 중앙아시아학회 12 : 97-128, 2007

      9 안귀숙, "靜齋 金理那 敎授 정년퇴임기념 미술사논문집" 예경 243-275, 2007

      10 미즈노 세이이치, "雲岡石窟, 第八卷·第九卷 第十一洞および第十二洞 本文"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53

      1 劉景龍, "龍門石窟總錄, 文字著錄/圖版/實測圖 1~12"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9

      2 龍門石窟硏究所, "龍門石窟彫刻萃編" 文物出版社 1995

      3 미즈노 세이이치, "龍門石窟の硏究" 座右寶刊行會 1941

      4 王長啓, "醴泉寺遺址出土佛敎造像" 陝西省考古硏究所 (2) : 3-16, 2000

      5 冉万里, "略論長安地區佛敎造像中所見的佛敎用具" 西北大學文化遺産與考古學硏究中心 3 : 226-263, 2008

      6 이나기 요시카즈, "鹿島美術硏究" 鹿島美術財團 209-216, 1997

      7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71-106, 2003

      8 이주형, "발우(鉢盂)의 유전(流轉) ― 인도 불교미술의 불발(佛鉢) 경배 ―" 중앙아시아학회 12 : 97-128, 2007

      9 안귀숙, "靜齋 金理那 敎授 정년퇴임기념 미술사논문집" 예경 243-275, 2007

      10 미즈노 세이이치, "雲岡石窟, 第八卷·第九卷 第十一洞および第十二洞 本文"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53

      11 "陀羅尼雜集(梁 502~557년)(T.21, no.1336)"

      12 白文, "關中唐代藥師佛造像圖像硏究" 陝西師範大學學報編輯部 39 (39): 148-155, 2010

      13 智昇, "開元釋敎錄(唐 730년)(T.55, no.2154)"

      14 黃文煥, "跋敦煌365窟藏文題記" 國家文物局 (7) : 47-49, 1980

      15 圓照, "貞元新定釋敎目錄(唐 800년)(T.55, no.2157)"

      16 黃金順, "觀音·地藏菩薩像의 來世救濟 信仰" 미술사연구회 (19) : 59-86, 2005

      17 아라이 케이치, "藥師經: 一佛經と七佛經(續)"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7 (17): 658-663, 1969

      18 아라이 케이치, "藥師經: 一佛經と七佛經"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6 (16): 124-125, 1967

      19 義淨, "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唐 707년)(T.14, no.451)"

      20 不空, "藥師如來念誦儀軌(唐 8세기 중엽)(T.19, no.924a)"

      21 達摩笈多, "藥師如來本願經(隋 615년)(T.14, no.449)"

      22 大和文華館, "特別展 中國の金銅佛"

      23 "灌頂七萬二千神王護比丘呪經(灌頂經)(T.21, no.1331)"

      24 何匯, "淺談巴中石窟觀音菩薩造像" 河南博物院 (3) : 80-100, 2010

      25 法門寺博物館, "法門寺文物圖飾" 文物出版社 2009

      26 林南壽, "法輪寺の創立と木雕像の制作時期について" 南都佛敎硏究會 72 : 52-74, 1995

      27 朱岩石 ; 何利群 ; 沈麗華 ; 郭濟橋 ; 蘇鉉淑, "河北省 鄴城유지의 趙彭城 북조 사찰과 北吳莊 불상 매장지의 고고학적 조사와 발굴" 불교미술사학회 19 : 171-201, 2015

      28 王惠民, "日本白鶴美術館藏兩件敦煌絹畵" 敦煌硏究院 (2) : 176-178, 1999

      29 도 겐고, "敦煌莫高窟第二二○窟試論" 佛敎藝術學會 133 : 11-33, 1980

      30 하마다 타마미, "敦煌莫高窟第一四八窟の藥師經變について" 早稻田大學奈良美術硏究所 12 : 115-133, 2012

      31 敦煌硏究院, "敦煌莫高窟供養人題記" 文物出版社 1986

      32 敦煌硏究院, "敦煌石窟全集 6 彌勒經畵卷 附 藥師經變" 商務印書館 2002

      33 마쓰모토 에이이치, "敦煌畵の硏究" 東方文化學院東京硏究所 1937

      34 王惠民, "敦煌淨土圖像硏究" 國立中山大學 2000

      35 胡同慶, "敦煌壁畵中的仗具-錫杖考" 敦煌硏究院 (4) : 36-47, 2007

      36 羅華慶, "敦煌壁畵中的《東方藥師淨土變》" 敦煌硏究院 (2) : 5-19, 1989

      37 가쓰키 겐이치로, "敦煌の藥師經變相に描かれた淨土景觀の圖像に關する一考察" 東京國立博物館 50 : 111-273, 2015

      38 "得道梯橙錫杖經(東晉 317~420년)(T.17, no.785)"

      39 常靑, "彬縣大佛寺造像藝術" 現代出版社 1998

      40 廣元皇澤寺博物館, "廣元石窟" 巴蜀書社 2002

      41 아사이 카즈하루, "平安前期地藏菩薩像の硏究" 東京國立博物館 22 (22): 5-124, 1986

      42 姚崇新, "巴蜀佛敎石窟造像初步硏究" 中華書局 2011

      43 四川省文物管理局, "巴中石窟內容總錄" 巴蜀書社 2006

      44 巴中市文管所, "巴中石窟" 巴蜀書社 2003

      45 金榮華, "大英博物館藏敦煌藥師佛淨土變年代之考索" 大陸學會社 84 (84): 57-60, 1992

      46 大津市歷史博物館, "大津の都と白鳳寺院"

      47 安世高, "大比丘三千威儀經(後漢 148~170년)(T.24, no.1470)"

      48 마쓰바라 사부로, "增補 中國佛敎彫刻史硏究" 吉川弘文館 1966

      49 四川省文物考古硏究院, "四川茂縣点將臺唐代佛敎磨崖造像調査簡報" 國家文物局 (2) : 40-53, 2006

      50 胡文和, "四川磨崖造像中的《藥師變》和《藥師經變》" 陝西省文物局 (2) : 51-56, 1988

      51 于春, "四川夾江千佛巖磨崖造像初步硏究" 陝西省考古硏究所 (3) : 85-96, 2014

      52 金銀児, "四川地域佛敎彫刻に關する硏究: 唐代川北地域を中心に" 京都大學大學院 2011

      53 王長啓, "唐長安醴泉寺遺址出土的鎏金銅造像" 陝西省考古硏究所 (3) : 16-19, 2004

      54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西安唐城工作隊, "唐長安西明寺遺址發掘簡報" 中國社會科學院考古學硏究所 (1) : 45-55, 1990

      55 林玲愛, "古代 中國 佛敎幡의 樣式變遷考" 한국미술사학회 (189) : 3-30, 1990

      56 양은경, "南京 출토 南朝 金銅佛像의 특징과 주변 지역과의 관계" 동악미술사학회 (20) : 125-154, 2016

      57 金惠婉, "千寬宇先生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311-343, 1985

      58 노구치 케이야, "初期密敎經典としての「藥師經」" 日本密敎學會 44 : 39-58, 2012

      59 허형욱, "儀禮로 보는 藥師信仰의 내용과 성격" 불교미술사학회 32 : 7-46, 2021

      60 寧强, "佛經與圖像-敦煌第二二○窟北壁壁畵新解" 故宮博物院 15 (15): 75-98, 1998

      61 모치즈키 신코, "佛敎經典 成立의 硏究" 불교시대사 1995

      62 浙江省博物館, "佛影湛然: 西安臨潼唐代造像七寶" 2017

      63 黃休復, "中國美術論著叢刊" 人民美術出版社 2003

      64 敦煌硏究院, "中國石窟圖文志 圖錄篇" 敦煌文藝出版社 2001

      65 東京國立博物館, "中國國寶展" 朝日新聞社 2004

      66 나가이 신이치, "中國の藥師像について" 佛敎藝術學會 159 : 49-62, 1985

      67 김은아, "中國 唐代 藥師如來像에 대한 硏究 – 四川地域을 中心으로" 불교미술사학회 17 : 7-41, 2014

      68 傅楠梓, "中古時期的藥師信仰" 玄奘人文社會學院 宗敎學硏究所 2001

      69 堂燕妮, "中古時期敦煌地區的藥師佛信仰" 南京曉庄學院 (6) : 84-94, 2013

      70 Birnbaum, Raoul, "The Healing Buddha" Shambhala Publications 1979

      71 Ning, Qiang, "Ritual, Entertainment and Politics: Rethinking the Northern Wall of Dunhunag Cave 220" Oriental Art Magazine 42 (42): 39-51, 1996

      72 YEN, Chih-hung, "Bhaisajyaguru at Dunhuang" University of London 1997

      73 Ning, Qiang, "Art, Religion, and Politics in Medieval China: The Dunhuang Cave of the Zhai Family"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3 0.82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