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Work)에서의 플로우 경험과 여가욕구의 관계분석 =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at Work on Leisure Ne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5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focused on exploring the relation change between work and leisure in a switch to the post-modern societ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society like boundlessness, integration exist even in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 leisure or not, investigating an effect of flow, optimal experience, at work on leisure need. The result revealed that flow experience at work had a negative effect on leisure need. According to the result, it indirectly explains that flow experience at work countervailed against leisure need. It pro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need by the level of flow experience. Fin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flow experience, not in leisure need by job. These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the negative effect of flow experience at work on leisure need can be a supporting evidence that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 leisure has been changing from the standpoint of opposition and segmentation to integration.
      번역하기

      The study was focused on exploring the relation change between work and leisure in a switch to the post-modern societ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society like boundlessn...

      The study was focused on exploring the relation change between work and leisure in a switch to the post-modern societ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society like boundlessness, integration exist even in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 leisure or not, investigating an effect of flow, optimal experience, at work on leisure need. The result revealed that flow experience at work had a negative effect on leisure need. According to the result, it indirectly explains that flow experience at work countervailed against leisure need. It pro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need by the level of flow experience. Fin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flow experience, not in leisure need by job. These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the negative effect of flow experience at work on leisure need can be a supporting evidence that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 leisure has been changing from the standpoint of opposition and segmentation to integ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탈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일과 여가의 관계 변화에 대한 탐색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탈근대 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무경계성 및 통합성이 일과 여가의 관계에서도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에서의 최적 경험인 플로우 경험과 여가욕구와의 영향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일에서의 플로우의 경험은 여가욕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에서의 플로우 경험이 여가욕구를 상쇄시킨다고 간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일과 여가의 통합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플로우 경험의 수준에 따라 여가욕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업군별 플로우 경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여가욕구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일에서의 플로우 경험이 개인의 여가욕구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탈근대사회에서의 일과 여가의 관계가 분리, 대립적 관점이 아니라 통합적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탈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일과 여가의 관계 변화에 대한 탐색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탈근대 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무경계성 및 통합성이 일과 여가의 관계...

      본 연구는 탈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일과 여가의 관계 변화에 대한 탐색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탈근대 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무경계성 및 통합성이 일과 여가의 관계에서도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에서의 최적 경험인 플로우 경험과 여가욕구와의 영향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일에서의 플로우의 경험은 여가욕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에서의 플로우 경험이 여가욕구를 상쇄시킨다고 간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일과 여가의 통합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플로우 경험의 수준에 따라 여가욕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업군별 플로우 경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여가욕구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일에서의 플로우 경험이 개인의 여가욕구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탈근대사회에서의 일과 여가의 관계가 분리, 대립적 관점이 아니라 통합적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희, "현대산업사회의 형성과 여가" 34 (34): 43-77, 1995

      2 김홍일, "여가활동의 플로우 경험 구조분석" 경기대학교 2000

      3 고동우, "여가학의 이해" 세림출판 2007

      4 심윤종, "여가의 개념과 유형 및 여가이론" 34 (34): 15-40, 1995

      5 김민규, "여가에 관한 이론과 유형. '여가' 3장" 일신사 49-73, 2004

      6 강병서, "사회과학 통계분석" (주)데이타솔루션 2005

      7 조광익, "노동과 여가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양대 관광연구소 8 : 232-261, 1996

      8 정보통신연구원, "근대성과 탈근대성 그리고 사회변동. IT의 사회․문화적 영향연구: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04-08" 2004

      9 Snir, Raphael, "Work-Leisure Relations: Leisure Orientation and the Meaning of Work" 34 (34): 178-203, 2002

      10 Haworth, J. T., "Work, leisure and well-being. Work and Leisure" Routledge 168-183, 2004

      1 박승희, "현대산업사회의 형성과 여가" 34 (34): 43-77, 1995

      2 김홍일, "여가활동의 플로우 경험 구조분석" 경기대학교 2000

      3 고동우, "여가학의 이해" 세림출판 2007

      4 심윤종, "여가의 개념과 유형 및 여가이론" 34 (34): 15-40, 1995

      5 김민규, "여가에 관한 이론과 유형. '여가' 3장" 일신사 49-73, 2004

      6 강병서, "사회과학 통계분석" (주)데이타솔루션 2005

      7 조광익, "노동과 여가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양대 관광연구소 8 : 232-261, 1996

      8 정보통신연구원, "근대성과 탈근대성 그리고 사회변동. IT의 사회․문화적 영향연구: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04-08" 2004

      9 Snir, Raphael, "Work-Leisure Relations: Leisure Orientation and the Meaning of Work" 34 (34): 178-203, 2002

      10 Haworth, J. T., "Work, leisure and well-being. Work and Leisure" Routledge 168-183, 2004

      11 Friedman, Stewart. D., "Work and Life: The End of the Zero-Sum Game. (in) Harvard Business Review on Work and Life Bala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12 Parker, Stanley, "Work and Leisure Future. Work, Leisure and Well-being" Routledge 180-191, 1997

      13 Bryce, J., "Wellbeing and flow in sample of male and female office workers" Leisure Studies 21 : 249-263, 2002

      14 Malach-Pines, A., "Unconscious determinants of career choice and burnout: theoretical model and counseling strategy" 38 : 170-184, 2001

      15 Lewis, Suzan, "The integration of paid work and the rest of life. Is post-industrial work the new leisure" Leisure Studies 22 : 343-355, 2003

      16 Apgar IV, Mahlon, "The Alternative Workplace: Changing Where and How People Work. (in) Harvard Business Review on Work and Life Bala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17 Rojek, Chris, "Postmodern work and leisure. Work and Leisure" Routledge 51-66, 2004

      18 Fave, A. D.,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among teachers and physicians: Individual and bio-cultural implications" Leisure Studies 22 : 323-342, 2003

      19 Veal, A. J., "Looking back: perspectives on the leisure-work relationship. Work and Leisure" Routledge 109-120, 2004

      20 Kelly. J. R., "Leisure" Allyn and Bacon 1996

      21 Dart, Jon, "Home-based Work and Leisure Spaces: Settee or Work-Station" Leisure Studies 25 (25): 313-328, 2006

      22 Rojek, Chris, "Decentring Leisure: Rethinking Leisure Theory" SAGE Publications 2000

      23 Haworth, J. T., "Challenge, skill and positive subjective states in the daily life of a sample of YTS students" 68 : 109-121, 1995

      24 Iso-Ahola, S, "A psychological analysis of leisure and health. pp. 131-144. (in) Haworth, J. T (eds) Work, Leisure and Well-being" Routledge 131-144, 1997

      25 Parker, Stanley, "'현대사회와 여가' (The Sociology of Leisure)" 일신사 1976

      26 Rojek, Chris, "'자본주의와 여가' (Capitalism & Leisure Theory)" 일신사 1985

      27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Finding Flow" 해냄 1997

      28 Csikszentmihalyi. M,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한울림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